KCI등재후보
인터넷플러스시대 중국 TV미디어산업의 현주소 = A Study on Current Issues and Problems of China’s Internetplus(+) TV Media Culture Indust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64(2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고는 21세기 중국 문화산업으로 새롭게 급부상하고 있는 TV미디어산업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중국 문화산업은 2000년대에 와서 매우 중시되었고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뉴노멀 즉 신창타이(新常態)이다. 2014년 중국에서 새로운 문화산업으로서 추진되고 있는 인터넷플러스(+) 사업이다. 2015년 3월에 국무원에서 “중국제조 2025” 프로젝트를 공표했다. 이것은 중국 제조업을 인터넷 기술 혁명을 통하여 국가 간의 경쟁에서 이겨내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터넷플러스(+) 개념의 핵심이다. 인터넷플러스(+) 전략은 문화정책을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것은 문화산업과 인터넷의 상호 융합을 통한 플랫폼이다. 중국 문화산업과 관련한 여러 부처 중에서 TV방송영상콘텐츠 산업 관련한 정책을 주로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부서는 국가광전총국(SARFT)이다. 여기서 방송 미디어 및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의 미디어콘텐츠 관련 정책이나 규제 마련, 관리 및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중국TV방송 규제 및 해외 방송콘텐츠 온라인 플랫폼으로 몰리면서 유통 규제를 하고 있다.
중국이 인터넷플러스(+) 시대에 TV미디어 산업이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새로운 인터넷플러스(+) 용어의 등장은 다양한 산업모델과 인터넷이 융합하여 산업 발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등장과 확산, 그것을 이용할 수 있게 된 환경으로의 전환은 그것 자체로 사회적 변화이면서 동시에 또 다른 사회적 변화를 야기했다. 중국의 TV미디어산업에서 네트워크 플랫폼 기술과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인터넷+ 사고를 통하여 시청자와 제작자가 쌍방간 소통, 현장 디스플레이, 상호 작용, 재미와 경험, 가상현실과 같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새로운 미디어 디스플레이 기술로 문화를 전파해야 한다. 이처럼 ‘인터넷플러스시대 중국의TV미디어산업은 높은 시장가치와 높은 수익률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 가치사슬로, 국경 없는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유망한 비전을 지향하는 비즈니스모델을 추구한다.중국 미디어 관련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가지면서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있는 인터넷 문화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구축하기 위해, 플랫폼+콘텐츠의 혼합형, 자본결합의 통합 작용 그리고 네트워크 산업 사슬의 역방향 확장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In early period of 21st century, supported by the goverment, china cultural industry has developed in different scale in different areas. however, there exist some problems. This paper Summarizes the cor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hina's Internetplus(+) TV Media Culture Industry. Chinese cultural industry, which was emphasized from the year 2000, is continuing its rapid progress. it is becoming the ‘xinchangtai(新常態)’. China obtained an approval for its “Internetplus(+)” at the national level in 2014, and its State Council announced “China Manufacturing 2025” in May, 2015, making an attempt at a revolutionary transition of its manufacturing industry. The keyword of the “Internetplus(+)” concep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Internetplus(+) policy in the cultural industry. Among various departments related to the culture industry, the State Administration of Radio, Film, and Television(SARFT) is mainly in charge of policies on broadcasted TV contents. As the Chinese government strengthened the regulations on TV broadcasts, Lastly, the authority now focus on controling the importation of programs and program formats. This was possible through the interactive combination via internet platform, which implies that the culture plays the key role of TV Media progress in the era of internet plus. The newly rising term “internet plus” represents diverse types of industry combined with internet, and the existing industri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net has induced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with new characteristics. Especially, various fields of cultural industry such as television broadcasting is exercising major influence via internet on Chinese culture’s emerge into international market. The new generation of network TV & Mass media Platform business model shows revolutionary innovation power in today’s business. “Internetplus(+)” plan will encompass creations in entirely new meanings through the connection and fusion of the Internet and industry.
Moreover, it is recommended for us to promote joint ventures with Chinese drama production companies after finding out sources preferred by the Chinese viewers, or target niche markets by developing video contents that cannot be produced by the local compani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