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럽 AI법에 따른 생체정보의 활용과 보호에 관한 고찰 = Study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biometric data under EU AI Act
저자
이권일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82(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유럽에서는 생체인식정보 기술의 발달과 AI 기술의 발달, 그리고 이 두가지 기술이 결합되어서 나타나게 되는 기본권 침해상황을 심각하게 생각하여 이를 규제하기 위한 법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2021년 인공지능법안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서 유럽연합 의회에 제안되었고, 3년 이상의 기간동안 이에 대해 유럽의 학계와 정치계, 시민사회와 각 회원국에서 뜨겁게 논의된 결과 지난 2024년 3월 유럽연합 의회에서 압도적 다수로 인공지능법이 통과되었고, 일부 조항은 6개월 후부터, 2026년부터는 전면 시행된다. 이는 소위 브뤼셀 효과로 인하여 GDPR과 같이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공지능 규제법으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통과된 인공지능법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AI 기술을 이용한 생체인식정보의 처리를 강하게 규제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EU에서는 생체인식기술과 AI기술이 결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대량감시와 추적의 가능성과 이로 인한 일반적 인격권, 사생활의 비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평등권 등의 기본권 침해적 상황이 심각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분명한 인식으로 이를 강하게 규제하고자 한다. 특히 감정인식시스템, 생체 인식 분류 시스템, 실시간 원격 생체 인식 시스템, 사후 원격 생체 인식 시스템 등의 새로운 기술에 대해 개념정의를 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AI 기술과 생체인식정보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AI 시스템의 실행을 금지하거나 고위험 AI 시스템으로 분류하여 강하게 제한하고자 한다.
앞으로 AI 기술과 생체인식기술을 더욱 발전할 것이고, 이러한 기술이 우리의 삶 속에 우리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더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이 예측된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시장도 엄청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AI법이 AI를 규제하기 위한 법이면서도 목적조항에 인공지능의 활용을 촉진하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법이라고 명문으로 규정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의 사용을 전면적으로 금지함으로서 우리의 기본권을 보장한다는 생각은 더 이상 유효할 수 없고, 이러한 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러한 기술의 사용을 어떻게 제한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하여야 한다. 이런 점에서 유럽의 AI법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분명히 있다. 이러한 기술의 사용은 더욱 확대될 것이고 확대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기술의 사용이 더 유연해질 수 있도록 법제를 개편하는 것과 아울러 개인의 기본권이 더 실효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조화로운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In Europe, the development of biometric data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and the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technologies, have been seriously considered,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create legislation to regulate them. In particula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t was proposed to the European Parliament by the European Commission in 2021, and after more than three years of heated discussions in European academia, politics, civil society, and member stat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t was passed by the European Parliament with an overwhelming majority in March 2024, and some provisions will be implemented in six months, and all provisions will be implemented in 2026. Due to the so-called Brussels effect, it is expected to function as an AI regulatory law with global impact like the GDPR.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eatures of the AI Act is that it seeks to strongly regulate the processing of biometric data using AI technology. The EU clearly recognizes the potential for mass surveillance and tracking that can arise from the combination of biometrics and AI technologies, and the potential for serious violations of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personality right, the right to privac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equality. In particular, the Act endeavors to conceptualize new technologies such as emotion recognition systems, biometric categorisation systems, remote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real-time remote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and post remote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and based on this, it seeks to prohibit the practices of such AI systems or classify them as high-risk AI systems and strongly restrict them when AI technology and biometric data are used in combination.
It is expected that AI technology and biometrics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and that these technologies will be used more widely in our lives to make our lives easier. The market for the use of these technologies is also expected to expand tremendously, which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the AI Act is intended to regulate AI, but the purpose clause clearly states that it is intend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AI and support innovation. Therefore, the idea of ensuring our fundamental rights by prohibiting the use of these technologies outright is no longer valid, and we need to discuss how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these technologies and how to limit their use. In this regard, the implications of European AI law are clear. The use of these technologies will and should be expanded, and we need to find a harmonized way to ensure that the fundamental rights of individuals are better protected, while also reforming the legal framework to make it more flexibl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