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형법 제37조 후단의 사후적 경합범에 관한 몇가지 쟁점 검토 = Research on some issues about concurrent crimes according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6-85(2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When a defendant commits multiple crimes and is tried in one proceeding by consolidating the cases of those crimes, he is sentenced according to the former part of the article 37(concurrent crimes). When he is tried on those crimes at different times in different proceedings and a judgement in one of those proceedings is finalized with an imprisonment without prison labor or a heavier punishment, he is sentenced on the other crimes according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The amount of the unlawfulness of the concurrent crimes shall be assessed samely whether the concurrent crimes is sentenced at the same time or at the different times, which means the punishment shall be the same irrelevant of the application of the former or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But Supreme Court, when dealing with the punishment of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decided that the court is not bound to the limit of the article 38, which is applied when the multiple crimes is dealt with in one proceeding(2006do8376). Supreme Court decided, when the judgement, which makes some of the multiple crimes subject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is a suspension of execution of sentence(article 62), the court cannot suspend the imposition of sentence on the crimes subject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2010do931). Supreme Court decided when one judgement(A) on a crime is finalized and the crime is dealt with according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by the other finalized judgement, the crimes committed before and after the judgement(A) cannot be concurrent crimes(2011do2351). Supreme Court decided the court cannot mitigate the punishment below the limit of the article 55(2017do14609 en banc). But the above decisions of Supreme Court cannot be agreed. With some exceptions, the defendant shall not be treated better or worse even when he is tried according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partial opposition to 2006do8376). Suspension of imposition of sentence shall be allowed when the judgement, which makes some of the multiple crimes subject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is a suspension of execution of sentence(article 62), because, if the court can exempt the punishment on a crime, it can be deduced that the court have the authority to impose the heavier punishment like the suspension of imposition of sentence(opposition to 2010do931). A judgement(A) on a crime is finalized and the crime is dealt with according to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37 by the other finalized judgement, which is before the judgement(A) by time, the crimes committed before and after the judgement(A) can be concurrent crimes because the judgement(A) cannot function as a judgement which can block the constitution of the concurrent crimes(opposition to 2011do2351). Even the same word is used in different parts of Criminal Law, the meaning of that word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by the context where the word is used(opposition to 2017do14609 en banc)
더보기행위자가 수개의 범죄행위를 범하여 동시에 재판받게 될 경우 형법 제37조 전단의 경합범(동시적 경합범)으로 처벌된다. 그 수개의 범죄행위를 이시에 재판받아 그중 일부에 대하여 확정판결이 먼저 이루어질 경우 나머지 죄는 형법 제37조 후단의 경합범(사후적 경합범)으로 처벌받게 된다. 동시적 경합범과 사후적 경합범 모두 그 전체에 대한 불법 평가가 동일하여야 하므로, 동시에 재판받았을 경우에 관한 형법 제38조의 처단형의 범위 내에서 사후적 경합범의 처단형 범위도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법원 판례는 사후적 경합범으로 처벌받는 경우 형의 양정에 있어서, 동시적 경합범으로 처벌받는 경우의 처단형의 범위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본다(2006도8376). 그리고 사후적 경합범으로 처리되게 하는 확정판결이 집행유예(징역형)일 경우 사후적 경합범에 대하여 선고유예가 불가하다고 본다(2010도931). 사후적 경합범으로 처리된 확정판결 전후의 범죄행위는 실체적 경합범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2011도2351). 그리고 사후적 경합범의 형의 감경 범위에 관하여 형법 제55조 제1항 제3호의 제약을 받는다고 본다(2017도14609 전합). 그러나 사후적 경합범으로 처벌받는 경우가 동시적 경합범으로 처벌받는 경우보다 원칙적으로 불리하거나 유리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2006도8376에 대한 일부 반론), 사후적 경합범으로 처리되게 하는 확정판결은 그 판결이 확정되지 아니하였다면 사후적 경합범과 병합되지 아니한 상태로 병행심리되어 동시에 선고될 수 있고(이 경우 다른 결격사유가 없다면 선고유예가 가능하다), 형의 면제가 가능하다면 그보다 무겁다고 볼 수 있는 선고유예도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는 점(2010도931에 대한 반론), 사후적 경합범으로 처리된 확정판결 전후의 범죄행위는 실체적 경합범의 성립을 차단하는 효력이 없다고 보아야 하므로 그 확정판결 전후의 범죄행위는 실체적 경합범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2011도2351에 대한 반론), 법문에 동일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항상 동일한 의미로 파악할 필요는 없다는 점(2017도14609 전합에 대한 반론) 등에서 판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보았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