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현대중국어 ‘走’의 용법에 대한 인지적 연구 = A Cognitive Study on the Use of Modern Chinese ‘走’
저자
JINHONGSHI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45(25쪽)
제공처
현대중국어에서 ‘走’는 실제로 타동사적인 용법으로 많이 쓰이는데 사전에서는 그의 타동사적인 용법보다 자동사적인 용법 위주로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走’의 용법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역시 주로 사전의 의미 항목을 바탕으로 한 논의가 대부분으로 타동사적 용법은 다소 결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走’의 사전적 의미에만 국한되지 않고 그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살펴보기 위해 코퍼스 BCC와 CCL를 이용해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가운데서 같은 용법을 보이는 예문들을 분류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走’의 용법을 중심으로 이들 의미 간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의미 확장 기제로 환유와 은유 두 기제가 모두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유로는 상호전이 양상으로 ‘走’는 뒤에 목적어로 동작의 주체, 경로, 처소, 소실 등을 나타내는 명사구와 결합함으로써 각각 ‘통행하다’, ‘경과하다’, ‘방문하다’, ‘떠나다’ 등의 의미를 나타내었다. 은유로는 무생성 영역으로 사상, 사건영역으로 사상, 정치⋅사회⋅문화 영역으로 사상, 사고⋅감각 영역으로 사상 등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존재론적 은유에 속한다. 첫째, 사람의 움직임을 나타내던 의미에서 점차 무생물 영역으로 확장; 둘째, 물리적 이동 경로, 방편 등에서 사건의 과정, 문제 해결방식 등으로 확장; 셋째, 물리적 이동 방향이나 장소를 나타내던 데서 정치이념, 사회추세, 문화공연을 일컫게 됨; 넷째, 실체의 소실에서 정신, 감각 등 추상적인 영역의 소실을 나타내게 됨 등으로 확장함으로써 개념적 사상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이 세상을 인지하고 범주화하는 데 있어서 사람들은 신체적으로 직접 경험하고 구체적인 사물이나 물체에 대한 직접적인 감각과 인지를 바탕으로 추상적이고 불명확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경험을 표현하는 인지능력과 개념 체계가 언어에 반영됨을 볼 수 있었다.
In modern Chinese spoken language, ‘走’ is often used as a transitive usage. However, in the dictionary, it is interpreted as meaning based on intransitive usage rather than his transitive usage. Therefore, looking a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meaning of ‘走’, most of the discussions are mainly based on the meaning items of the dictionary, and there are not many use of transitive verbs. In this paper,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of ‘走’, but to examine various meanings of ‘走’, we collected a lot of data using Corpus BCC and CCL and classified examples showing the same usage among them to examine its meaning.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eanings, focusing on the usage of ‘走’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it can be seen that metonymy and metaphor were used as mechanisms to expand meaning. In the case of metonymy, ‘走’ was combined with noun phrases such as the subject, path, place, and disappearance of the movement to express the meanings of ‘go through’, ‘pass through’, ‘visit’, and ‘leav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metaphor, expansion into inanimate areas, expansion into event areas, expansion into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reas, and expansion into thinking and sensory areas, all of which belong to ontological metaph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recognizing and categorizing the world, people physically experience it directly, and cognitive abilities and conceptual systems that express abstract, unclear, and unstructured experiences based on their direct senses and perceptions of specific objects or objects are reflected in languag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