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실질적 평등과 이주민의 인권 = Substantive Equality and Human Rights of Migrants
저자
이주영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9-262(44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substantive equality,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e equal treatment principle that prohibits unfair treatment based on specific attributes. It also considers that the meaning of equality, as a core principle and righ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has evolved in the direction of substantive equality that addresses actual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and recognizes and accommodates differences. The principle of equal respect and rights requires an analysis of whether people are, based on grounds such as race, ethnicity, sex, disabi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at a socio-economic disadvantage, whether people experience devaluation, prejudice, stereotyping, or social exclusion, and whether their distinct needs or identities are regarded as deviations from the norms. Furthermore, it demands transforming social institutions, decision-making structures, and cultural norms that sustain such inequality.
The discussion has far-reaching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equal enjoymen of rights by migrants. First of all, the rights recognized for non-citizens i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force in the Republic of Korea must be guaranteed for non-citizens as the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The multi-dimensional analytical framework for substantive equality can be usefully applied in enhancing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in terms of law and policy. Such framework may comprise: first, addressing the socio-economic disadvantage faced by migrants; second, combating prejudice, social stigma, and hate speech against migrants; third, recognizing cultural, religious or linguistic identities of migrants; and fourth, promoting participation of migrants in society at large and friendly relations among all members of society. It is expected to help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migrants,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peaceful coexistence across diversity of people.
본 연구는 특정 속성을 이유로 부당하게 구분하여 대우하는 것을 금하는 동일대우 원칙이 갖는 한계를 인식하면서, 평등권 규범이 사실상의 차별을 없애고 권리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동등하게 갖는 실질적 평등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이해되고 적용되어야 한다고 논한다. 평등권에 대한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고 그 의미를 다차원적으로 살피기 위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 소수자들의 가시화와 구조적 차별 해소 요구를 배경으로 전개된 분배와 차이의 인정에 대한 철학적 논의와 유엔인권체계 내 평등권 규범 및 그에 대한 해석의 진화를 중심적으로 검토한다. 평등실현을 위한 적극적 조치 또는 특별 조치의 개념이 여러 국제인권조약, 국내 법령과 관행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지도 함께 살펴 본다. 본 연구는 민족적ㆍ인종적ㆍ종교적 증오의 고취 금지와 소수자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권리도 평등권의 범주에 속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ILO 협약도 고용, 직업, 사회보장 등의 영역에서 실질적 평등을 지향하고 있음을 관련 기준과 정책을 통해 확인한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동등한 존중과 권리 향유의 원칙은, 인종, 젠더, 장애, 사회경제적 상태 등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이는지, 평가절하ㆍ편견ㆍ고정관념의 대상이 되거나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지, 또는 고유한 욕구나 정체성이 규범의 일탈로 치부되는지 등을 분석하고 이러한 불평등의 원인이 되는 사회경제적 제도나 의사결정 구조, 문화 규범을 개선할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의 계기가 되었던 이주민의 인권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우선 국내 거주 외국인에 대하여 국내 발효 중인 국제인권조약에서 외국인에게 인정하는 인권을 헌법상 기본권으로 보장함으로써 국제인권법에 따른 외국인의 인권보호와 헌법상 기본권 보장 수준을 합치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이주민 인권 보장을 위한 법과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평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인권 규범을 바탕으로 프레드만이 제안한 실질적 평등의 다차원적 분석틀을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다. 첫째, 이주민이 처한 사회경제적 불이익 해소, 둘째, 이주민에 대한 편견, 사회적 낙인, 증오발화 시정, 셋째, 이주민의 문화적ㆍ종교적ㆍ언어적 정체성에 대한 인정과 존중, 넷째, 이주민의 사회적 참여 증진과 모든 사회구성원들 간의 우호적 관계 도모를 종합적 틀로 하여, 이주민들의 동등한 권리 향유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실질적 평등의 다차원적 접근은 이주민의 인권 상황 개선과 함께, 다양성의 공존을 통한 사회적 유대를 증진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