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엔해양법협약 제15부 발전과 재판관 소수의견의 역할 = Contributions of Individual Opinions to the Development of UNCLOS Part XV
저자
조훈 (University of Glasgow)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41-384(44쪽)
제공처
소장기관
Appending individual opinions has been a well-established practice of international adjudication. Individual opinions may carry many functions such as securing freedom of expression or safeguarding judicial impartiality. Above all, many authors have emphasised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From this point, this article argues that individual opinions may develop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under Part XV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Part XV of UNCLOS contains procedural law which regulates international judicial actions as well as the means by which states can enforce their rights in the courts and tribunals. When it comes to the judicial development of substantive rules of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courts must persuade other actors of international law to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their normative expectations. In contrast, the courts and tribunals may enjoy an authoritative status over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ocedural law where there will be little option for other subjects of international law but to follow what the court has decided. However,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that only judgments or awards can develop the Part XV system. Even to a degree that differs from majority opinions, individual opinions also entail normative authority over certain international law issues. For this reason, disputing parties before international courts frequently refer to individual opinions to strengthen their claims. As such, individual opinions may develop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under UNCLOS through their reasons, doctrines and criticisms.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how individual opinions can develop the procedural law under UNCLOS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the case where the legal determinations delivered by individual opinions were accepted as the majority opinion of the later cases. Under this category, the article suggests that individual opinions may develop the Part XV system by delivering a more persuasive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procedural provisions than majority opinions. Moreover, this paper highlights their role in providing supplementary reasons to support the ruling of the court. The second category concerns the cases where the determinations of the judges delivered by individual opinions have not yet been taken by subsequent proceedings. Here, it is contended that they may raise criticisms over the majority opinion which a later decision may possibly correct. Moreover, Individual opinion can provide points that influence and direct the future development of this system. Lastly,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judges may express their own ‘new international law’ resisting old ideas by appending individual opinions to the judgments.
국제재판소 판결에 소수의견을 첨부하는 것은 현대 국제법상 존재하는 다양한 사법적 분쟁해결절차의 널리 확립된 관행에 해당한다. 재판관 소수의견이 수행하는 여러 기능에 더하여 학자들은 이들이 국제법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하고, 혹자는 소수의견이 특정 법의 생명과 진화의 증거라 언급하기도 한다. 본 고는 바로 이 부분에 주목, 유엔해양법협약상 분쟁해결제도 발전에 소수의견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과 구체적인 공헌을 분석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유엔해양법협약 제15부는 사법적 기능의 작동 기제를 규율하는 동시에, 재판소를 통한 당사국의 권리 이행 방법을 규정하는 절차법에 해당한다. 실체법의 경우와 다르게 절차법의 발전에는 재판소의 판단이 큰 중요성을 가진다. 하지만 절차법 발전에 국제재판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이, 오로지 재판관 다수의견만 그 발전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재판소 판결과 같은 정도는 아니라 할지라도 소수의견 또한 일정한 권위와 영향력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재판관의 지위에서 비롯된 권위와 더불어 소수의견이 특정 법적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 작용한다. 결국 재판관 소수의견 또한 국제법주체들 간 법적 담론의 화제를 구성하게 되며 이들의 법적 기대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협약상 분쟁해결제도 발전에 대한 재판관 소수의견의 구체적인 기여를 다음의 두 부류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이에 먼저, 재판관 소수의견을 통해 밝힌 견해가 후속 판례에서 받아들여져 제15부 재판소의 일관된 법리로 발전한 경우들을 검토한다. 여기에는 특정 절차규범에 대하여 다수의견보다 설득력 있는 해석과 적용의 방법을 소수의견이 전달한 사례와 상세한 판결 이유를 제시하며 다수의견 판단을 보충해 준 사례가 포함된다. 이어서는 아직 후속 판례에서 다수의견으로 수용되지는 않았지만, 유엔해양법협약 제15부의 발전상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사례들을 분석한다. 여기에서는 현재 판결의 결점을 비판하고,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며, 나아가 위 분쟁해결제도에 대해 과감하고 새로운 견해를 제시해주는 소수의견의 사례들을 다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절차법의 발전에 있어 재판관 소수의견의 구체적인 공헌을 조명한다는 의의를 발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