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려시대 불교 정책의 성격 = Policies on Buddhism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Goryeo Er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4(34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소장기관
Buddhist policies operated nationally in Goryeo Era is summarized in a word into seungjeong. Similarly to the bureaucratic system, seungjeong was seized and implemented by the state but opinions from the Buddhist world were partially reflected in the form of gongeui (public opinions).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the king seized the Buddhist world and commissioned the positions of chief Buddhist monks to certain monks in order to strengthen support for him. Such method triggered criticism that seungjeong at the time was implemented unfairly. In fact, the very thing that seungjeong was done by the state reveals the Buddhist world’s subordination to the state. In addition, as certain monks who received affection from the king seized seungjeong, subordination of the Buddhist world became all the more serious and as a result diversity and autonomy of the Buddhist world were much damaged. Such negative recognition about seungjeong would be a chance to trigger criticism by Neo-confucinist scholars about the Buddhist world. In the end, as the state massively scaled down or repealed seungjeong after the cre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world could not help being greatly affected.
Meanwhile, amid ambivalent relationship of protection and control, the nation prescribed new forces with Buddhist elements as vicious Buddhist monks and removed them. The existing Buddhist world was able to get rid of new forces who infringed their established rights with a method to give legitimacy to the state’s actions and the state supported the Buddhist world in a way of maintaining only what was within their control. Cooperation with the new religious forces by the state and the Buddhist world guaranteed mutual interest. In addition, primary punishment for monks was ceased: Laymen among pseudo religious forces were executed while monks were exiled to the provinces. This shows that the state managed the Buddhist world in a capital-centered, centralist way. For certainty, although there were monks who were sent as chief Buddhist monks to the provincial temples with seonggye (organization of a monk’s disciples) but they were also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tate. On the other hand, monks in the provinces disregarded to some extent by the nation were not included in the subjects of protection and control by the state and the Buddhist world concentrated in the capital was probably easily affected by the national policies. In other words, it can be estimated that Goryeo controlled the Buddhist world in a centralist way and relatively weakened subordination to the state in the provincial Buddism compared to the central Buddhism.
고려시대에 국가적으로 운영한 불교 제도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僧政이다. 승정은 관료 제도와 유사하게 국가에 의해 장악되어 실시되었지만 共議라는 형식으로 불교계의 의견이 일부 반영되었다. 그런데 ‘원간섭기’에 국왕이 불교계를 장악하고 자신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특정 승려에게 주지 추천권을 위임하였다. 이같은 방식은 당시 승정이 불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을 불러왔다. 사실 승정이 국가에 의해 이루어진 것 자체가 불교계의 국가 예속성을 드러낸다. 게다가 국왕의 총애를 받는 특정 승려가 승정을 장악하게 되면서 불교계의 종속화는 더욱 심화되었고 그로 인해 불교계의 다양성과 자율성이 많이 훼손되었다. 이러한 승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불교계 비판을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결국 조선 왕조 개창 이후 국가가 승정을 대거 축소하거나 폐지함에 따라 그와 관련된 불교계는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한편 보호와 통제의 양면적 관계 속에서 불교적 요소를 가진 신규 세력을 국가에서는 妖僧 등으로 규정하여 제거하였다. 이때 기존 불교계는 국가의 행동에 정당성을 실어주는 방식으로 자신의 기득권을 침해하는 신흥 세력을 없앨 수 있었고, 국가는 자신의 통제권 안에 있는 불교계만을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지원하였다. 국가와 불교계의 신규 종교 세력에 대한 공조는 상호간의 이익을 보장했다. 더불어 사이비 종교 세력 중에서 일반인은 처형하는데 비해 승려는 지방으로 유배보내는 방식으로 일차적 처벌이 종식되었다. 이는 국가가 수도 중심, ‘중앙중심적’으로 불교계를 관리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물론 승계를 가지고 지방 사원 주지로 파견된 승려도 있겠지만 이들 역시 지속적으로 중앙과 연계되어 있었다. 반면, 국가에서 어느 정도 도외시한 지방의 승려는 국가의 보호와 통제 대상에 포함되지 못하였고 수도에 편중된 불교계는 국가의 정책에 쉽게 영향을 받게 되었을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고려가 중앙 중심적으로 불교계를 통제하고, 지방에 대해서는 상대적이나마 중앙에 비해 국가에 대한 예속화를 약화하였다고 추정해 보았다.
이와 같은 고려의 불교 정책의 성격을 다시 정리하자면, 승정과 그 변화로 인해 국가 예속성이 강화되었다는 점과 중앙 집중적 성향을 가졌다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불교계가 크게 융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쉽게 몰락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로 이와 같은 성격을 거론할 수 있다. 즉 여러 국가적인 제도에 의해 불교계가 국가에 너무 종속되어 있었다는 점, 특히 수도 중심으로 불교계가 통제되는 취약성으로 인해 국가의 억불 정책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는 점, 승정이 특정 승려에게 위임되면서 불교계의 다양성이 훼손되고 국가적으로 종속되어 국가 정책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12-1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동국사학회 -> 동국역사문화연구소영문명 : Dongguk Historical Society -> Dongguk history & culture institute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4 | 0.758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