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극 연구
-
저자
이미원
-
발행사항
서울: 현대미학사, 1994
-
발행연도
199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2.609 판사항(3)
-
DDC
895.724 판사항(19)
-
ISBN
8977270383 93800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한국근대극 연구 / 이미원 지음
-
형태사항
516p.: 삽도; 23cm
-
총서사항
현대학술選; 1
-
일반주기명
색인수록
-
소장기관
- 목차
- 서론 : 한국근대극의 기점문제
- 1. 한국근대극 기점의 제문제 = 17
- 2. 가능한 근대극의 기점들 : 18세기론, 개화기론, 「은세계」공연, 혁신단 공연, 1917년 근대희곡출범, 1920년대 사실주의극론 = 18
- 3. 근대문학사와 연계되어야 할 근대극사 = 33
- Ⅰ. 근대극의 맹아
- 1. 발생 : 한국 가면극과 제의
- 1) 연극과 제의에 대한 제반이론 = 38
- 2) 한국의 민속제의 = 41
- 3) 가면극과 민속제의 = 44
- ① 화회 별신굿탈놀이의 경우 = 44
- ② 봉산탈춤의 경우 = 53
- 4) 사회비판 기능으로 계속되는 가면극의 제의성 = 62
- 2. 구성과 미학 : 한국 가면극과 코메디아 델 아르떼
- 1) 유사성 접근의 방법 = 65
- 2) 유사성의 실제 = 66
- ① 반 아리스토텔레스적 입장 = 67
- ② 공통 구성원리 = 71
- ③ 유사한 이야기의 예 = 82
- 3) 동·서양의 경계를 넘어선 연극의 일반성 = 83
- 3. 과도기의 실험 : 신파극의 연극사적 의의
- 1) 신파극 사적 위치 재고의 필요성 = 86
- 2) 신파극의 교량적 영향관계 = 88
- ① 신파극과 신소설 = 88
- ② 신파극과 고전 유산 = 90
- ③ 신파극과 사실주의 근대극 = 94
- 3) 신파극의 의의 = 99
- Ⅱ. 근대극 정립의 여명기
- 1. 근대극 형성기 연극의 사회관
- 1) 20년대 연극관의 배경 = 107
- 2) 20년대 대표 연극관 = 110
- ① 윤백남 = 110
- ② 현철 = 112
- ③ 김정진 = 115
- ④ 조춘광 = 117
- ⑤ 김우진 = 118
- ⑥ 홍해성 = 121
- 3) 민족적 계몽주의로 집약되는 20년대의 연극사회관 = 124
- 2. 한국 사실주의 및 자연주의극의 형성
- 1) 한국 사실주의 및 자연주의극의 배경 = 127
- 2) 서구 사실주의 및 자연주의극의 실제 = 128
- ① 출발의 배경 = 128
- ② 그 이론 및 작품과 소극장운동 = 130
- 3) 한국의 사실주의 및 자연주의극 수용
- ① 1920년대 전반기의 창작희곡 = 138
- ② 한국적 소극장운동 = 149
- 4) 수용의 특징과 남은 과제들 = 156
- 3. 운정 김정진 희곡연구
- 1) 운정 희곡의 배경 = 158
- 2) 세태풍자와 드라마투루기의 구사 = 159
- 「십오분간」 = 159
- 「약수풍경」 = 161
- 3) 근대 사실주의극에의 접근 = 163
- 「기적 불 때」 = 164
- 「그 사람들」 = 168
- 4) 사랑과 애욕의 세계 = 169
- 「그립은 밤」 = 170
- 「전변」 = 170
- 「찬우슴」 = 171
- 「잔설」 = 171
- 5) 희곡사적 의의 : 20년대 근대희곡의 주춧돌 = 171
- 4. 프로희곡의 등장 : 김영팔 희곡연구
- 1) 프로희곡의 출범과 김영팔 = 173
- 2) 문단 상황과 김영팔의 활동 = 174
- 3) 김영팔의 작품세계 = 177
- ① 근대극에로의 발돋움 = 177
- ② 프로희곡을 향하여 = 180
- ③ 계급의식의 포기에서 자조적 사회풍자로 = 189
- 4) 프로희곡 개척자로서의 의의와 한계 = 190
- 5. 김우진 희곡과 표현주의
- 1) 표현주의 희곡의 시작 = 192
- 2) 서구의 표현주의극 = 193
- 3) 김우진의 표현주의 작품 분석 = 195
- ① 자아의 확산 = 196
- ② 상징 = 199
- ③ 대조와 왜곡 = 202
- ④ 인간의 가치 = 204
- ⑤ 음악 효과 = 207
- 4) 표현주의극의 수용 : 한국 근대희곡사의 값진 수확 = 209
- 6. 초기 사실주의극 형성기의 전통수용 양상
- 1) 서구극 열풍 속의 전통유산 계승의 문제 = 210
- 2) 박승희「이 대감 망할 대감」의 경우 = 211
- 3) 오영진 「맹진사댁 경사」의 경우 = 217
- 4) 전통유산과 서구극적 기법의 새로운 조화를 향하여 = 220
- Ⅲ. 근대극의 발전과 좌절
- 1. 근대극의 정립기 : 극예술연구회 공연 연구
- 1) 극예술연구회의 등장 = 229
- 2) 극예술연구회의 번역극 공연 = 230
- 3) 극예술연구회의 창작극 공연 = 243
- 4) 극예술연구회의 사적 의의 = 249
- 2. 농민극 연구
- 1) 농민문학의 형성과 농민극 = 252
- 2) 1930년대 농민극의 실제 = 254
- ① 사실·자연주의극적 농민극 :「토막」,「버드나무 선 동리의 풍경」,「소」,「그들은 엇지 되나」,「부촌」 = 254
- ② 동반문학적 농민극 :「농촌스케치」,「박첨지」 = 260
- ③ 계몽적 농민극 :「촌선생」 = 262
- 3) 1930년대 농민극의 사적 의의 = 265
- 3. 프로희곡의 전개:송영 프로희곡 연구
- 1) 송영과 프로극 = 268
- 2) 프로극 운동의 전개 = 269
- 3) 송영의 프로희곡 = 272
- ① 사실주의 희곡군 :「정의와 칸바스」,「아편쟁이」,「윤씨일가」 = 274
- ② 풍자 희곡군 :「모긔가 업서지는 까닥」,「일체 면회를 사절하라」,「호신술」,「신임이사장」,「황금산」 = 277
- 4) 송영 프로극의 의의 = 282
- 4. 연극에서의 모더니즘
- 1) 모더니즘 연극의 태동 : 상징주의극과 파타피직스의 세계 = 284
- 2) 다양한 모더니즘 연극들 = 287
- ① 표현주의극 = 288
- ② 다다와 초현실주의극 = 289
- ③ 미래주의와 피란델로 = 290
- ④ 구성주의와 생체역학 = 292
- ⑤ 아르또 = 293
- 3) 모더니즘 연극의 종합적 성과 = 294
- 4) 해방전 한국연극과 모더니즘 = 296
- ① 한국연극에서의 모더니즘의 전개 = 296
- ② 대표적 모더니즘 희곡의 실제 :「십오분간」,「떠나가는 풍선(風船)」,「천국에서 왔다는 사나이」,「미스터 불독」 = 298
- 5. 희곡과 소설 :「인테리와 빈대떡」과「레디메이드 인생」비교 연구
- 1) 채만식의 희곡과 소설 = 304
- 2) 양식에 따른 구성의 비교 및 풍자성 연구 = 306
- ① 극양식과 서사(소설)양식 = 306
- ② 풍자성 = 316
- 3) 희곡과 소설 구성의 차이점 = 318
- 6. 해방전 서구 번역극의 수용양상
- 1) 서구 번역극의 의의와 시기 구분 = 320
- 2) 서구 번역극의 출범(1910년∼1920년대) : 중역(重譯)시대 = 321
- ① 고전극의 수용 = 322
- ② 근대극의 수용 = 324
- 3) 서구 번역극의 정착(1930∼해방까지) : 직역(直譯)으로의 전환 = 333
- ① 고전극의 수용 = 334
- ② 근대극의 수용 : 러시아,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기타 = 335
- 4) 수용양상과 남은 과제 = 345
- 7. 국민연극 연구
- 1) 국민연극의 배경 = 347
- 2) 국민연극의 실상 = 351
- 3) 목적극으로서의 국민연극 : 그 선정성과 작품성의 성패 = 360
- 4) 국민연극의 연극사적 위치 = 370
- Ⅳ. 근대극 이후
- 1. 50년대 대표희곡 : 전란이 남긴 희곡
- 1) 6·25와 극계 동향 = 377
- 2) 대표적 극작가와 희곡 = 380
- ① 기성작가의 희곡 : 흑백논리적 방공극(유치진, 김진수, 김영수, 오영진) = 381
- ② 신인의 등단 : 전란의 상처와 빈궁 고발(차범석, 임희재, 하유상, 여류작가 및 기타) = 383
- 3) 50년대 희곡의 평가 = 389
- 2. 박조열 작품론 : 양식적 실험과 통일에의 집념
- 1) 박조열 희곡의 배경 = 391
- 2) 박조열의 작품세계 = 393
- ①「관광지대」 = 394
- ②「토끼와 포수」 = 396
- ③「행진하는 나의 분신들」 = 398
- ④「모가지가 긴 두 사람의 대화」 = 399
- ⑤「불임증」 = 401
- ⑥「소식」 = 402
- ⑦「흰둥이의 방문」 = 403
- ⑧「오장군의 발톱」 = 404
- ⑨「가면과 진실」 = 406
- ⑩「조만식은 지금도 살아 있는가」 = 406
- ⑪「방송국」 = 407
- 3) 박조열 희곡의 의의 = 408
- 3. 전통의 수용:설화의 재해석
- 1) 현대극에서의 전통수용의 문제 = 410
- 2) 최인훈의 희곡과 설화 = 411
- 3) 이강백의 희곡과 설화 = 415
- 4) 오태석의 「심청이는 왜 두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 419
- 5) 전통수용과 현대극의 창조 = 421
- 4. 전환기의 연극 : '민족극'의 대두
- 1) 새로운 창작극 운동 : '민족극'의 등장 = 422
- 2) 민족극의 개념 = 423
- 3) 민족극의 미학과 실제 「불감증」,「함평고구마」,「덕산골이야기」,「진동아굿」,「의병 한풀이」,「홍동지」 = 428
- 4) 민족극의 자리매김 = 434
- 5. 6·25와 분단희곡 40년
- 1) 분단희곡의 개념 = 436
- 2) 50년대의 분단희곡 : 전후 반공극 = 437
- 3) 60년대의 분단희곡 : 다양화의 시작 = 441
- 4) 70년대의 분단희곡 : 반성과 심화 = 444
- 5) 80년대의 분단희곡 : 분단희곡의 새로운 전기 = 449
- 6. 한국연극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 1) 한국 포스트모던 연극의 가능성 = 455
- 2) 서구의 포스트모던 연극 = 457
- 3) 한국연극과 포스트모던 연극 = 462
- ① 외국극단 공연 및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번역극 공연현황 = 464
- ② 여성연극의 부상 = 469
- ③ 뮤지컬의 새로운 부각 = 471
- ④ 전통연극의 현재화 작업 = 473
- ⑤ 기타 창작극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 = 476
- 4) 포스트모던한 연극을 향하여 = 479
- 참고문헌 = 485
- 색인 =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