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調査資料 地名을 대상으로 한 言語學的 硏究 成果와 課題 = Outcomes and Limitations of Linguistic Studies on Survey Material for Toponym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oponyms, being the proper names of geographical features, has been mainly the object of lexicologic study within the discipline of linguistics. And its correlation with topography makes it the object of geographical studies. Researchers of various field are interested in toponyms for the study of history, geography, customs, folktale, institution, and culture.
    It is required a comprehensive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 scientific, systematic and logical theory to make toponymy an independent discipline. And from this theoretical basis it is expected to make an improvement in specific field of researches that are in a stalemate for a long time. For the benefit of new researchers it is required to synthesize all the outcomes of past and publish Historical Dictionary of Toponyms and Etymological Dictionary of Toponyms.
    The toponymy in Korea has been focused on theoretical studies of linguistics. Outcomes of theoretical studies should be developed into a practical and policy research to satisfy public needs. Also, it is required a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for the comprehensive and rational study of toponyms.

    더보기

    地名語는 固有名詞의 總體 중 地名만을 가려낸 語彙이기 때문에 언어학 중 語彙論的 관점에서 주로 硏究되었다. 더불어 지명은 指示物인 地形과 有緣性을 갖고 있기 때문에 地理學者의 관심거리이기도 하다. 또한 지명 속에 담겨 있는 歷史, 地理, 風俗, 說話, 制度, 文化…… 등의 탐구를 위하여 관련 분야 硏究者들이 關心을 가져왔다.
    地名學이 독자적인 학문으로 바로 설 수 있도록 科學的이고 體系的이며 論理的인 地名學 理論 樹立을 위한 연구가 要求된다. 이를 바탕으로 분야에 따라서는 踏步狀態에 머무르고 있는 연구의 質的 向上을 꾀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新進硏究者들의 進入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그동안 연구된 成果를 綜合하여 『歷史地名事典』, 『地名語源辭典』 등의 편찬이 요구된다.
    그동안 지명 연구는 言語學을 中心으로 한 이론 연구에 치중하였다. 이론 연구에서 얻어낸 성과를 實用化, 政策化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학문이 이론에만 머물지 않고 民生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인접 학문과의 교류를 통해 合理的이고 綜合的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學際間의 協業이 필요하다.

    더보기
    • 1 趙康奉, "靈光地方의 地名에 관한 調査硏究"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77
    • 2 고영근, "희방사 창건설화와 ‘池叱方(寺)’의 해독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4 : 5-17, 2008
    • 3 이영식, "횡성의 지명전설과 태종의 관련성 연구" 江原民俗學會 20 : 463-481, 2006
    • 4 이학주, "홍천 이괄 관련 지명과 설화 조사 연구" 江原 民俗學會 22 : 321-352, 2008
    • 5 손희하, "호남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1900년 이후를 대상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213-267, 2014
    • 6 손희하, "현행 도로 명 주소의 제 문제점과 대안" 한국지명학회 20 : 161-187, 2014
    • 7 국립국어연구원,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02
    • 8 도수희,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명 제정에 관한 제 문제" 한국지명학회 12 : 69-89, 2006
    • 9 국토지리정보원, "해외 지명 오류 조사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08
    • 10 위평량, "해안과 내륙의 마을 이름 비교 연구" 한국지명학회 8 : 93-112, 2002
    • 11 김윤학, "한자말로 맞옮긴 토박이말 땅이름과 토박이말 땅이름의 짜임새"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8 : 45-69, 1986
    • 12 박수진, "한의학적 어원이 남아 있는 지명" 한국한의학연구원 14 (14): 19-31, 2008
    • 13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 충청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 14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 15 都守熙,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 16 한글학회, "한국땅이름큰사전" 한글학회 1991
    • 17 이병운, "한국 행정지명 변천사" 이회문화사 2004
    • 18 都守熙, "한국 지명과 그 전설" 어문연구학회 21 : 505-508, 1991
    • 19 지종덕, "한국 새주소체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21 (21): 37-52, 2005
    • 20 한형교, "한국 도로명주소 정책의 집행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 21 김순배, "한국 도로명의 명명 유연성 연구 -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5 : 33-93, 2016
    • 22 성희제, "한국 내륙지명어와 해안지명어의 대비 연구 - 충북 영동과 충남 태안의 후부지명소를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183-211, 2014
    • 23 婁建英, "한·중 지명의 후부 지명소 비교 연구"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4
    • 24 김순배, "하남(河南) 지역의 지명 변천" 한국지명학회 17 : 61-104, 2011
    • 25 엄홍석, "파리지역의 지명연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 (2): 373-398, 2006
    • 26 곽재용, "통합도시명 '창원시'의 제정 경위와 타당성 검토" 한국지명학회 16 : 5-48, 2010
    • 27 성낙수, "충청북도 지명의 후반부 한자어: 의미와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소 7 : 1-42, 1998
    • 28 성희제, "충청권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명학회 18 : 119-159, 2012
    • 29 이경우, "충북 지명전설의 유형과 의미 고찰"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24 : 95-114, 2015
    • 30 강헌규, "춘향전에 나타난 어사또 이몽룡의 남원행 경유지명(經由地名)의 고찰(1)" 한국지명학회 6 : 5-82, 2001
    • 31 강헌규, "춘향전에 나온 ‘츙쳥도 고마수영 보련암’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1 : 5-20, 2005
    • 32 정진규, "초평면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33 이응백, "초등학교 입문기 학습용 기본어휘 조사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32 : 1978
    • 34 김영순, "지역문화교육을 위한 지명유래 전설의 스토리텔링 사례연구 -인천 검단 여래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5 (5): 149-169, 2010
    • 35 金鍾塤, "지명표기에 나타난 고유한자고" 중앙대학교 2 (2): 9-34, 1983
    • 36 황금연, "지명접미사의 설정과 변화 - 전남 신안 지명어를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3 : 295-320, 2015
    • 37 신태수, "지명전설의 구조와 의미: 고령지방의 전설을 중심으로" 문학과 언어연구회 10 (10): 60-105, 1989
    • 38 박상란, "지명전설에 나타난 궁예상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22) : 335-370, 2006
    • 39 조규태, "지명의 한자어화에 대하여" 국어사학회 6 : 145-165, 2006
    • 40 국토지리정보원, "지명의 표기실태 조사 및 대응 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13
    • 41 국토지리정보원, "지명의 종류별 정비 지침 마련 연구: 산지 및 하천의지명 정비기준 제정" 국토지리정보원 2014
    • 42 이근열, "지명의 변화 유형과 원인" 우리말학회 9 : 111-128, 1999
    • 43 김봉모, "지명의 구성과 명명 유형" 부산대학교 48 : 1-13, 1996
    • 44 전영진, "지명연기 전설에 관한 일고찰: 安眠島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43 (43): 286-302, 1988
    • 45 천소영, "지명연구에 쓰이는 술어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5 : 97-118, 2001
    • 46 이흥숙, "지명에서 생성된 전설들: 경남 김해지역 지명전설을 중심으로" 士林語文學會 17 : 135-162, 2007
    • 47 국토지리정보원, "지명업무 활성화를 위한 지명 정비체계 기반마련결과보고서 (용역부문)" 국토지리정보원 2015
    • 48 국토지리정보원, "지명업무 활성화를 위한 지명 정비체계 기반마련 결과보고서 (연구부문)" 국토지리정보원 2015
    • 49 국토지리정보원, "지명업무 체계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10
    • 50 정영숙, "지명어의 음운변화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0
    • 51 김종택, "지명소 ‘-등-’의 형태와 의미" 한국지명학회 9 : 17-33, 2003
    • 52 이범관, "지명분쟁의 예방과 해결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24 (24): 267-280, 2008
    • 53 국토지리정보원, "지명법제정에 따른 하위규정 제정(안) 마련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13
    • 54 한순미, "지명과 문학적 상상력 ―순천 지역의 지명을 중심으로 본 서정인의 소설 세계" 현대문학이론학회 (33) : 465-492, 2008
    • 55 정경일, "지명과 도로명의 로마자표기에 관한 제언" 한국어학회 33 : 309-336, 2006
    • 56 엄경흠,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동남어문학회 1 (1): 429-448, 2010
    • 57 국토지리정보원, "지명 표준화 편람" 국토지리정보원 2006
    • 58 박성종, "지명 조사 방법론의 한 모색" 한국지명학회 6 : 93-120, 2001
    • 59 都守熙, "지명 연구의 새로운 인식" 국립국어연구원 4 (4): 3-27, 1994
    • 60 김양진, "지명 연구의 국어 어휘사적 의의" 한국지명학회 21 : 79-121, 2014
    • 61 김순배, "지명 변천의 지역적 요인에 관한 연구 : 16세기 이후 대전 지방의 한자 지명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 62 김준영, "지명 건지산․공수골․마전․금산․봉산의 말밑" 한국지명학회 3 : 45-52, 2000
    • 63 김철홍, "중앙아시아 튜르크어계 지명 및 지리 용어에 대한 어원적 고찰" 한국어원학회 3 : 97-114, 2000
    • 64 정승희, "중남미 지명과 국가명의 어원" 대한토목학회 57 (57): 66-72, 2009
    • 65 조창선, "조선지명연구" 사회과학출판사 2005
    • 66 김기혁, "조선-일제 강점기 울릉도 지명의 생성과 변화"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8 (18): 38-62, 2006
    • 67 최상수, "조선 지명의 전설 (3)" 한글학회 12 (12): 1947
    • 68 최상수, "조선 지명의 전설 (2)" 한글학회 11 (11): 1946
    • 69 최상수, "조선 지명의 전설 (1)" 한글학회 11 (11): 1946
    • 70 류관렬, "제천 지역 지명 연구 : 고유어로 된 후부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71 오창명, "제주지명사전의 서설적 논의" 영주어문학회 4 : 3-17, 2002
    • 72 오창명, "제주의 자연지명, 무엇이 문제인가? - 기존 지명 제정 법·정책과 관련하여 -" 한국지명학회 20 : 189-214, 2014
    • 73 손희하, "제주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 한국지명학회 19 : 91-124, 2013
    • 74 문덕찬, "제주 지명어의 형태·음운론적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6
    • 75 金俊榮, "전북 소지명의 어원고" 어문연구학회 20 : 173-184, 1990
    • 76 공문택, "전남 여천군 돌산도의 땅이름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 77 이형식, "재조일본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일본학연구소 37 : 245-283, 2013
    • 78 이종철, "일본지명에 반영된 한국계 어원 ‘usu/sue’에 대하여" 한국일어일문학회 23 (23): 105-124, 1993
    • 79 이승영, "일본地名 속에 나타난 韓國語적 어원 - 韓(カラ), 呉(クレ), 新羅(シラギ) 등의 분포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45) : 163-182, 2009
    • 80 이강로, "인천의 옛이름 買召忽에 대한 어원적 고찰" 仁川敎育大學畿甸文化硏究所 1 : 10-25, 1972
    • 81 전신재, "인제군의 지명전설" 江原民俗學會 22 : 277-297, 2008
    • 82 국토지리정보원, "유엔지명회의 대응방안 마련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14
    • 83 신경철, "원주지역 한자어 지명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0 : 97-112, 2004
    • 84 남영신, "우리말 분류사전" 한강문화사 1989
    • 85 문교부, "우리말 말수 사용의 잦기 조사" 문교부 1956
    • 86 박용수, "우리말 갈래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 87 김선일, "우리나라 도로명주소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행정학회 539-555, 2015
    • 88 권태진, "영풍군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89 국토지리정보원, "영문지명록" 국토지리정보원 2006
    • 90 국토지리정보원, "영남권 일본식 지명의 조사 및 정비 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05
    • 91 심혜숙, "연변 조선어지명의 변화법칙에 대한 연구" 북한연구소 243 : 1992
    • 92 김성희, "양평지역 지명의 후부요소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93 김병욱, "신화, 제의와 관련된 지명 연구" 인천대학교인문학연구소 17 : 3-22, 2012
    • 94 장노현, "신소설의 외국지명에 숨겨진 세계 인식의 지형도" 한국문학연구학회 (47) : 97-125, 2012
    • 95 변승구, "시조에 나타난 ‘지명’의 수용양상과 의미" 한국지명학회 23 : 103-140, 2015
    • 96 이강국, "스페인 지명의 어원 분석에 작용하는 민간어원과 역사-문화적 요소 비교" 한국현대언어학회 29 (29): 773-794, 2014
    • 97 송병수, "순천 지역의 地名淵源과 邑號의 변천"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6 : 1-27, 1997
    • 98 국토지리정보원, "수요자 중심의 지명데이터베이스 고도화 사업 용역결과보고서" 국토지리정보원 2014
    • 99 국토지리정보원, "수도권 일본식 지명의 조사 및 정비 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07
    • 100 김준영, "소지명의 말밑" 한국지명학회 4 : 59-67, 2000
    • 101 한순미, "소설 속의 지명과 감성지도- 지명 연구와 문학 연구의 접점을 기대하며 -" 한국지명학회 19 : 151-188, 2013
    • 102 장노현, "소설 속 지명정보 활용 방안 기초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24) : 255-283, 2008
    • 103 조항범, "세종특별자치시 芙江面 소재 ‘마을’ 이름의 어원과 유래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23 : 259-293, 2015
    • 104 김정태, "세종시 마을, 도로 등 명칭 제정의 성과와 의미" 한국지명학회 24 : 5-40, 2016
    • 105 김성환, "세르비아의 지명과 인명(이름과 성)의 유래 연구" 5 : 355-382, 2003
    • 106 임재해, "설화의 미디어 기능과 지명전설의 인문지리 정보" 한민족어문학회 (69) : 42-82, 2015
    • 107 홍성규, "서울지역 지명전설의 사례와 콘텐츠 활용 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3 (13): 507-518, 2013
    • 10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 109 김용경, "서울시 강남구 도로명의 의미연구" 한국어의미학회 5 : 155-178, 1999
    • 110 千素英, "서울 地名의 變遷攷" 水原大學校國語國文學會 8․9 : 439-503, 1994
    • 111 김윤학, "생성 과정에서 본 땅이름 연구: 경기도 평택군 현덕면 기산리,대안리,덕목리,신왕리" 건국대학교 8 : 35-71, 1983
    • 112 최승영, "새주소체계의 조기 정착을 위한 방향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9 (9): 1-12, 2007
    • 113 경기개발연구원, "새주소사업 추진 문제점과 개선과제" 경기개발연구원 2011
    • 114 홍선일, "새주소 체계 도로명의 지리적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청주시를 사례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21 (21): 553-568, 2015
    • 115 朴秉喆, "새주소 體系 導入을 위한 道路名 附與 事業과 國語 問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67-88, 2007
    • 116 조성욱, "사회적 영향에 의한 지명 변화의 원인과 과정 -전북 진안군 지명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526-542, 2007
    • 117 김기혁,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14-30, 2013
    • 118 권재일, "북한의 조선어학전서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 119 이영택, "북한 행정지명의 변천과 현황" 북한연구소 280 : 66-77, 1995
    • 120 이상혁, "북한 조선어학의 특징에 대하여 -<조선어학전서>(2005)와 <언어학연구론문색인사전>(2006)을 대상으로-" 민족어문학회 (64) : 137-161, 2011
    • 121 박덕유, "부천 지명의 변천에 대하여 — 원미구 행정명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14 : 19-41, 2008
    • 122 朴贊植, "부여지역의 지명접사 연구" 暻園大學校 大學院 1994
    • 123 이병운, "부산 행정구역 지명의 변천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9) : 329-378, 2007
    • 124 이근열, "부산 기비현(其比峴) 말밑 연구" 한국지명학회 13 : 201-233, 2007
    • 125 이근열, "부산 구포(龜浦)의 어원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3) : 213-240, 2009
    • 126 강헌규, "백제 지명 “加知奈縣 一云 加乙乃縣”의 어원적 연구" 한글학회 (305) : 5-62, 2014
    • 127 김정태, "문화유산으로서의 지명에 대한 국어 정책적 접근" 한국지명학회 20 : 39-65, 2014
    • 128 김윤학, "땅이름 연구: 음운·형태" 박이정 1996
    • 129 윤성원, "도시 및 지역디자인의 새로운 디자인 질료 연구 - 충주시의 ‘용’관련 지명과 전설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337-349, 2015
    • 130 임해규,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과제" 경기연구원 2016
    • 131 김옥남, "도로명에 의한 주소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27-37, 2007
    • 132 박병철, "도로명 전부요소의 어휘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22 : 47-72, 2007
    • 133 권재일, "도로명 사이시옷 표기공청회 자료집" 국립국어연구원 2001
    • 134 채완, "도로 이름의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국립국어연구원 2001
    • 135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 지명 올바른 표기와 이해(동해연구회 최종보고회 자료)" 국토지리정보원 2015
    • 136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 지명 올바른 표기와 이해 연구보고서" 국토지리정보원 2016
    • 137 성희제, "대전 서남부 지명어의 음운과 형태연구" 어문연구학회 52 : 2006
    • 138 권재선, "대구, 경산, 청도의 옛 지명 연구" 한국지명학회 7 : 47-87, 2002
    • 139 김승호, "단어 형성에서의 형태 변화: 방언과 지명자료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어학연구소 7 : 7-129, 1992
    • 140 崔範勳, "노산 이은상박사 고희기념논문집" 1973
    • 141 국토지리정보원, "국제적 관심지명 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13
    • 142 허재영, "국어학적 성과를 중심으로 한 땅이름(지명어) 연구사" 겨레어문학회 13 : 73-105, 1989
    • 143 李敦柱, "국어학연구백년사(Ⅲ)" 일조각 664-671, 1992
    • 144 심보경, "국어사 자료 구축을 위한 한국지명 연구목록 데이터베이스 -수도권과 강원권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1) : 33-57, 2012
    • 145 국토지리정보원, "국가지명표준화를 위한 매뉴얼 (한국어판)" 국토지리정보원 2012
    • 146 이상희, "괴산 지역 역사 유래 지명 전설 소고" 개신어문학회 22 : 237-265, 2004
    • 147 김지현, "광주 지명 전설의 문화적 활용 방안 연구" 남도민속학회 (7) : 29-51, 2001
    • 148 김평자, "고유어 지명 후부요소 연구 : 익산 지방 지명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149 정원수, "경북방언 지명의 성조 변동" 한국지명학회 2 : 185-202, 1999
    • 150 이홍숙, "경남 지명전설의 생성적 의미와 활용방안"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5 : 89-115, 2003
    • 151 張勳德, "경기도 성남시 땅이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 152 정 해, "경기도 구리시와 남양주군의 산이름 연구 : 한자로 표기된 산이름의 어원을 중심으로"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 153 김윤학, "강화도 화도면의 땅이름 연구" 仁川敎育 大學 11 : 1980
    • 154 국토지리정보원, "강원권 일본식 지명의 조사 및 정비 방안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06
    • 155 조강봉, "강·하천의 합류와 분기처의 지명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 156 姜憲圭, "鷄龍山甲寺의 地名語源" 동간행위원회 1991
    • 157 박병철, "高速鐵道 驛名 制定의 經過와 課題" 한국지명학회 16 : 119-156, 2010
    • 158 박병철, "音譯에 의한 地名語의 漢字語化에 관한 硏究 ― 堤川 地域 地名을 中心으로 ―" 한국지명학회 9 : 83-106, 2003
    • 159 李喆洙, "韓日地名語의 比較硏究(1): 漢語語源型地名形態素를 中心으로" 한국국어교육연구회 44 : 389-399, 1983
    • 160 姜憲圭, "韓國語語源硏究史" 집문당 1988
    • 161 金永泰, "韓國語系統論訓民正音硏究(秋江黃希 榮博士頌壽紀念論叢)" 集文堂 1983
    • 162 金俊榮, "韓國小地名의 變遷" 韓國言語文學會 1973
    • 163 金俊榮, "韓國小地名後部에 대한 語義上考察" 한국언어문학회 10 : 1973
    • 164 지헌영, "韓國地名의 諸問題" 景仁文化社 2001
    • 165 李庸周, "韓國地名의 意味論的有緣性에 관한 硏究: 忠淸北道山名의 基 盤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14 : 1976
    • 166 李敦柱, "韓國地名漢字語의 統計와 分析" 全南大學校 14 : 1968
    • 167 權相老, "韓國地名沿革考: 地名變遷辭典" 東國文化社 1961
    • 168 崔範勳, "韓國地名學硏究序說" 국어국문학회 42-43 : 131-154, 1969
    • 169 李炳銑, "韓國古代地名國名硏究" 螢雪出版社 1982
    • 170 李炳銑, "韓國古代國名地名의 語源硏究" 이회 2012
    • 171 林英熙, "韓國 自然地名의 意味論的 有緣性에 관한 硏究 : 忠淸北道의 自然地名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8
    • 172 임선빈, "錦江의 지명 변천과 國家祭儀" 부산경남사학회 (71) : 1-26, 2009
    • 173 강병윤, "都農複合地域의 道路名 附與에 관한 硏究 ― 公州市 道路名의 分析을 통하여 ―" 한국지명학회 2 : 5-38, 1999
    • 174 박병철, "道路名 後部要素 名稱 附與에 관한 硏究" 한국지명학회 2 : 109-133, 1999
    • 175 박병철, "道路名 前部要素 名稱 附與에 관한 基礎的 硏究" 한국지명학회 14 : 43-79, 2008
    • 176 김종학, "訓借 地名語素의 새김 變遷攷" 한국지명학회 15 : 63-87, 2009
    • 177 박병철, "行政中心複合都市 名稱 制定의 經過와 展望" 한국지명학회 12 : 91-128, 2006
    • 178 李敦柱, "莞島地方地名攷" 全南大學校湖南學硏究院 4 : 213-252, 1966
    • 179 裵大溫, "自然部落名의 命名有緣性에 關한 硏究: 尙州郡을 中心으로" 상주실업전문대학 9 : 1979
    • 180 김진식, "自然部落名의 後部要素 硏究 ― 淸原郡 北二面을 中心으로 ―" 한국지명학회 9 : 35-60, 2003
    • 181 都守熙, "百濟語硏究(Ⅲ)"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4
    • 182 都守熙, "百濟語硏究(Ⅱ)"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9
    • 183 李成圭, "瑞山市 地名의 後部要素 硏究" 公州大學校 大學院 1999
    • 184 金洪植, "濟州島地方의 地名語彙攷(II)" 濟州大學校 22 : 29-45, 1986
    • 185 金洪植, "濟州島地方의 地名語彙攷(I)" 濟州大學校 20 : 33-46, 1985
    • 186 박병철, "淸風府 洞里名에 관한 歷史的 考察 - 현재 청풍면으로 편성된 邑內面, 近西面, 水下面 지역을 중심으로 -" 국어학회 (79) : 3-30, 2016
    • 187 朴秉喆, "淸州市道路名硏究(1): 골목길 후부요소를 중심으로" 서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15 : 13-20, 2001
    • 188 姜秉倫, "淸原郡洞里地名" 忠淸北道淸原郡 1990
    • 189 金眞植, "淸原地名의 音韻論" 開新語文硏究會 7 : 114-147, 1990
    • 190 박병철, "洞里名의 形成과 變遷에 관한 歷史的 考察 - 堤川 市內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5 : 95-128, 2016
    • 191 吉敏子, "江原道 地方의 山이름 硏究" 세종대학 대학원 1986
    • 192 김옥자, "江原道 地名의 類型別分布에 관한 地理學的 연구 : 洪川郡과 襄陽郡·束草市를 중심으로" 江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 193 조강봉, "武珍, 馬突·馬珍·馬等良, 難珍阿·月良, 難等良, 月奈에 대하여 - 光州, 馬靈, 鎭安, 高山, 靈巖의 옛 지명 -" 한국지명학회 24 : 71-97, 2016
    • 194 金完鎭, "李崇寧博士 頌壽紀念論叢" 乙酉文化社 1968
    • 195 兪昌均, "日本語와 比較될 수 있는 古地名" 청구대학 4 : 1960
    • 196 沈保京, "日本地名에 반영된 今城(imaki)의 語源에 대하여" 한국어원학회 4 : 111-126, 2001
    • 197 이종철, "日本地名에 反映된 韓系語源再考" 國學資料院 1995
    • 198 李炳銑, "日本古代地名硏究: 韓國옛 地名과의 比較" 亞細亞文化社 1996
    • 199 李庸周, "忠淸北道所在河川名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30 : 1977
    • 200 姜秉倫, "忠淸北道의 地名語硏究" 仁荷大學校大學院 1990
    • 201 成光秀, "嶺東地方地名에 對한 語源論的硏究" 韓國精神 文化硏究院 4 : 1980
    • 202 申敬淳, "小地名語의 類型分類와 固有地名對漢字地名의 代應關係硏究: 忠北一圓을 대상으로" 청주교육대학 9 : 115-142, 1973
    • 203 申敬淳, "小地名語의 命名有緣性의 類型에 關한 硏究: 堤川郡地名을대상으로" 淸州敎育大學 12 : 1975
    • 204 박호순, "安城郡 地域의 固有地名에 對한 考察"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 205 申敬淳, "地名의 類型的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1978
    • 206 국토지리정보원, "地名關聯制度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국토지리정보원 2011
    • 207 김병욱, "地名語의 音韻現象硏究"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 : 1-21, 1995
    • 208 李敦柱, "地名語의 素材와 그 類型에 關한 比較硏究: 地名의 有緣性을 中心으로" 한글학회 1971
    • 209 尹平遠, "地名語의 形態·音韻硏究 : 거제군 지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 210 李敦柱, "地名語辭의 Morpheme alternants에 對하여: 全南地方의 地名을 中心으로" 韓國言語文學會 3 : 1965
    • 211 山中襄太, "地名語源辭典" 校倉書房 1968
    • 212 조항범, "地名語源辭典" 태학사 2005
    • 213 千素英, "地名語原에 대한 一考察" 水原大學校 國語國文學會 10-11 : 663-678, 1996
    • 214 강병윤, "地名語 硏究史 ―1990年代 前半期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지명학회 1 : 219-276, 1998
    • 215 박병철, "地名語 命名의 現況과 課題??道路名 後部要素 命名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14 : 31-53, 2004
    • 216 李喆洙, "地名言語學硏究序說(II): 地名語源論을 中心으로" 仁荷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9 : 1983
    • 217 李喆洙, "地名言語學硏究序說(I): 地名言語學硏究領域을 中心으로" 韓國語文敎育硏究會 35 : 46-65, 1982
    • 218 柳在泳, "地名表記와 그 變遷의 한 考察" 圓光漢文學會 4 : 1-15, 1991
    • 219 李熙昇, "地名硏究의 必要" (1-2) : 1932
    • 220 국토지리정보원, "地名標準化方案硏究" 국토지리정보원 2005
    • 221 金亨柱, "地名形成에 나타난 形態素의 類型攷: 南海地方을 中心으로" 東亞大學校 4 : 1981
    • 222 김영만, "地名 二題 ― 幸州와 驪州 ―" 한국지명학회 10 : 5-26, 2004
    • 223 박병철, "固有語 地名의 漢字語化 過程과 그 對立 樣相에 관한 硏究"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483-510, 2009
    • 224 임양순, "固有地名과 道路名住所의 關係性硏究" 중앙승가대학교대학원 2017
    • 225 이정용, "吐含山 지명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21 : 293-325, 2014
    • 226 李喆洙, "名稱科學의 論理: 地名硏究의 當面課題" 韓國 語文敎育硏究會 28 : 545-553, 1980
    • 227 楠原佑介, "古代地名語源辭典" 東京堂 1982
    • 228 兪昌均, "古代地名表記의 聲母體系: 主로 三國史記의 地理志을 中 心으로" 청구대학 3 : 1960
    • 229 金俊榮, "全北小地名의 語源考" 全羅文化硏究所 (1) : 1985
    • 230 金俊榮, "全北小地名의 語源" 全羅文化硏究所 1 : 1986
    • 231 柳在泳, "傳來地名의 硏究" 원광대학교출판국 1982
    • 232 金正泰, "傳來地名語의 音韻現象" 목원대학교국어국문학과 4 : 5-23, 1996
    • 233 박덕유, "仁川의 行政區域 地名語 硏究(1)" 한국지명학회 8 : 69-92, 2002
    • 234 박덕유, "仁川市 行政區域 名稱과 學校 名稱에 관한 연구" 한국지명학회 16 : 87-118, 2010
    • 235 박덕유, "仁川地域 지하철 驛名 연구" 한국지명학회 13 : 147-177, 2007
    • 236 金俊榮, "也泉金敎善先生停年退任紀 念論叢" 螢雪出版社 1977
    • 237 박병철, "《龍飛御天歌》正音 表記 地名과 漢字語 地名의 對立, 變遷에 관한 硏究 ~·쇠 · : 淵遷 · 金遷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60) : 3-32, 2011
    • 238 미즈노 슌페이,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지명에 나타난 ㄱ구개음화 현상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8 : 75-95, 2012
    • 239 황인덕, "‘신틀(털)-’류 지명의 배경적 고찰" 한국지명학회 19 : 227-265, 2013
    • 240 안귀남, "‘성’ 관련 지명 표기와 ‘성곡동’의 지명 변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7 : 303-344, 2005
    • 241 김정태, "‘마을’(洞, 村)을 지시하는 전래지명어의 한자어화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33 (33): 29-46, 2006
    • 242 金眞植, "‘까치내’의 語源考察" 語文硏究學會 29 : 141-159, 1997
    • 243 姜憲圭, "‘공주’ 지명에 나타난 ‘고마․熊․懷․公․錦’의 어원" 공주향토문화연구회 5 : 1992
    • 244 조항범, "‘地名 語源 辭典’ 편찬을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지명학회 6 : 267-292, 2001
    • 245 Vincenzo Fraterrigo, "RICERCA SUL TOPONIMO "ROMA""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6) : 301-322, 2009
    • 246 박용식, "<진양지(晋陽誌)>에 나타나는 진주의 고지명 고찰(1) - 동면(東面)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0 : 137-159, 2014
    • 247 국토지리정보원, "2016지명 제정 확대 등을 위한 2016년 지명정비 연구보고서" 국토지리정보원 2016
    • 248 국토지리정보원, "2016년 국제지명활동 강화를 위한 전략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16
    • 249 국토지리정보원, "2011 해외 지명 실태 조사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7 0.603 0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