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본의 무역개방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 An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 Openness and CO2 Emissions in Jap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2(12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연구목적: 최근에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는 가운데, 경제성장과 환경의 질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이 많이 시도되고 있어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GDP, 1인당 GDP 및 무역개방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1971∼2009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본 논문은 일본의 무역개방 확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특히, GDP와 1인당 GDP를 모형에 포함하여 이들 변수와 관련한 규모효과(scale effect)와 기술효과(technique effect)를 비교ㆍ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소자승법(OLS)을 이용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대부분의 관심변수는 예상되는 부호를 나타냈으며, 또한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보였다. 특히, 경제적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규모효과가 제품의 공정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기술효과에 비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의 무역개방 확대와 1인당 GDP의 증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연구ㆍ분석의 결과, 소득의 증가로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산업이 앞으로 꼭 필요한 성장산업이기 때문에 이들 산업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아닌 산업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면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에는 본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일본의 산업별 또는 운송 산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한다면 이들 산업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정책변화와 관련하여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헌점: 무역개방이 확대될수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 특히 선진국들의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미리 환경에 눈을 뜬 일본의 경우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력을 배양하여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어 기초적 연구라는 점이 본 연구의 기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sequences and trade openness became an international issue, great effort was attempted consecutively to examine its connection lately.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CO2 emissions with GDP, per capita GDP and trade openness using time series data from 1971 to 2009 in Japa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paper explores the empirical question of whether trade openness is beneficial on CO2 emissions in Japan.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impact of trade openness on CO2 emissions. Further, it uses the ordinary least square methods to examine the scale effect and technology effect with respect to GDP and per capita GDP, respectively.
Results/findings: It turns out that most of the variables have the expected signs even though all of them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2 emission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the scale effect dominates the technology effect. In addition, trade openness and increase in income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CO2 emissions in Japa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study show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actively support the natural eco-friendly industry, because it is considered as a growing industry in the future. However, if the paper analyzes the industry level of CO2 emission, rather than the total amount of CO2 emissions, the study could obtain more meaningful results.
Future work/research: In the future,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investigating Japan's individual industry or transportation industry, the study will achieve more interesting results with respect to change in Japan's recent environmental policy.
Originality/value: The paper finds that as trade openness continues to grow, CO2 emissions were reduced. These results are the same as the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worthwhile to mention that the paper might contribute to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by culturing environmental technology in the futur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2-08-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 Journal of Product Research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6-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 Technology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3 | 0.788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