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6세기 중엽 順天府使 李楨의 성리학 진흥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3-219(27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龜巖 李楨(1512~1571)은 16세기 조선 성리학의 성장에 크게 이바지한 인물이었다. 그는 늘 외관 부임을 자청하였다. 그리고 지방에 나가서는 서원을 창건하고 성리학 서적을 간행하는 등 성리학을 진흥하고자 애를 썼다. 순천부사는 그가 재임한 최종 관직이었다. 더불어 당시 그는 50대 전반기로서 그 학문이나 경륜의 면에서 무르익은 경지에 접어든 인생의 원숙기였다. 이정의 생애에서 순천부사 시절이 각별함을 이해할 수가 있거니와, 그리하여 순천부사 시절의 활동을 더듬어 오랜 外官 守令으로서의 치적을 되새기며, 더욱이 성리학 진흥에 열성을 기울인 의미를 순천 지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헤아리는 게 이 글의 목표이다. 순천에 부임한 이정은 玉川書院을 건립하여 士林의 구심으로 삼았으며, 『景賢錄』과 『性理遺編』을 찬집해서 印刊하는 등 모두 6종의 성리학 관련 서적을 출간하였다. 그와 같은 활동에는 魚得江·宋麟壽와 周世鵬, 특히 李滉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아울러 奇大升을 비롯하여 昇平四隱과 같은 향중 士類의 적극적인 호응과 참여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李楨은 훈척 위주의 중앙정치에 비판적이었다. 그가 외관을 자청하여 즐겨 지방으로 나간 것은, 그러한 중앙과 거리를 두려는 의도에서였다. 그리하여 수령으로 부임한 고을에서마다 성리학 진흥에 열과 성을 다함으로써, 훈척정치를 점진적으로 극복하여 도학정치가 구현되는 이상사회로 나아가고자 노력하였다. 말하자면 李楨이 서원을 창건하고 서적을 편찬 간행하며 성리학 진흥에 나선 데에는, 훈척이 발호하는 중앙정치를 비판하는 의미가 담겨 있었던 셈이다. 순천에서도 또한 그러하기는 매한가지였다. 나아가 그의 학문과 경륜이 한층 빛을 발하는 만년의 원숙기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한층 각별하였다. 이정이 옥천서원을 건립하고 성리학 서적을 편찬 간행하여 보급하는 사이, 순천지역에서는 차츰 성리학적인 질서가 자리를 잡아갔다. 순천사림의 성장과 같은 게 그러한 징표였다. 김굉필의 감화 속에 태동기를 보낸 순천의 사림은, 이정의 성리학 진흥을 하나의 계기로 삼아 구래의 사족을 극복 흡수하며 성장을 거듭하였다. 그리하여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마침내 지역사회를 이끄는 핵심으로 자리를 잡기에 이르렀다. 성리학적인 질서를 정착시켜 도학정치가 실현될 토대를 구축하고자 애쓰던 순천부사 이정의 노력이, 순천사림의 성장으로 이어져 그러한 결과를 이룩해낸 것이었다.
더보기Yi Jeong (1512~1571) was a person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wards growing Neo-Confucianism of Yi Dynasty in the sixteenth century. He volunteered for a local governor. He, as a local governor, made every effort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through establishing private academies (seoweon) and publishing books related to Neo-Confucianism.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was a final post of his being in government service. Also he was then in the first half of his fifties, a mature age in his study and ability with experience. This article tried to look back upon the trace of Yi Jeong’s work in his time of being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The goal of this article was to find (in relation with the Suncheon community)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he paid special attention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Yi Jeong, who arrived in Suncheon County as Magistrate, established Okcheon Academy (Okcheon seoweon) as a center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sarim). He published six kinds of Neo-Confucian books. These efforts were greatly affected by Yi Hwang who was the foremost Korean Confucianist philosopher of his age. In addition,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Neo-Confucian literati like Gi Daeseung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rder to keep awa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uled by the meritorious elite, Yi Jeong volunteered to be a local governor – the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He made every effort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in every place he traveled as Magistrate. He expected that the Joseon society would advance to an ideal society in which the politics under the rule of the meritorious elite would be overcome and moral politics would be realized. While Yi Jeong established Okcheon Academy and published six kinds of Neo-Confucian books, the Neo-Confucian order gradually took its place in Suncheon district. The growth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was a sign. With the stimulation to grow Neo-Confucianism by Yi Jeong,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overcoming and absorbing the traditional yangban literati. Therefore,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took an important position leading the Suncheon community while copi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2 | 0.641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