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철릭의 패턴 분석과 착의 평가를 통한 신모델 패턴 개발 = Development of new models pattern through Cheollik pattern analysis and wearing evaluation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는 유물 철릭 패턴의 구성요소의 형태 변화를 분석하고, 상용 철릭 패턴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통과 미를 유지하면서도 기능적이고 편리한 철릭 신모델 패턴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물 철릭 패턴 분석에서는 전국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 철릭 57건 총 236점의 철릭 정보를 수집하여 1400년대부터 1800년대 이후까지를 100년 단위로 구분하여 연대별 비교 분석하였다. 1592년에 발발한 임진왜란을 기준으로 철릭은 상복의 받침옷에서 융복의 역할에 한해 착용하게 되면서 출현빈도의 감소에 가속화가 이루어지며 유물의 수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유물 철릭의 기본 형태 변화는 없었지만 부분별 형태와 치수는 연대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철릭의 옷길이는 1500년대에서 1600년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옷길이가 급격히 길어지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철릭의 상의(上衣)와 하상(下裳)의 길이는 연대가 흐를수록 상의는 짧아지고 하상은 점점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품과 겉섶은 연대가 흐를수록 품과 겉섶의 너비가 작아지고 반대로 안섶은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연대에 따라 진동길이와 수구너비는 좁아지고 배래너비는 좁아지다가 1700년대에 급격히 넓어져 소매통이 가장 큰 시기로 조사되었다. 깃의 너비는 시간이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지만 고대의 너비는 연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 철릭 패턴 분석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상용 철릭 패턴 6종을 선정하여 평면형 소매로 제작된 패턴 3종 A형(A형-1, A형-2, A-3), 입체형 소매로 제작된 패턴 3종 B형(B형-1, B형-2, B형-3)으로 나누어 철릭 패턴의 형태와 치수를 분석하고 평가용 의복을 제작하여 외관 평가, 동작성 평가, 여유분 평가 등의 착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외관 평가를 위한 평가자는 의류학 전공자 14인으로 구성하였고, 동작성 평가와 여유분 평가를 위한 착용자는 6인으로 구성하여 피험자가 직접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외관평가 결과 A형에서는 A형-2패턴이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하였고, B형에서는 B형-2패턴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성 평가 결과로 A형에서 A형-2패턴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B형에서는 B형-3패턴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고 A형은 B형 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A형의 패턴이 착용 시 더 편안함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유분 평가에서 A형-2패턴은 허리둘레와 소매관련 항목에서 약간 크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B형-2패턴은 소매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체적으로 여유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모델 철릭 패턴 설계에서는 1600년대 철릭을 선정하여 특징을 차용하고 상용 철릭 패턴 분석의 착의평가 결과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A형-2패턴과 B형-2패턴을 연구대상 패턴으로 선정하여 A형-신모델 패턴과 B형-신모델 패턴을 제작하였다. A형-신모델 패턴은 소매와 허리의 여유분량이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슬림한 형태가 되었으며, B형-신모델 패턴은 소매를 제외한 부분의 여유량이 추가되었으며 치마 길이가 줄어든 형태로 개발되었다. 신모델 철릭 패턴의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상용 철릭 패턴의 착의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외관평가에서 A형-신모델 패턴과 B형-신모델 패턴은 A형-2패턴과 B형-2패턴보다 모든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더 좋은 외관을 형성해주는 패턴임을 알 수 있었다. 동작성 평가 결과에서도 A형-신모델 패턴과 B형-신모델 패턴은 모든 동작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착용자가 동작하기에 편리하고 기능적인 패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유분 평가에서는 A형-신모델 패턴과 B형-신모델 패턴은 전체적으로 여유분이 적당하다는 평가를 받아 패턴의 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하였다.
      유물 철릭 패턴 분석과 상용 철릭 패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과 미를 유지하면서도 현재의 트렌드를 반영한 철릭 신모델 패턴이 널리 보급된다면 누구나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겸한 일상복으로서 철릭을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복의 일상화ㆍ대중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한복 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ape change of the components of the Cheollik pattern and to identify the problem of the commercial Cheollik pattern and to develop the functional and convenient Cheollik new model pattern while maintaining tradition and beauty.
      In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excavated costume Cheollik, a total of 236 pieces of information were collected from 57 cases in the museum, and they were divided into 100 years from the 1400s to after 1800s. After the invasion of Japan in 1592, the Cheollik was no longer worn as a daily clothes, but it was worn only as a military uniform and the quantity of excavated costume sharply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age, there was no change in the basic shape of the Cheollik, but there were many changes in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Cheollik. The length of the Cheollik was rapidly increased from the 1500s to the 1600s, and after that the length of Cheollik top became gradually shorter and the length of Cheollik bottom became gradually longer. As the age increases, the breadth of the bodice and the width of Gutseop became smaller and the width of Anseop had tendency to grow larger. According to the age, the length of the armholes and the width of the wrists became narrow and the width of the sleeves narrowed. By the 1700s, the width of the sleeves had widened dramatically, and the width of the sleeves was the largest in the entire survey period. The width of the collar tended to decrease with the passage of time, but the width of the neck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ages.
      In the analysis of the commercial Cheollik pattern, 6 kinds of commercial Cheollik patterns distributed on the market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three kinds of pattern A type (A type-1, A type-2, A type-3) made in flat type sleeves and three kinds of pattern B type (B type-1, B type-2, B type-3) made in three-dimensional type sleeves. After analyzing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pattern of the commercial Cheollik, wearing evaluations of the appearance, mobility, and allowance were carried out. For the evaluation of the appearance, the evaluators were consisted of 14 person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s. In the evaluation of mobility and allowance, 6 persons were evaluated by wearing a dress.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evaluation, A type-2 pattern was the highest score in the A type and B type-2 pattern was the best in the B type. As a result of the mobility evaluation, the A type-2 pattern was the highest score in the A type, the B type-3 pattern was the best in the B type. Clothes belonging to A type were rated higher and more comfortable than those belonging to B type. In the allowance evaluation,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A type-2 pattern was slightly larger in the waist and the sleeves. The B type-2 pattern was evaluated to be insufficient as a whole, except for the sleeve.
      In order to design the Cheollik new model pattern, 1600's Cheollik was selected and borrowed, and A type-2 pattern and B type-2 pattern, which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from the wearing evaluation results of the commercial Cheollik pattern analysi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ttern. A type-new model pattern and B type-new model pattern were produced. The A type-new model pattern has become slim overall as the amount of sleeves and waist is reduced. The B type-new model pattern has been developed with a reduced amount of bottom length, with the addition of extra allowance except for sleeves. In order to verify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Cheollik new model pattern,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commercial Cheollik pattern.
      In the appearance evaluation, A type-new model pattern and B type-new model pattern showed good evaluation in all items than A type-2 pattern and B type-2 pattern. As a result of the mobility evaluation, the pattern of A type-new model and the pattern of B type-new model were high scores in all movements and could be a convenient and functional pattern for the wearer to operate. In the allowance evaluation, it was judged that the replacement of A type-new model pattern and B type-new model pattern was appropriated as a whole, and it was judged that the pattern improvement effect was large.
      Based on the results of excavated costume pattern analysis and commercial analysis of pattern analysis, if the Cheollik new model pattern is widely spread that reflects current trends while preserving tradition and beauty, it can be worn as a daily clothes that can be easily worn by anyone. This will help to make the Hanbok into everyday clothing and popular, and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Hanbok industry.

      더보기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목적 6
      • 1.3. 연구범위 및 내용 7
      • 제 2 장 철릭의 역사적 고찰과 패턴 분석 9
      • 2.1. 한복 패턴 선행연구 분석 9
      • 2.2. 문헌 자료에 나타난 철릭 15
      • 2.3. 회화 자료에 나타난 철릭 25
      • 2.4. 유물 철릭의 현황과 패턴 분석 32
      • 2.4.1 연구방법 32
      • 2.4.2 유물현황 분석결과 38
      • 2.4.3 형태변화 분석결과 48
      • 2.4.4 치수비교 분석결과 55
      • 제 3 장 상용 철릭의 패턴 분석과 착의 평가 65
      • 3.1. 상용 철릭 패턴 분석 65
      • 3.1.1 상용 철릭 패턴 현황 65
      • 3.1.2 상용 철릭 패턴 형태 69
      • 3.1.3 상용 철릭 패턴 치수 71
      • 3.2. 착의 평가 73
      • 3.2.1 연구방법 73
      • 3.2.2 착의 평가 결과 77
      • 제 4 장 철릭의 신모델 패턴 개발과 착의 평가 86
      • 4.1. 철릭 신모델 패턴 개발 86
      • 4.1.1 패턴 개발안 86
      • 4.1.2 패턴 설계 90
      • 4.2. 착의 평가 97
      • 4.2.1 연구방법 97
      • 4.2.2 착의 평가 결과 99
      • 제 5 장 결론 107
      • 참고문헌 111
      • Abstract 120
      • 부록 123
      더보기
      • 1 정약용, "(丁若鏞)",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제9권, null
      • 2 조윤숙, 홍선옥, "한복구성", 경춘사, 서울: 경춘사, 2016
      • 3 이진숭, "묘 출토복식", 국립민속박물관, 2010
      • 4 김은정, "한국의 무복", 민속원, 서울: 민속원, 2004
      • 5 최석조, "단원의 그림책", 경기도:아트북스, 2008
      • 6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서울:한길아트, 1998
      • 7 박선영, "傳統韓服構成學", 서울: 수학사, 2001
      • 8 만력, "20년(萬曆二十年)", 선조 25년(宣祖二十五年), null
      • 9 안휘준, "조선시대 통신사", 삼화, 서울:삼화출판사, 1986
      • 10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경기도박물관, 2006
      • 11 문명희, "帖裏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1
      • 12 박청정, "武藝圖譜通志註解", 서울: 東文選, 2007
      • 13 심연옥, "『한국직물오천년』", 고려대학교 출판부,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02
      • 14 고복남, "韓國傳統服飾史硏究", 서울:一潮閣, 1986
      • 15 풍양조씨, "기증 조경묘 출토유의", 서울:서울역사박물관, 2003
      • 16 여찬영, "조선시대의궤용어사전", 서울:경인문화사, 2012
      • 17 홍우협, "묘 출토17세기 복식논고", 충주:충북대학교 박물관, 1993
      • 18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용인: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 관, 2009
      • 19 김정자,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민속원, 1998
      • 20 이은주, "철릭의 명칭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2(3), 363-371, 1988
      • 21 이경은, "두루마기 구성의 변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22 류영숙, 이정란, "중년 여성의 자켓 패턴설계", 한국의류산업학회,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4), 353-359, 2000
      • 23 이은주, "철릭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3(4). 319-329, 1989
      • 24 장인우, "우리나라 16 17세기 출토복식", 학연문화사, 서울:학연문화사, 1995
      • 25 장현주, "조선시대 출토 견직물의 특성", 복식문화학회, 복식문화연구, 10(5), 532-541, 2002
      • 26 영릉, "참봉 한준민 일가묘 출토유물", 서울: 민속원, 2013
      • 27 이상은, "이응해 출토 복식에 대한 고찰", 조형연구, 13(0), 7-22, 2005
      • 28 안명숙, "한국복식문화사 우리 옷 이야기", 서울:예학사, 2011
      • 29 김문자, "조선시대 저고리 깃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 5, 185-196, 1981
      • 30 김주영, "조선시대 철릭의 피륙[직물]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4
      • 31 송미경, 김진경, 진덕순, "최경선(1561-1622) 묘 출토복식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 66(5), 149-162, 2016
      • 32 조정육, "『조선의 미인을 사랑한 신윤복』", 대한교과서, 서울:미래엔, 2009
      • 33 임원자, "의복구성학-설계 및 봉제-(개정2판)", 서울: 교문사, 2003
      • 34 김지혜, "철릭의 디자인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경희대학교 아트퓨전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35 이영혜, "성인 여자 저고리 패턴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36 최은수, "변수(1447년∽1524년) 묘 출토복식 고찰", 생활문물연구, 2003
      • 37 소황옥, 이경희, "요선철릭의 형태와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 구-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논 집, 18, 1-6, 2003
      • 38 정옥임, "한복바지 구성의 제도법에 대한 고찰",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35(4), 95-109, 1997
      • 39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안동김씨 문온공파-", 용인:경기도 박물관, 2007
      • 40 장인우, "조선중기 솜텰릭 (帖裏) 구성에 대하여", 복식, 52(8), 109-122, 2002
      • 41 심수륜묘, "출토복식-용인출토 청송심씨 정이공파", 용인:경기도 박물관, 2004
      • 42 정옥임, "한복치마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8(2), 75-83, 2010
      • 43 박성실, "화성 구포리 출토복식 소고. 韓國服飾14", 단국대학교 석주 선기념박물관, pp 49-66, 1996
      • 44 강윤경, "한복 르네상스...젊은 층, 외국인이 주도", 마이더스, 3, 84-85, 2017
      • 45 박성실, "천안출토 풍산홍씨 유물소고. 韓國服飾12", 단국대학교 석주 선민속기념박물관, 119-131, 1994
      • 46 정혜경, "조선시대 철릭과 남자 포류와의 상호관계",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24(2), 226-236, 2000
      • 47 장인우, "조선시대 첩리의 명칭과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5(1), 389-400, 1997
      • 48 조흥윤, "그림으로 보는 19세기 한국풍속과 민중의식", 서울: 완자무늬, 2000
      • 49 고부자, "일영 출토 고령 신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1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41-73, 1999
      • 50 조경남, "(趙慶男). (1582∼1610). 난중잡록1(亂中雜錄一)", 임진년 상(壬辰上), null
      • 51 정옥임, "한복두루마기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8(4), 71-81, 2010
      • 52 양승옥, "패션 한복의 디자인을 위한 철릭의 비교 연구", 한복문화학회, 중앙대학교 예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53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원주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서울:국립 민속박물관, 2000
      • 54 이정은, "학령전기 여아의 저고리 원형설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55 최은수, "변수(邊脩1447~1524)묘 출토 요선철릭에 관한 연구", 복 식, 53(4), 163-176, 2003
      • 56 Edward Shils, "김병서, 신현순 옮김 전통, 대우학술총서 번역 51", 서 울:민음사, 1992
      • 57 권수애, 유정자, "고등학생의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지, 15(1), 157-168, 2006
      • 58 이왕숙, "전통 여자저고리의 진동(암홀) 형태변화연구제작", 건국대학 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 59 김영미, 홍정민, "생활한복에 대한 의식 및 선호도에 따른 패턴연구",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5(2), 71-77, 2002
      • 60 박성실, "파주 금룡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16", 단국대 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31-71, 1998
      • 61 고부자, 박성실, "서울 하계동 출토 문화류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 10",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민속박물관, 107-118, 1992
      • 62 이명은, "청주한씨 준민 일가 묘 출토 유물 고찰. 韓國服飾31", 단국 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5-59, 2013
      • 63 고부자,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연구. 韓國服飾27", 단국 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33-80, 2009
      • 64 조민숙, "조선시대 철릭을 응용한 원피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 한남 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65 진선희, "CAD SYSTEM을 잉요한 성인남자 생활한복 상용Pattern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 66 고부자, 박성실, "여주 출토 동래정씨(사암공파) 유물 소고.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민속박물관, 71-79, 1990
      • 67 고부자, 박성실, "성남출토 동래정씨 출토유물에 관한 소고. 韓國服飾 7",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민속박물관, 123-148, 1989
      • 68 이현진, "조선시대 ‘상경(上京)’을 통해 본 수도 한양의 성격", 서울학 연구, 60(0), 63-91, 2015
      • 69 박성실,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壬辰倭亂以前時期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 70 김명이, "전통깃을 활용한 신한복 여자저고리 제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 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71 이주영, "여산송씨 일가 묘 출토 직령교임식 남자 포의 조형 특성", 한국복식학회, 복식, 58(9), 51-67, 2008
      • 72 이명은, "충남 천안시 유량동 여자 묘 출토 복식 고찰. 韓國服飾3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7-57, 2015
      • 73 박성실, "서울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밀창군 복식 소고. 韓國服飾2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85-134, 2004
      • 74 권숙희, 홍선철, "제주 문화상품 갈옷의 패턴 그레이딩 DB를 위한 기초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5(1), 111-125, 2007
      • 75 고부자, "충북 충주시 목계동 출토 풍산홍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13", 단국대학교 석주선민속기념박물관, 51-64, 1995
      • 76 김지연, 조효숙, 임경화, "조선시대 출토복식 중 포류(袍類)에 사용된 직물유형 연구", 복식, 53(4), 113-129, 2003
      • 77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민속원, 2006
      • 78 고부자,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익정(1699∼1782)유물연구. 韓國服飾 1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83-138, 2001
      • 79 안동김씨, "분묘 발굴조사보고서-김수근.병국 가계의 자료를 중심으로-", 온양: 온양민속박물관, 1989
      • 80 김영자, "한복의 황금비분석에 의한 연구 - 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 복식, 8(0), 29-55, 1984
      • 81 송미경, "김확[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 57(7), 98-107, 2007
      • 82 이정선, "정석가(鄭石歌) 의 소재의 의미와 구조로 본 사랑과 그 한 계", 영남학, 29(0), 313-340, 2016
      • 83 권미정, "컴퓨터에 의한 한복 남자 바지 원형의 자동제도에 관한 연 구",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3(2), 146-154, 1989
      • 84 장문희, "생활한복을 응용한 여고생 교복 선호 디자인에 따른 패턴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85 강경희, 최정욱, "착용감 개선을 위한 여자 저고리 패턴개발-20,30대 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복식, 59(1), 94-105, 2009
      • 86 송미경, "조선시대 전기 철릭을 통해 본 진주류씨 묘 출토 복식 연대 추정",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12(2). 139-158, 2009
      • 87 고부자, "경기도 파주 출토 진주강씨(대호, 1541∼1624) 유물 연구. 韓國服飾2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39-119, 2005
      • 88 고부자, 박성실, "고양 능곡 무원 출토 나주정씨 월헌공파 출토유물 소고. 韓國服飾9",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민속박물관, 45-57, 1991
      • 89 박성실, "경기도 광주 출토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 복식 고찰. 韓國服飾2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31-178, 2008
      • 90 도월희, "3차원 가상 의상 모델링 시스템에 의한 모터사이클 재킷의 착의평가",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디자인 문화학회지, 14(1). 105-115, 2008
      • 91 안명숙, "유지경(1576∼1650) 출토복식에 나타난 17세기 중기 의복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9(9), 25-33, 2011
      • 92 조우현, 한정원, "근래 여자저고리의 패턴 변화 -서울 광장시장과 부 산 진시장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복식, 66(3), 1-17, 2016
      • 93 서지혜, 안명숙, "조선 초ㆍ중기 홑철릭에 관한 연구-광주ㆍ전남지 역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4(4), 23-34, 2001
      • 94 홍나영,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 이황 묘 출토 첩리와 창 의류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 20(3), 527-537, 1996
      • 95 박성실, "서울시 중계동 출토 성주이씨 대사헌공 언충(1524∼1582)묘 복식고찰. 韓國服飾2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78-154, 2002
      • 96 이해영, 임지영, "가상착의를 활용한 한복저고리 원형설계의 기초연 구-50대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607-613, 2012
      • 97 이병화, "여성의 기성한복 패턴개발을 위한 사이즈 표준화 연구-한 복 구매고객을 중심으로", 아시아민족조형학보, 8(1), 63-77, 2010
      • 98 이은주, "16 세기 전기 철릭의 구성법 일례 - 김흠조(1641∼1528) 분묘 출토의 철릭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복식문화연구, 7(2), 242-256, 1999
      • 99 금종숙,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연구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한국의 복식문화사, 345-365, 2006
      • 100 박성실, "덕온공주가 유물 소장 배경과 유형별 특징-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韓國服飾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7-47, 2012
      • 101 안명숙, "전남지역 출토복식 일례에 관한 연구 -16세기 상산김씨 김 세유 묘, 문화유씨 유사경의 어머니 묘 출토유물-", 남도민속학회, 남도민속연구, 18, 167-195, 2009
      • 102 박성실, "廣州郡突馬面朽栗里出土全州李氏義安大君寧昭公派 遺物小考광주군 돌마면 후율리 출토 전주이씨 의안대군 양소공신 유물 소고. 韓國服飾1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57-142,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