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Зарождение шко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реди корей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Южно-Уссурийского края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IX века = The Emergence of Elementary Schools among Koreans in the Southern Ussurisk Reg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2(70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에서 우리는 1868년 첫번째 학교가 창립된 때로부터 19세기말까지 러시아 원동의 남부지역에 살고 있던 한인거주지에서의 학교 교육의 진보적인 발전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를 몇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 지신허와 얀치허에
최초의 학교들이 설립되는 1860년대, 1870년대, (2) 선교학교의 보급이 이루어지는 1870년대, 1880년대, (3) 면청(面廳)에 의해 학교가 설립되는 1890년대.초기에 개설된 한인학교들은 러시아당국에서 지불한 자금으로 세워졌다. 그러나 이 자금들은 부정기적으로 간간이 지불되었기 때문에 이 학교들은 수시로 문을 닫아야만 했다. 그런데 이 시기에 러시아주민들을 위한 초등학교 설립을 위해 국고가 지불된 바가 없다는 사실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1870년대에는 러시아정교 교회가 남부우수리지방의 한인들에 대한 선교를 시작하였다. 교회당이 세워지고 그 산하에 학교가 개설되었다. 이들 선교학교는 점차 한인사회의 초등교육기관의 주요한 전형이 되었다. 선교학교에 다닌 학생들가운데는 러시아어와 학업에 뛰어난 학생들이 많았다.1890년대에는 한인학교들이 지역학교로서 공식적인 지위를 획득하였다. 이 시기에 한인학교들은 물질적인 상태가 안정되어 있었다.19세기말에 이루어진 모든 대형한인거주지에서의 학교설립은 20세기초의 수준높은 학교교육(2학급의 학교, 여학교, 교사직에 맞는 준비된 전문교사의 초빙)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제(前提)들을 형성해 주었다. 이들 모두는 촌회의 자금과 학부모의 물질적 지원을 끌어들인 덕택으로 가능하였던 일이다. 특히 한인교육의 발전에 대한 면장 표트르 세묘노비치 최(최재형-역자)의 커다란 공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의 가치에 대해 깊이 깨닫고 있던 한국인들의 멘탈리티에 대해서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인들은 새로운 땅에서 모든 뒤얽힌 난관들을 극복해가면서,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다른 환경에서도 자신들의 마을에 학교를 설립하려고 노력하고 아이들에게 기초지식을 교육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것이다.
In this paper, we review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among Korean settlers in the southern Ussurisk Region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school in 1868 to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We can divide the period into three stages of elementary educational development: (1) the 1860s and 1870s-the opening of the first schools in Tizinkhe and Ianchikhe villages, (2) the 1870s and 188s-the spread of missional schools, (3) the 1890s-the establishement of schools supported by volost'(myeon) administrations.
The opening of early Korean schools was supported by the funds provided by the Russian authorities. These schools, however, had to be closed frequently because of the irregular and intermittent financial support.
We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Russian government had never expend government asset to the elementary education of Russian children in this period. In the 1870s, Russian orthodox churches began to their missionary works among Koreans in the southern Ussurisk region. Elementary schools for Koreans were also established when Russian orthodox churches were built. These missionary schools became the examples of
elementary education for Koreans. There were a number of excellent Korean students who were good at Russian and othe studies. In the 1890s, Korean schools obtained the authorized official status by the local administrations as the public village schools and their financial conditions became stabilized.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in all large Korean villages can be said to have prepared preconditions for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two-course-school, girls's school, the invitation of qualified teachers). The stable financial conditions of Koreans schools were possible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village funds and parents' material support. Especiall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contribution made by Pyotr Semyonovich Tsoi, the
headman(dohon) of Ianchikhe bolost'(myeon). We need to mention the mentality of Korean people who deeply understood the value of education. While Koreans ovecoming all kinds of obstacles, they had also strived to establish schools in their villages for providing basic education to their childre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