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욕망매개자·희생양에서 충동주체로의 이행 <밤의 해변에서 혼자> = Transition from Desire Mediator and Scapegoat to Drive Subject <On the Beach at Night Alone>
저자
한귀은 (경상국립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7-479(4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thesis discusses Hong Sang-soo’s film <On the Beach at Night Alone> (2016) with a focus on the Motif of the Scapegoat. Unlike the general scapegoat motif, <On the Beach at Night Alon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 who was the Mediator and scapegoat of Desire, transitions to the Subject of Driv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how the protagonist of <On the Beach at Night Alone> moves from being a scapegoat to an Subject of Drive in preparation for <Hotel by the River> and <The Woman Who Ran>.
Prior to 2015, it was difficult to find a scapegoat motif in Hong Sang-soo’s films. In his film, the narrative of desire was the main plot, but most of it was the narrative of the Snob, who desires the desire of others and seeks Recognition. Otherwise, ‘Young-hee’, the main character of <On the Beach at Night Alone> becomes a object of ressentiment and the scapegoat placed in a State of Exception as Inclusion and Exclusion by the system.
However, Young-hee is not engrossed in the cycle of her desire, but transitions to drive and Jouissance. The fact that she is transitioning to drvie and jouissance can also be found in her quest for impossible love. She rejects the Imaginary and narcissistic love or the Symbolic desire. And she pursues the Real love as Pure Desire.
Dreams catalyze her transition to an subject of drive. The dream is a dream as Ttraversing the Fantasy, realizing that there is nothing behind the veil of fantasy. Young-hee’s goal is not to possess the object of desire, but to constantly revolve around the impossible the Real goal of ‘true love’.
This symptom of the Real is alluded to through ‘anonymous man in black’. the anonymous is the subject of the Gaze, but is not the object of the Eye. The split between the gaze and the eye takes place, and this makes the anonymous the Real character. However, the anonymous creates alienation effect by generating a comic relief.
By examining the transition of the scapegoat to the drive subject in <On the Beach at Night Alon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ransformation of Hong Sang-soo’s films. Also, in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reconsider the problems of desire and violence that are prevalent in our society, and the real jouissance rather than fantasy.
이 논문은 홍상수의 영화 <밤의 해변에서 혼자>(2016)를 희생양 모티프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밤의 해변에서 혼자>는 일반적인 희생양 모티프와 다르게 욕망의 매개자이자 희생양이었던 주인공이 충동의 주체로 이행한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 논문은 <밤의 해변에서 혼자>의 주인공이 희생양을 넘어서 어떻게 충동주체로 이행해 가는지 <강변호텔>, <도망친 여자>와 대비하면서 논의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2015년 이전 홍상수 영화에서는 희생양 모티브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홍상수의 영화에서는 욕망의 서사가 주된 플롯이었지만, 그것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고 인정을 추구하는 스놉의 서사가 대부분을 차지했었다, 이와 다르게, <밤의 해변에서 혼자>의 주인공은 욕망의 시스템에서 르상티망의 대상, ‘포함된 배제’로서의 ‘예외상태’에 놓인 희생양이 된다. 그러나 영희는 욕망의 순환 구조에 매몰되지 않고 충동과 주이상스로 이행해 간다. 이것은 그녀가 불가능한 사랑을 지향한다는 점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녀는 상상계적이고 나르시시즘적인 사랑, 상징계적인 욕망을 거부하고 실재계적인 사랑, 순수욕망으로서의 사랑을 추구한다.
꿈은 그녀가 충동주체로 이행하는 데 촉매가 된다. 그 꿈은 환상의 베일 뒤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환상 가로지르기’로서의 꿈이다. 영희에게는 욕망의 대상을 소유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진정한 사랑’이라는 불가능한 실재계적인 목표의 주위를 끊임없이 선회하는 것 자체가 목표가 된다.
이 실재계적인 징후는 ‘검은 옷을 입은 익명의 남자’를 통해 암시된다. 익명남은 응시의 주체이지만, 시선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응시와 시선의 분열이 일어나고, 이 때문에 익명남은 실재계적인 속성을 띤다. 동시에, 익명남은 희극적인 분위기로 코믹 릴리프를 형성함으로써 소격 효과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관객은 주인공에 대한 감정이입이나 극적 환영보다 지적인 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밤의 해변에서 혼자>에 나타난 희생양의 충동주체로의 이행을 살펴봄으로써 홍상수 영화의 변모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이 과정에서 우리 사회에 만연한 욕망과 폭력의 문제, 환상이 아닌 진정한 향유에 관해 재고찰할 수 있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