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규방공예(閨房工藝)의 조형적 특징을 응용한 현대도예연구 = A Study of Gyubang Crafts for Translation into Clay as an Artistic Express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26(1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Gyubang, Korean women’s quarter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limiting was the mainstream tendency of Confucian philosophy for the female gender. This was a space restricted to females only. The craft works made in the gyubang spaces fulfilled creative needs and released energies of Korean women. What they created was unique with distinct character. The craft works were feminine in aesthetics with special traits.
This study researches the circumstances confronted by Joseon dynasty femal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raft works of gyubang culture.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at the time are researched to translate into clay as an artistic expression for creating new works. The concept behind gyubang craft works is studied to understand its significance and philosophy. The formative language applied to gyubang craft work is defined in terms of point, line, and plane. The diverse expressions in their craft based on these focal formative tendencies produced sewing methods, embroidery, pojagi(Korean patchwork). Contemporary ceramics is able to translate almost anything into clay. Here in this study, points are expressed by applying the sewing method, lines are based on embroidery, planes interpret Korean pojagi. Research for the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Through the study, it has been possible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the diversity it embraces to be applied to contemporary ceramics today. It is important to succeed tradition and history in order for further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ceramics. Infinite possibilities can be suggested by studying the gyubang culture and its craft works.
규방공예는 조선시대 유교사상을 배경으로 나타난 특별한 공간인 규방을 배경으로 탄생하였다. 규방에서 만들어진 공예는 여성들만의 창조적 욕구와 특별한 감성을 바탕으로 그들만의 독특한 조형미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가족과 집안의 문화와 역사를 내포하고 있는 규방공예의 조형미를 통해 현대도예에서 보이는 다양한 표현을 이해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규방공예의 조형적 특징을 점, 선, 면으로 분류하였고, 이를 규방공예의 다양한 표현 및 전통적 기법인 침선, 자수, 조각보로 연계하여 현대도예의 표현 해석을 위한 모티브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① 침선의 반복과 숙달의 결과물인 점의 연속을 통한 운동감(정소혜), 규칙적인 점의 심리적 연결성(룻 레일만), ② 자수의 선의 반복을 통한 면적 공간 형성(김선), 선의 규칙적 나열에 의한 입체감(박정홍), ③조각보의 면의 중첩을 통한 형의 형성(이기조), 면의 시각적 중첩에 의한 밀도 표현(웨인 힉비) 등 규방공예의 조형미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 가능한 작가들의 작품을 선별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는 민족에서 작게는 가족마다의 역사와 문화에 의해 생성된 독특한 의미와 감성 그리고 미감이 담긴 규방공예를 이해하고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조형적 접근을 통해 현대도예의 다양한 표현을 재해석하였다. 연구는 전통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실험, 그리고 융합 등을 통해 새로운 표현 창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3-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6-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58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