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동연구로서 조선전기 역학사상사 서술 모식 연구 =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Writing the Intellectual History of Yijing Thought in Early Joseon: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저자
이선경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45(3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논문은 공동연구로서 ‘한국역학사상사’를 집필한다는 목표 아래, ‘조선전기 역학사상사’ 서술을 위한 서술 모식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역학통사를 집필하기 위해서는 역학사, 역철학사의 형태보다는 역학사상사의 형태가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한편으로는 역학 문헌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한편으로는 사상사의 방식을 취할 때, 시대정신 및 구체적 삶과 조응하는 한국역학의 모습을 조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전기의 시대구분은 14세기말~ 15세기를 한 분기로 보고, 율곡 이이를 하한선으로 하는 16세기 易學을 한 분기로 설정한다. 서술 모식은 먼저 당대의 정치사회적 과제와 시대정신과의 조응이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고 역학연구의 세기별 아젠다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15세기 역학 : 역에 대한 경학적 관심-유교국가로의 전환과 유교사회의 기틀 잡기”, “16세기 역학: 易과 성리학의 상호발전- 자연을 리기와 상수로 구조화하여 의리의 토대로 삼다”와 같은 방식이다. 그리고 세기별 아젠다에 따른 연구 소주제를 응용역학 분야까지 확장하여 구체화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의 한국역학사상사의 서술은 관점의 통일과 같은 공동집필이 갖는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시대의 정치사회, 학술문화, 생활양식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주역’을 연구함으로써 삶 속에서의 ‘주역’의 위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인접 학문 분야에서 주역의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art of a collaborative project to compile a History of Korean Yijing Thought, explores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writing the intellectual history of early Joseon Yijing studies. It argues that a history of Yijing thought (易學思想史) is more appropriate than a general history of Yijing studies (易學史) or Yijing philosophy (易哲學史),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of primary texts and the ability of the intellectual history format to reflect the spirit of each era and its lived realities.
The study divides early Joseon into two phases: the late 14th to 15th centuries, and the 16th century up to Yi I (Yulgok). It sets thematic agendas for each century based on historical context and intellectual trends—for instance, “15th-Century Yijing: Philological Engagement and Confucian Nation-Building” and “16th-Century Yijing: The Mutual Development of Yijing and Neo- Confucianism.” These agendas can be expanded into detailed subtopics, including applied Yijing studies.
This approach helps mitigate challenges of collaborative authorship while situating Zhouyi studies withi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each period. It also highlights the Yijing as a dynamic and lived tradition, potentially encouraging renewed interest in related academic field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