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특구제도 활용을 통한 지역 활성화 사례연구 ‒일본의 국가전략특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ases of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Use of Special Zone System -Focusing on Japan’s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3-170(28쪽)
제공처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역경제의 침체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현행 일본의 국가전략특구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전략특구는 ‘세계에서 가장 사업하기 좋은 환경’의 조성이며, 대담한 규제개혁 등을 통해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민간의 활력을 최대한 끌어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특구가 규제완화를 통해 특정 지역의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경향이 강한 반면에 국가전략특구는 일본의 핵심 지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완화의 성격이 강하다. 둘째, 현재 국가전략특구는 일반 유형, 슈퍼시티형 국가전략특구, 혁신적 사업연계형 국가전략특구 등 3가지 유형이 존재하며, 일본 전국 13개 지역에서 도입돼 운영되고 있다. 2023년 3월 기준 국가전략특구 전체의 규제개혁 메뉴 활용 건수는 총 73건, 사업 인정 건수는 총 473건으로 나타났으며,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지역 활성화 차원에서 국가전략특구의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대안으로 ① 규제완화 이외의 포괄적인 지원체제 구축, ② 특구 전용 펀드의 조성 및 운영, ③ 스타트업과 대기업과의 사업 제휴 활성화, ④ 민박 특구와 연계한 창업 아이템의 발굴 및 사업화 추진, ⑤ 기업가정신 함양 교육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cases of regional revitalization using Japan’s current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amid the recent accelerating recession in the regional economy.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 is the creation of ‘the world’s best business-friendly environment’ and its purpose is to promote corporate investment and maximize the vitality of the private sector through bold regulatory reform. While existing special zones have a strong tendency to develop industries in specific regions through deregulation,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have a strong nature of deregulat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Japan’s core regions. Second, there are currently three types of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general type, super city-type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 and innovative business-linked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 and they have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in 13 regions across Japan. As of March 2023, the total number of cases of utilizing the regulatory reform menu across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was 73, and the number of business approvals was 473, showing a gradual expansion trend. Third, policy alternatives to expand the use of national strategic special zones in terms of regional revitalization include ①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other than deregulation, ② creating and operating a special zone-specific fund, ③ activating business partnerships between startups and large corporations, and ④ Discovery and commercialization of start-up items in connection with the guesthouse special zone, ⑤ activating education to foster entrepreneurship.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