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규모 집약형 축산으로 인한 복합적·누적적 리스크와 법적대응 방안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45(3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오늘날의 대규모 집약형 축산업은 인공수정, 선별적 육종방식, 유전공학을 활용한 동물복제기술 등을 통하여 대량의 식품용 동물을 생산한다. 또한 육류 생산량을 최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위면적당 가축수를 최대로 밀집시키는 집약적 방식으로 가축을 사육한다.
이러한 축산시스템은 항생제 및 성장촉진제의 오남용, 살충제의 과다사용, 인수공통의 가축전염병 발병 등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보건상의 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지구온난화 문제를 포함하여 수질 및 토양오염, 악취, 폐기물 발생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도살되기 전까지 동물의 본능과 습성은 무시된 채 비좁은 공간에서 사육되는 등 동물복지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은 합성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GM 연어, GM 돼지, GM 소등과 같은 GM 동물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GM 동물 생산기술이 집약형 축산시스템과 결합되는 경우 GMO 관련 문제들(위해성 여부, 생태계 방출 문제 등)을 포함하여 동물복지의 훼손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약형 축산시스템의 문제들은 리스크로 파악 가능하고, 따라서 여기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할 것인가가 주요한 법정책적 현안이 되고 있다.
이 글은 집약형 축산시스템의 실태와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집약형 축산시스템으로 인한 문제에 적절히 대응하여 공공의 이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보건과 환경, 그리고 동물 분야의 법과 정책이 조화롭게 작동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는데, 대규모 집약형 축산시스템 극복을 위하여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사람의 건강, 동물의 건강, 그리고 환경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동물의 건강과 복지는 사람의 건강과 복지와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One Health, One Welfare’ 개념을 법과 정책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관련된 문제들을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다. 둘째, 집약형 축산시스템이 야기하는 확실한 위험 또는 잠재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하여 예방의 원칙 또는 사전배려의 원칙에 입각한 대응이 요구된다. 셋째, 현재의 집약형 축산시스템을 동물복지 축산으로 전환해 나갈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정책적 지원을 하고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배양육 산업에 대한 투자 증가 및 관련 기술의 발전추세로 볼 때, 배양육이 기존 축산물을 일정 부분에서 대체할 시기가 곧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우리나라도 배양육 연구 및 산업 기반 마련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을 필요가 있다.
Today, livestock farming industry seeks for maximizing the profits by promoting improvement of economic feasibility and efficient through livestock farming system which consists of mass production, raising and slaughter of livestock. Thus, the industry takes a raising method to ensure that the output of meat production can be maximized and the costs thereof can be minimized by raising the livestock in an intensive way that the number of livestock is maximized.
In this situation, the animals which are born and raised in this system are treated like a thing thoroughly and nothing more than a property subject to the ownership. Thus, the instinct and habits of those animals have never been taken account of and those animals are raised in poor environments until they are slaughtered and become food products.
This livestock farming system causes not only severe problem of environment pollution including water pollution and generation of wastes but also health problem including threat to human life and health by using excessive antibiotics and growth hormone. Moreover, the system generates the situation that the animal welfare is severely damaged since the animals raised in the system spend their lifetime while their instinct and habits are totally disregarded. We call this system as ’Concentrated Factory Livestock Farming System(CFLFS).
In these days, the voices of remorse on CFLFS get louder in the West and the movement of consumers desiring not to purchase the products produced through CFLFS has been extended, which leads the people engaging in livestock farming industry to have a concern about that the traditional form of that industry will encounter a crisis. Reflecting this reality, a number of western countries have been seeking for a conversion from CFLFS to a animal -welfare typed livestock farming system.
This paper seeks for an alternative and examines a plan for improvement through solidarity and integrated approach of health law and environment law, and animal law. Since the problems arising out of CFLFS mainly include the ones of environment law (including environment and health problem) and animal law, that solidarity and integrated approach for solving those problems will be very helpful to find out various plan for solving those problem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7 | 0.69 | 1.034 | 1.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