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이 교육 내용의 개념에 주는 시사점 = An Implication of Socratic Conversation on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nt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5-232(1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and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light of Socratic conversation, and bring out its implications on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ntent. The clarification is expected to examine the concept of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 Socratic questions make possible for the counterparts to perceive and resolve the contradictions of their arguments, to make interpretations of it in alternative ways, and apply them in the appropriate contexts. The Socratic conversation conducted with proper questions and anwsers, make the ‘upper’ mind, that is, ‘the true self’ influence on the ‘lower’ mind of the counterpart who participates in it. It is not only the method to acquire knowledge but to form the good attitudes as well. The good attitudes refer to the cooperation with others and mutual trust in joining the conversation. Plato’s dialectic, the origin of which is the Socratic conversation, is not just a technique of learning. It also refers to the mind on which the ‘true self’ has been influencing. Therefore, Plato’s dialectic is itself the knowledge which has been forming the integrated ability. Idea of the Good is to be interpreted as the source of the ‘true self’. A teacher, sharing the ‘true self’ of a learner, helps to form the integrated ability of his or her counterpart. In light of Socratic conversation, educational content is to be considered as the integrated ability in virtue of obtaining the ‘true self’.
더보기본 논문의 목적은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에 비추어 정보와 지식의 차이와 관련을 규명함으로써 교육 내용의 성격을 밝히는 것에 있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에 비추어 보면 지식은 정보에 들어 있는 모순을 지각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하여 획득하는 능력, 즉 정보를 해석하고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대화술에 의거하여 정보의 타당성을 검토한다는 것은 ‘참된 자아’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대화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정보에 들어 있는 모순을 지각하고 극복하며, 정보를 적절한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한다. ‘참된 자아’의 원천은 선의 이데아이다. 선의 이데아는 지식의 대상들에 진리를 부여하고 인식의 주체에게 인식의 힘을 준다. 참된 자아를 획득하는 것은 상호 협력, 상대방에 대한 신뢰와 배려 등의 태도를 표현하는 것과 동전의 양면을 이룬다. 이 점에 비추어 보면 대화술은 훌륭한 마음의 표현을 가능케 한다. 대화술을 모태로한 플라톤 변증법 역시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참된 자아’, 그리고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의 생활 방식 전체를 가능케 하는 훌륭한 마음을 포함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에 비추어 보면 교육 내용은 정보들의 체계가 아니라 정보들을 해석, 적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그와 일관된 훌륭한 태도가 통합된 능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3-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 KCI등재 |
2011-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8 | 1.27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