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어 자원 구축 정책 연구 - 언어모델의 한국어 성능 향상을 위한 자원 중심으로 - = Korean Language Resource Construction Policy - Focusing on Resources for Improving LLM's Korean Performance -
저자
위진 (국립국어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23-547(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에서는 한국어 언어모델 개발 및 한국어 성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자원 구축 정책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한국어 자원 구축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개발 주요 국가의 언어별 자원 구축 정책 및 자원 현황을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한국어 자원 구축 정책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자원은 정부 기관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국립국어원 주도로 구축되고 있으며, 언어모델의 한국어 성능 향상을 위한 자원은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하고 있다.
언어모델의 한국어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단계별·수준별 자원 구축이 필요하므로 이 글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한국어 자원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자원의 구축량보다는 품질을 추구하고, 둘째, 한국어 심화 분석, 공시성과 통시성, 매체, 지역 등 단계별․수준별로 구축하고, 셋째, 멀티모달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대응하여 한국어 텍스트 중심에서 한국언어문화 멀티모달 자원으로 범위를 확대하며, 마지막으로 생성형 언어모델의 환각 현상을 줄이기 위해 지식그래프와 한국어 지식자료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Korean language resource construction policies aimed at developing Large Language Model(LLM) and enhancing their performance in Korean. It also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resource construction from a prospective viewpoint.
To achieve this, we compared the language resource construction policies and current status of major AI-leading countries and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resource construction policies in our country.
The 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resources is led by government agencies like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NIKL), with NIKL developing corpora to improve the Korean performance of LLMs.
For enhancing LLM's Korean performance, phased and level-specific policies for Korean language resources a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Korean language resources built by NIKL and proposes policy directions. Firstly, it suggests focusing on quality over quantity of resources. Secondly, it recommends building resources by level and phase, including advanced Korean analysis, synchronic and diachronic aspects, media, and regions. Thirdly,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AI technologies, it proposes expanding the range from Korean text-centric resources to Korean language culture multimodal resources. Finally, to reduce hallucination phenomena in generative LLM, this study suggests constructing knowledge graphs and Korean knowledge resourc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