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횡경막상부에 국한된 임상적 병기 1-2기 호지킨병에서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의 분석 = The Analyses of Treatment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Supradiaphragmatic CS I-II Hodgkin's Disease
저자
박원(Won Park) ; 서창옥(Chang Ok Suh) ; 정은지(Eun Ji Chung) ; 조재호(Jae Ho Cho) ; 정현철(Hyun Cheol Chung) ; 김주항(Joo Hang Kim) ; 노재경(Jae Kyung Roh) ; 한지숙(Jee Sook Hahn) ; 김귀언(Gwi Eon Kim)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SCOPUS,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1(11쪽)
제공처
목 적 : 시험개복술을 시행하지 않은 임상적 병기 1기, 2기 횡경막상부 호지킨병에서 후향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시험개복술의 필요성을 재검토하였고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예후 인자군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에서 1995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횡경막 상부에 국한된 임상적 병기 1-2기 호지킨병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던 5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4-67세까지 였으며 중앙값은 30세였고 병기별로는 ⅠA, ⅡA, ⅡB가 각각 16례, 25례, 10례였다. 방사선치료는 4, 6 MV 광자선으로 매일 1.5-1.8Gy씩 19.5Gy에서 55.6Gy(중앙값 : 45Gy)가 조사되었으며,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 전후에 2-12회(중앙값 : 6회)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 단독, 항암화학방사선
병용요법, 항암화학요법 단독이 각 각 31례, 16례, 4례에 시행되었고 방사선치료는 involved field 방사선치료가 3례, 맨틀방사선치료가 26례, 부분적림프절방사선치료가 18례에서 시행되었다. 생존율 분석은 Kaplan-Meier method, 유의성 검증은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 5년 전체 생존율은 87.6%, 무병 생존율은 78.0%였다. 완전 관해된 50례 중 림프절만 재발한 경우가 4례, 간이나 폐 또는 비장에서 재발한 경우가 3례, 림프절과 간에 동시에 재발된 경우가 1례 있었다. 재발한 8례중 구제 치료가 항암화학요법 단독, 방사선치료 단독,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이 각 각 4례, 1례, 2례에서 시행되어 이중 2례만 구제되었다. 여성이거나 거대 종격동 림프선비대가 있는 경우에 재발이 의미있게 많았고 전체 생존율은 B 증상이 있거나 임상적 병기가 높을수록 의미있게 낮았다. EORTC 예후 인자군에 따른 5년 무병 생존율은 very favorable군(VF군), favorable군(F군), unfavorable군(U군)이 각각 100, 100, 55.8%, 5년 전체 생존율은 100, 100, 75.1%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VF군과 F군은 방사선치료만으로도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U군에서는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시 방사선치료 단독보다 적은 재발율을 보였으나 생존율은 비슷하였다.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경우에 맨틀방사선치료보다 부분적
림프절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에 무병 생존율이 높았다.
결 론 : 횡경막상부에 국한된 호지킨병에서 시험개복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좋은 치료 결과를 보여주었다. 성별, 거대 종격동 림프선비대가 무병 생존율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었고 B 증상, 임상적병기는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예후 인자였다. 그리고 EORTC 예후 인자군에 따른분류가 예후 예측과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assess the necessity of staging laparotomy in the management of supradiaphragmatic CS Ⅰ- Ⅱ Hodgkin's disease. Prognostic factors and the usefulness of prognostic factor groups were also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85 to 1995, fifty on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upradiaphragmatic CS Ⅰ- Ⅱ Hodgkin's disease at Yonsei Cancer Center in Seoul, Kore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ge range was 4 to 67 with median age of 30. The number of patients with each CS ⅠA, ⅡA, and ⅡB were 16, 25, and 10, respectively. Radiotherapy(RT) was delivered using 4 or 6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19.5 to 55.6Gy (median dose : 45Gy) with a 1.5 to 1.8Gy per fraction. Chemotherapy(CT) was given in 2-12 cycles(median : 6 cycles). Thirty o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T alone, 4 patients with CT alone and 16 patients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RT volumes varied from involved fields(3), subtotal nodal fields(18) or mantle fields(26).
Results : Five-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DFS) was 78.0% and overall survival rate(OS) was 87.6%. Fifty patients achieved a complete remission after initial t reatment and 8 patients were relapsed. Salvage therapy was given to 7 patients, 1 with RT alone, 4 with CT alone, 2 with RT + CT. Only two patients were successfully salvaged. Feminine gender and large mediastinal adenopathy were significant adverse prognost ic factors in the univariate analysis for DFS. The significant adverse prognostic factors of OS were B symptom and clinical stage. When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EORTC) prog-nostic factor groups, the DFS in patients with very favorable, favorable and unfavorable group
was 100, 100 and 55.8%(p<0.05), and the OS in each patients' group was 100, 100 and 75.1%(p<0.05), respectively. In very favorable and favorable groups, the DFS and OS were all 100% by RT alone, but in unfavorable group, RT with CT had a lesser relapse rate than RT alone. The subtotal nodal irradiation had better DFS than mantle RT in patients treated with RT.
Conclusion : In present study, the DFS and OS in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taging laparotomy were similar with the results in the literatures of which patients were surgically staged. Therefore, we may suggest that staging laparotomy would not influence the outcome of treatments. In univariate analysis, gender, large mediastinal adenopathy, B symptoms and clinical stag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the survival rate. We confirm the usefulness of EORTC prognostic factor groups which may be a good indicator to select the treatment modal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