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그린파트너십과 지자체국제협력(MIC)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51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9-94(16쪽)
제공처
21 세기 동북아 정세에 대한 전망은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21 세기에 동북아지역이 세계경제의 중심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러나 동북아의
위기적 정세에 대한 우려 역시 심상치 않다. 21 세기 동북아는 미 · 일 · 중 · 러의 치
열한 다툼과 남 · 북한의 군사적 긴장이 감도는 가운데 ‘불안한 평화’으| 시기를 맞
고 있다 정치 • 군사적인 갈등 이외에 에너지 • 식량 • 환경 문제도 심각하다 동북
아는 이런 정치 • 군사적 긴장과 대립, 에너지 • 식량 •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체제의 구축이 절실하지만,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견실한 지역협
력의 틀을 아직 갖추고 있지 못하다. 근래 역내 중앙정부들이 동북아 협력에 관심
을 표명하기 시작했지만, 가까운 장래에 국제협력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20여 년 동안 세계의 선구적 지방정부들이
공정무역 (fair trade) , 환경보호, 인권보장, 긴장완화, 평화정착 등에서 NGO들과 연대
하여 국제협력을 실천함으로써 세계시민사회의 건설에 기여해온 모범적 선례들은
향후 동북아 협력의 대안적 국제협력 방안으로서 우리의 기대를 모은다. 이런 관점
에서 본 논문은 21 세기 동북아공동체의 형성운동이 지향해야 할 이념과 전략으로
서 동북아그린파트너십 (Northeast Asian Green Partnership) 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
를 실현하기 위한 지자체국제협력 (Municipal International Cooperation: MIC) 의 발전
과제에 관해 논의한다.
Many experts’ prospects for the 21St century's Northeast Asian situation have been
intermingled with bright expectations and dark worries. on the one hand, there has been
a general consensus that the 21st century’ s Northeast Asian region will be the most
active and predominant hub of the global economy. on the other hand, experts have
expressed gloomy, views of the 21st century’ s Northeast Asian region. Actually, we have
already experienced serious challenges engendered by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orporation of Northeast Asia into the global economy. Northeast Asian region is
confronted with the fierce competition of military buildup amongst countries, the problems
of energy and food shortages,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Nonetheless, Northeast Asia
do not equipped with a sound and reliable regional cooperation framework, such as the
European Union and the NAFTA Fortunately,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98, East
Asian countries have shown positive attitudes toward bringing regional Cooperation
endeavours to a higher plane. The forming and operating of ’ASEAN Plus Thre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se movements. At this juncture, I suggest that Municipal
International Cooperation (MIC) movement be utilized as a potent policy lever to cope
with the serious challenges facing North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Northeast Asian Green Partnership’adopted as a
vision-cum-strategy of MIC movement for building a Northeast Asian Community.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discussing future tasks for the promotion of MIC move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