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회운동의 제도화와 민주주의의 발전 : 이론과 쟁점 Theories and Debates = Institutionalization of New Social Movements and Development of Democracy
저자
서두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조교수)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The Center for Soci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34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9(37쪽)
제공처
소장기관
20세기 후반 오랫동안 지속되어오던 권위주의체제의 붕괴는 제3세계에서 신사회 운동의 성장을 촉발시켰으며, 이것은 신사회 운동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증대 시켰다.본 논문은 이미 출간된 2차 자료를 토대로 북남미와 유럽의 다양한 신사회 운동의 경험을 비교, 역사적 접근방식에 따라 분석한다.기존 사회 운동론 연구는 난해한 이론적, 방법론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국가간에 존재하는 역사적, 사회적 조건의 명확한 차이로 인해 운동의 결과에 대한 분석은 다양하고, 때로는 상반된 평가를 도출해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운동의 제도화가 국가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적 통로를 확보하고 체제 내의 개혁적 정치 세력들과의 정치적 연대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민주주의 공고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정치적 과정이라는 사실을 밝혀낸다.운동의 제도화하는 운동조직의 특정한 성격과 유리한 정치적 기회구조의 융합의 결과로 나타나는 역사적 산물이다.그러나 운동의 제도화가 항상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것은 아니다.운동조직의 분명한 집단정체성과 국가권력으로부터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내적 조건과 국가의 성격이 다소 개방적이고 민주적 정당이 체제 내에서 확고한 세력을 유지하는 외적 조건이 결합되는 상황 하에서만 제도화에 의한 민주주의 발전이 가능하다.
더보기As the end of long-fending authoritarianism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provoked the global growth of new social movements in the Third-World, scholar have increasingly been attentive to how new social movement matter for democratic progress. Based on secondary sources, I analyze with comparative/historical perspective numerous cases of new social movements in North and South Americas and Europe and their impact on democracy. Despite daunting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of studying movement outcomes and disparate historical and social con(litions producing diverse, contending views of movement effects, my research confirms that institutionalization of movements is a major, though not sole, mechanism for consolidating and advancing democracy as it acquires an institutional route to influece state policy-making and allows movement groups to forge political alliance with reformist power elites within polity. Movement institutionalization if facilitated only under specific juncture in which particular characters of movement organization blend with favorable political opportunities, of which traits are much variant by time and context Yet movement institutionalization promotes democracy as long a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maintains identity and autonomy vis-a-vis state power, state is open, and democratic parties sustain a stronghold inside the government.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