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광복 후 중등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전개와 쟁점 = An Issues and Development of Religiou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of Korea after Liber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저자
김귀성 (원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8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5-551(37쪽)
KCI 피인용횟수
10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일제 감정기로부터 광복 이후 중등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전개와 그 쟁점을 탐구함으로써 향후 학내 종교교육 발전 방안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정부 수립 이후 학교에서 종교교육이 교과로서 자리매김하기 시작한 것은 제4차 교육과정기(1980년대 초)이다. 그런 배경은 중학교 및 고교 선발제도의 변화와 맞물려 있다. 학생이나 학부모가 학교 선택권에 제한을 받게 되면서부터 사학에서 요구한 종교과목이 묵인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사회에서 종교교육이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되게 된 직접적인 도화선은 학내 요인에 의해서였다(강의석군 사건:1994년). 이 사건에 대한 최근(2010.4.23) 대법원의 최종 판결이 보여주듯이 무엇보다도 학내 종교교육 문제는 종교의 자유를 둘러싼 학생의 인권, 학습권과 사학의 종교자유권 간의 충돌로 야기되었다. 이 밖에 학교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난점도 없지 않았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종교교육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내지도 못했을 뿐더러 각 종단의 종교교육 접근이 선교 혹은 포교에 목적을 두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종교교사, 교과서를 비롯한 비정규 교육활동 까지 주목의 대상이 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종교자유와 사학의 자주권이 모두 인정받는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교양교육으로서 종교과목의 교육과정에 대한 단계적인 발전적 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그리고 적어도 교육이라는 이름의 종교교육이 자리 매김하기 위해서는 종파교육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요컨대 종교교육이 재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종단의 선교적 접근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마루 되는 가르침을 학생들이 배우고 느끼며 공유할 수 있도록 제도와 여건을 성숙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문화사회에서는 무엇보다 종교 간의 평화를 전제로 한 이웃 종교에 대한 태도와 나아가 사회통합과 평화, 사랑의 실천을 몸소 보여주길 요청받기 때문이다.
더보기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deals with two kind of aspects: what are the main issues of Religiou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of Korea after Liber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how developed it"s process, finall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way how to solve that tasks, based on pedagogical view point. Religious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in school begun from 1980s, the fourth curriculum stage after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Background of that is connected with high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Religious education become directly social issues of our society is a sue case of Kang Hee Seuk in 1994. However above all religious education in campus face a conflict with human right of student and religious freedom of private school foundation around religious freedom. And there are difficulties: curriculum management, teacher training, subject materials development. Above all, religious education of each religious order focused on their religious missionary works, not as a education. Such circumstances, noteworthy things are religious teacher, textbook and nonofficially educa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solve those tasks, it needs to try to find solution for religious freedom of students and autonomity of private school foundation. For normalization of curriculum, it needs to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steps about religious subject as a liberal arts and also for the normalizat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campus sublate the religious sect education. Therefore we have to try to make a systematic endeavor and situation not for religious missionary approach but for true religious education and in multi-cultural society, at any rate, based on inter-religious peace, integration peace, we make an effort to love with neighbour religious order etc.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