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반도 출토 풍탁의 특징과 전개양상 =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Wind Bells unearthed from the Korean Peninsul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1-98(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풍탁이라는 유물에 있어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읽어내는 것이다. 풍탁(風鐸)은 사찰의 전각 처마 끝이나 탑의 옥개석 끝에 달려 바람이 불면 소리가 나는 장엄구(莊嚴具)이자 불교의 범음구(梵音 具)이다. 타격하거나 흔드는 등 사람의 행위에 의해서 소리가 나는 여타 범음구들과 달리 풍탁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달고, 바람의 움직임으로 소리가 난다. 사람이 소리를 제어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소리를 내는 기능보다는 종교적 상징성과 장식적 의미가 큰 불교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풍탁은 대상 유물 간에 비교검토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기에 수량은 적고 개별 특징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우선 최대한 많은 특징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일부 특징은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고 그속에서 또 다른 특징들은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때 오랜 시간 유지된 특징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양상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양상이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는 특징은 풍탁의 하단부 횡단면이다. 횡단면은 행인형→사각형→원형으로 변화를 보인다. 이는 석탑의 전개 과정과 마찬가지로 백제에서 시작되어 신라의 제작기술이 반영된 풍탁의 등장과 확산 속에서 변화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제작이 쉽고 풍성한 소리를 내기에 효과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바람에 의해 소리를 내는 풍탁의 음향 원리를 고려했을 때 풍탁의 몸체와 설의 움직임은 폭이 넓고 자유로울수록 소리가 더욱 풍성해질 수 있다. 시간과 공간의 폭에비해서 출토 수량이 적음에도 불교 문화의 흐름과 일치하는 전개 양상 역시 한반도 출토 풍탁의 특징이라 할 수있다. 본고는 풍탁이 출토되는 전 시기에 걸쳐 시간의 흐름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특징을 통해 풍탁의 전개 양상을확인하고 불교 장엄구이자 범음구라는 풍탁의 성격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다만, 세밀한 편년 작업이 되지 못하였고, 시간의 폭이 넓은 한계를 가진다. 이는 고고학적 자료의 축적과 함께 추후 연구를 통해 채워나가고자 한다.
더보기The wind bell(Pungtak) is mainly an instrument for Buddhist sound that makes a sound when the wind blows at the end of the pavilion s eaves or the stone roof of the stupa in the temple. Basically the form resembles the form of a bell, but it has a feature that it has wind plates compared with similar Buddhist sound instruments such as bell, chimes, and so on. This study is on the wind bells unearthed from the korean peninsula. Due to small amount of the subjects, I examined most various features of it, and based on the results, I classified them by choosing connection methods such as cross-section and longitudinal section which reflects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Because it proceeded in small quantities, there appeared to be a gap between periods, and the number of artifacts contained in each type is too small under three to name it as a type. Therefore, I give a significance on looking at the aspect of the changes of the wind bells according to the time, without dividing the time by force. The wind bell is a kind of the ornamented articles(Jangeomgu) that are not used solely but hanging somewhere. Therefore, as the use place changed, the form of the wind bell may also have changed, and it might have changed along with the fashion and propagation of that use place . Until now, the use places of the wind bell are known as the pavilions and stupas of the temple. The regional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e development of the stone pagoda. The wind bells was first made with an apricot-style cross-s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Baekje, but it changed into a rectangular cross-section of a square-shaped horse bell in Silla, and it seems to have spread nationwide like the distribution of Silla stone pagoda since 9th century. The wind bell is a Buddhist artifact that reflects the flow of culture based on the Buddhist thought of the time and it has just begun to be studied, but it must be researched steadily with the accumulation of archaeological data.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5-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부산고고학연구회 -> 부산고고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Pusan Archaeological Society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7 | 1.732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