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1990년대 한국소설과 소수성 연구 = A Study on Minority in 1990s Korean Fiction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1990s Korean fiction through the concept of minority, with the understanding that 1990s Korean literature has typically been view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depoliticization in relation to the literature of the 1980s. The 1990s saw major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hifts in Korean society, and the changes in literature at the time have usually been explained in this context. The 1990s did in fact see changes in every aspect of literature, with the emergence of an unprecedented array of narratives, opening up new literary possibilities. At the same time, the rapidity and breadth of such changes brought about a discourse of crisis. However, despite facing various hurdles, 1990s literature brought about a meaningful transformation while firmly maintaining the form of literature.
      At the outset, I focus on 1990s Korean fiction’s subversion of the modern bildungsroman or coming-of-age novel formerly regarded as the form of mature masculinity. As minority subjects deviating from conventional normativities―such as women, children, and queer people―are made visible and narratives of active minority-becoming emerge, 1990s fiction is able to write diverse minority into Korean literary history. In particular, I try to capture how these instances of minorness intersect to simultaneously deconstruct and expand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modernity and the modern novel.
      In chapter two, I start with Jang Jung-il to show how a fracture appears in typical masculinity, and although it brings about the failed result of mere liberation from masculine taboos, it does illustrate the beginnings minor diversity’s assimilation into Korean literary history. Queer and child identity is represented here, not as lack or non-existence, but as a singular subject contrasting the universal, thereby creating a new narrative sensibility. Baek Minsuk goes a step beyond Jang Jung-il to focus on subjects excluded from the world of grand audio-visual spectacle. In his work, the journey of characters who reject their coming-of-age out of childhood does not result in disillusion or nihilism. Instead it leads to an active acceptance of despair and the end of times. In this way, reality’s violence and contradiction is no longer a mechanism capable of oppressing the individual, and the new generation is reoriented toward horizontal diversity.
      In chapter three, I examine how women, now made visible as an alternative subject, are represented in 1990s fiction. I analyze the works of Heo Su-gyeong and Bae Suah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minority characters who seek voluntary deterritorialization based in a perception of minority, in a period when women’s narratives based on feminist theory form a distinct branch of literature and many women writers emerge. Unlike the masculine stranger-becoming concerned with an outsider’s perspective of the nation-state, the female subject’s voluntary exile is not subsumed by history and is directed towards the essential thought of minorness. The girl/child who appears in the fiction of Bae Suah, and her journey as solitary individual, emphasizes horizontal expansion over vertical growth to reveal that life can be sustained on the basis of a multitude of immaturities and differences.
      In chapter four, I seek to illuminate how PC literature and computer writing, which made possible a new distribution process for literature, not only constitute a formal (generic) change, but also function as a minor territory for literature. In Song Gyeong-a’s combination of fiction as storytelling with an imaginative gender consciousness, and the anonymous author Djuna’s expansion of the realm of Korean literature outside the mainstream literary establishment, we see the appearance of new literary spaces.
      In the 1990s, South Korean society underwent its first process of internal revoluti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s well as global ideological and regime change. The birth of the free and unique individual subject and the opening up and exchange of contemporary culture provided opportunity for diverse minorities to become visible. A multitude of minorities standing outside of grand narratives of history began to share their stories, and 1990s fiction achieved a transformation in literature through fragmentary and hybrid literary representations of this. The influence of new and diverse media increased, and as the sensibility of writing changed into something mechanical, it combined with new thought on gender, and this phenomenon heralded a change in literature as a whole.
      The 1990s also preceded the turning of the century in the year 2000. Members of 1990s Korean society overthrew the rigidity and seriousness of the 1980s,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exposed to the disillusionment and horror of the fin de siècle. The abrupt shift to neoliberalism following the 1997 IMF Crisis shrunk the individual again and deferred the issue of minority.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current ‘reboot’ of such deferred literary-historical minority in feminism, queer, and SF (science fiction) literature, 1990s literature can be seen as an origin point. In other words, analyzing 1990s literature means coming face to face with the literature of the present as it passed through the 2000s. Going beyond the consensus perspective on the 1990s―that memoir literature (huildam) continued an internal struggle with the 1980s, while depoliticized literature looked forward to the post-political literature of the 2000s―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that 1990s Korean fiction’s minorness constitutes a kind of hidden origin which brought about a transformation in the character of Korean literature.

      더보기

      본고는 기존의 문학사가 1990년대 문학을 1980년대의 대타항으로 두고 주로 탈정치의 관점에서 고찰해왔다는 문제의식 아래 1990년대 한국소설의 특징을 ‘소수성(minority)’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90년대는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한국사회에 매우 큰 전환이 있었고 문학은 대체로 그 변화의 양상과 함께 설명되어왔다. 그만큼 문학의 변화는 전방위적이었고 전례 없이 다채로운 서사가 생겨나면서 90년대 문학의 새로운 문학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매우 빠른 속도로 광범위한 영역에서 일어난 이 변화들은 위기의 담론을 불러오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1990년대 문학은 다양한 파고를 겪으면서도 문학이라는 형식을 굳건히 유지하며 유의미한 전환을 만들어냈다.
      우선 1990년대 한국소설이 성숙한 남성성의 형식이라 여겨지던 근대적 교양(성장)소설을 전복하는 양상에 주목했다. 관습적 정상성으로부터 벗어난 여성, 아이, 퀴어 등의 소수 주체가 가시화되고 나아가 적극적인 소수자-되기의 서사로 나타나면서 다양한 마이너리티가 1990년대 한국소설을 통해 문학사에 기입될 수 있었다고 보았다. 특히 각각의 마이너리티가 상호 교차하면서 전통적 관념의 근대성, 근대소설이 해체되면서 동시에 확장되는 흐름을 포착하고자 했다.
      2장에서는 우선 장정일을 시작으로 전형적 남성성에 대한 균열이 일어났고 그것이 비록 남성적 금기의 해방이라는 실패로 귀결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소수적 다양성이 한국문학사에 편입되는 시초가 되었음을 보이고자 했다. 퀴어-아이의 정체성은 결핍이나 부재가 아니라 보편성과 대비되는 단일적 주체로 재현되면서 새로운 감각의 서사를 만들어냈다. 백민석은 이러한 장정일의 시도에서 더 나아가 거대한 시청각적 스펙터클의 세계로부터 소외되는 주체들에 주목했다. 유년기로부터의 성장을 거부하는 인물들의 행로가 세계에 대한 환멸이나 허무로만 귀결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그 절망과 종말을 받아들이는 태도로 이어짐으로써 현실의 폭력성과 부조리는 더 이상 개인을 억압할 수 없는 기제가 되며 이른바 수평적 다양성이 새로운 세대의 지향이 되고 있음을 분석하고자 했다.
      3장은 대안적 주체로 가시화된 여성이 1990년대 소설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페미니즘 이론에 근거한 여성 서사가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많은 여성 작가들이 등장했던 시기에 마이너리티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자발적으로 자신의 영토를 떠나고자 했던 소수자의 형상을 허수경과 배수아의 작품을 통해 분석했다. 국민 국가의 바깥에서 외부자적 관점을 염두에 둔 남성적 이방인-되기와 달리 여성 주체의 자발적 망명은 역사로부터 포섭되지 않으면서 마이너리티라는 본질적인 사유로 향하고 있었다. 배수아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자-아이와 이들이 보여주는 단독자적 여정 역시 수직적인 자람이 아니라 수평적인 확장을 강조하면서 수많은 미성숙함과 그 차이들로부터 삶이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장은 문학의 새로운 유통을 가능하게 했던 PC통신 문학과 컴퓨터 글쓰기를 토대로 그것이 형식적(장르적) 변화와 함께 문학의 소수적 영토로 기능할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송경아가 이야기로서의 소설을 젠더적 상상력과 흥미롭게 결합시킬 수 있었던 것, 듀나라는 익명의 작가가 주류 문단의 바깥에서 한국문학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었던 것에는 새로운 문학적 공간의 출현이 있었다.
      1990년대 한국사회는 근현대사에서 최초로 내재적 혁명 과정을 거친 시기임과 동시에 전 세계적인 이념과 체제의 변화를 맞닥뜨려야 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자유롭고 개성적인 주체의 탄생과 동시대적 문화의 개방·교류는 다양한 마이너리티가 가시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거대한 역사의 바깥에 서 있던 수많은 소수자가 조금씩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했고 1990년대 소설은 이를 파편적이고 혼종적으로 재현함으로써 문학적 전환을 이루어냈다. 특히 새롭고 다양한 매체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글쓰기의 감각이 기계적인 것으로 변화하면서 젠더적 사유와 결합하는 양상은 총체적인 문학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
      또한 1990년대는 2000년이라는 세기적 전환을 앞둔 시기이기도 했다. 90년대 한국사회의 구성원들은 1980년대의 경직성이나 엄숙주의를 타파하면서도 세기말이 주는 환멸과 공포에 동시에 노출되어 있었다. 1997년 IMF 사태 이후 급격한 신자유주의 체제로의 이동은 다시금 개인을 위축시키고 마이너리티의 문제를 유예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페미니즘, 퀴어, SF 등 유예되었던 문학사의 마이너리티가 ‘리부트’되고 있는 현재의 관점에서 1990년대 문학은 하나의 기점이 될 수 있다. 즉 1990년대 문학을 분석하는 일은 2000년대를 거쳐 한국문학의 현재와 마주하는 일이다. 90년대의 후일담 문학이 여전히 80년대와의 내적 투쟁을 지속하고 있었고 90년대의 탈정치화된 문학이 2000년대로의 이행을 예비하고 있었다는 기존의 관점을 넘어 1990년대 한국소설의 마이너리티가 한국문학의 형질적 전환을 가져온 일종의 은폐된 기원임을 본고는 밝히고자 했다.

      더보기
      • 1. 서론 1
      • 1.1.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 1.2. 연구의 시각과 대상 10
      • 2. 남성성의 균열과 소수 주체의 가시화 36
      • 2.1. 퀴어-아이의 재현과 스펙터클의 감각 36
      • 2.2. 비디오 키드의 공포와 호환 불가능한 세대 63
      • 3. 소수자-되기의 전략과 여성 서사 82
      • 3.1. 자발적 망명을 통한 정체성 모색 82
      • 3.2. 성장을 거부하는 여자-아이와 세속적 단독자의 여정 100
      • 4. 소수자 영토의 확장과 마이너리티의 형식들 141
      • 4.1. PC통신 문학장의 형성과 퀴어 판타지 141
      • 4.2. 유동하는 정체성과 사이버문학 SF 167
      • 5. 결론 185
      • 참고문헌 188
      • Abstract 203
      더보기
      • 1 송경아, "책", 민음사, 1996
      • 2 이영수, "나비전쟁", 오늘예감, 1997
      • 3 허수경, "모래도시", 문학동네, 1996
      • 4 배수아, "바람 인형", 문학과자성사, 1996
      • 5 이성욱, "비평의 길", 문학동네, 2004
      • 6 송경아, "아기 찾기", 민음사, 1997
      • 7 김종준, 이영수, 송세현, 김창규, "사이버펑크", 명경, 1994
      • 8 최원식, "문학의 귀환", 창작과비평, 년 여름호, 1999
      • 9 마페졸리, 미셸, "부족의 시대", 박정호 신지은 역, 문학동네, 2017
      • 10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 현실문화, 2018
      • 11 김명인, "희망의 문학", 풀빛, 1990
      • 12 서영채, "소설의 운명,", 상상, 1993년 가을호(창간호), 1993
      • 13 권김현영, "근대성의 젠더", 자음과모음, 2011
      • 14 배수아, "부주의한 사랑", 문학동네, 1996
      • 15 이광호, "비성년 커넥션", 문학동네, 년 여름호, 2013
      • 16 김인환, "새 한국문학사", 세창출판사, 2021
      • 17 배수아, "랩소디 인 블루", 고려원, 1995
      • 18 남진우, "숲으로 된 성벽", 문학동네, 1999
      • 19 장성규, "당신들의 90년대", 실천문학, 년 여름호, 2015
      • 20 장정일, "아담이 눈 뜰 때", 미학사, 1990
      • 21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14
      • 22 소영현, "문학은 위험하다", 민음사, 2019
      • 23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황희선 역, 책세상, 2019
      • 24 서경식, "난민과 국민 사이", 임성모 이규수 역, 돌베개, 2006
      • 25 백민석, "내가 사랑한 캔디", 문학과지성사, 1996
      • 26 나탈리, 하이니히, "정체성이 아닌 것", 임지영 역, 산지니, 2021
      • 27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 28 김준오, "『문학사와 장르』", 문학과지성사, 2000
      • 29 최원식, "광주항쟁의 소설화", 창작과비평통권60호, 년 여름호, 1988
      • 30 진정석, "모더니즘의 재인식", 창작과비평, 년 여름호, 1997
      • 31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사1-2", 민음사, 2020
      • 32 김탁환, "동아시아 소설의 힘", 상상, 년 여름호, 1994
      • 33 복거일, "미래의 여러 모습들", 문학과사회, 년 봄호, 1994
      • 34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 사회", 후마니타스, 2008
      • 35 류보선, "전환기를 건너는 법", 문학동네, 년 겨울호, 1997
      • 36 신수정, "푸줏간에 걸린 고기", 문학동네, 2003
      • 37 이지용, "한국 SF 장르의 형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38 한수영, "90년대 문학의 일상성", 오늘의 문예비평년 가을호, 1999
      • 39 황국명, "90년대 소설의 환상성", 외국문학52, 1997
      • 40 고길섶, "소수문화들의 정치학", 문화과학사, 1998
      • 41 백민석, "헤이, 우리 소풍 간다", 문학과지성사, 1995
      • 42 백민석, "16믿거나말거나박물지", 문학과지성사, 1997
      • 43 장정일, "그것은 아무도 모른다", 열음사, 1988
      • 44 방민호,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 예옥, 2018
      • 45 권보드래,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 46 전길남, "인터넷의 기원과 전망", 과학사상, 년 가을호, 1996
      • 47 성민엽, "전환기의 문학과 사회", 문학과사회통권1호, 년 봄호, 1988
      • 48 김은정, "치유라는 이름의 폭력", 강진경 강진영 역, 후마니타스, 2022
      • 49 김정남, "1990년대 문화 키워드 20", 문화다북스, 2017, 2017
      • 50 마샬, "맥루언,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 51 배수아,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고려원, 1995
      • 52 천정환,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마음산책, 2014
      • 53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 54 이소영, "87년 체제와 적대의 정동",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22
      • 55 황종연, "『비루한 것의 카니발』", 문학동네, 2001
      • 56 정과리, "민중문학론의 인식 구조", 문학과사회통권1호, 년 봄호, 1988
      • 57 장석주, "생산적인 대화를 향하여", 동서문학, 년 여름호, 1994
      • 58 허경, "푸코의 에피스테메 개념", 에피스테메창간호, 2007
      • 59 구라카즈, 시게루,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 한태준 역, 갈무리, 2015
      • 60 김동식, "우리 시대 공주를 위하여", 문학과사회, 년 여름호, 1996
      • 61 정과리, "21세기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9
      • 62 배하은, "문학의 혁명, 혁명의 문학", 소명출판, 2021
      • 63 서영채, "소설, 모색과 모험의 도정", 창작과비평, 년 봄호, 1994
      • 64 권성우, "젊음의 문학, 문학의 젊음", 작가세계, 년 봄호, 1991
      • 65 고지문, "Metafiction의 수용과 그 의의", 영어영문학, 제34권 4호, 1988
      • 66 윤선희, "나는 레스비언으로 말한다", 또 하나의 문화, 제12호, 1996
      • 67 변정수, "상식으로 상식에 도전하기", 토마토, 1996
      • 68 김재용, "서평: 낡은 것과 새로운 것", 창작과비평, 년 봄호, 1990
      • 69 윤수종, "소수자운동의 새로운 전개", 중원문화, 2013
      • 70 이광호, "신세대 문학이란 무엇인가", 상상, 년 가을호(창간호), 1993
      • 71 박남훈, "장정일의 소설은 무엇인가", 오늘의 문예비평, 년 4월 창 간호, 1991
      • 72 이용욱,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도전", 버전업, 년 가을호(창간호), 1996
      • 73 도정일,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민음사, 1994
      • 74 윤대녕, "신세대 문학의 탐색과 전망", 동서문학, 년 여름호, 1994
      • 75 정과리, "옛날 옛적에 문학이 있었다", 문학과사회, 년 여름호, 1998
      • 76 김종화, "해체: 통일에서 포르노까지", 토마토, 1997
      • 77 박상준, "한국 창작 SF의 거의 모든 것", 케포이북스, 2016
      • 78 이성욱, "90년대 문화운동의 방향 모색", 문화과학창간호, 1992
      • 79 황국명, "90년대 여행소설과 공간 전위", 오늘의 문예비평년 가을 호, 1996
      • 80 서동진,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 문예마당, 1996
      • 81 사라, "샤르마, 틈새시간, 최영석 역", 앨피, 2022
      • 82 복거일, "전산통신망 시대의 문학하기", 문예중앙, 년 가을호, 1995
      • 83 제라르, "쥬네트, 서사담론, 권택영 역", 교보문고, 1992
      • 84 손유경, "페미니즘의 포스트모던 조건", 여성문학연구50권, 2020
      • 85 김성기, "포스트모더니티의 사회 이론", 문학과사회, 년 봄호, 1990
      • 86 정고은, "한국 노동문학과 ‘전태일’", 한국사연구191호, 2020
      • 87 황종연, "90년대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민음사, 1999
      • 88 이졸데, "카림, 나와 타자들, 이승희 역", 민음사, 2019
      • 89 손유경, "한국 문학사의 새로운 가능성", 문학과사회, 년 봄호, 2019
      • 90 서재원, "1990년대 한국 여성비평가 연구", 여성문학연구제30호, 2013.12, 2013
      • 91 권성우, "베를린 전노협, 그리고 김영현", 문학과사회, 년 봄호, 1990
      • 92 이성복, 정다비, 이인성, "우리 세대의 문학을 엮어 내며", 우리 세대의 문 학1―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1982
      • 93 김영찬, "장정일의 아담이 눈 뜰 때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제72 집, 년 가을호, 2020
      • 94 장석주, "글쓰기와 글읽기의 혁명적 전환", 문학사상, 년 11월호, 1994
      • 95 김창남, "민주화 대세 거스르는 대중문화", 選批, 년 봄호(창간호), 1988
      • 96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조현준 역", 문학동네, 2008
      • 97 김병익,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 문학과지성사, 1997
      • 98 강내희, "압구정동: 유토피아/디스토피아", 현실문화연구, 1992
      • 99 강내희, "유물론적 문화론 정초를 위하여", 문화과학, 창간호, 1992
      • 100 윤지관, "전환기의 민족 민중문학과 소설", 실천문학, 년 봄호, 1990
      • 101 정정호, "편,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문학", 도서출판 글, 1991
      • 102 김치수, "낯선 세계에 대한 창조적 의미화", 문학사상, 년 3월호, 1990
      • 103 이윤종, "문화/과학과 년대 한국의 문화론", 구보학보19집, 2018.12, 1990
      • 104 R.W, "코넬, 남성성/들, 안상욱 현민 역", 이매진, 2013
      • 105 노염화, "키취소년, 문화의 바다에 빠지다", 토마토, 1997
      • 106 손동수, "금기와 욕망 사이에서 떠들어대기", 토마토, 1996
      • 107 허민, "노동해방문학과 노동 재현의 규율", 상허학보52집, 2018
      • 108 서영인, "1990년대 문학지형과 여성문학 담론", 대중서사학회24권 2호, 2018.6, 2018
      • 109 이재복, "90년대 민족문학론과 신세대문학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 27집, 2005
      • 110 이현식, "주체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실험들", 황해문화, 년 여름 호, 1998
      • 111 김진석, "해탈에서 탈로, 인간에서 의인으로", 문학과사회, 년 여름호, 1991
      • 112 남진우, "서평: 권력의 사슬을 깨뜨리는 작업", 문학과사회, 년 봄호, 1990
      • 113 김성환, "노동자 생활글과 노동문학사적 맥락", 한국문학논총85집, 2020
      • 114 서동진, "커밍아웃의 정치학을 다시 생각한다", 당대비평, 년 겨울호, 2000
      • 115 한영인, "1970년대 창작과 비평민족문학론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2, 2012
      • 116 상탈, "무페, 정치적인 것의 귀환, 이보경 역", 후미니타스, 2007
      • 117 이재선, "미학성의 확대와 보여주기, 문학사상", 년 3월호, 1990
      • 118 윤지관, "빌둥의 상상력: 한국 교양소설의 계보", 문학동네, 년 여 름호, 2000
      • 119 이해영, "90년대와 80년대: 하나의 정신사적 고찰", 문화과학, 년 겨울호, 1999
      • 120 정윤수, "1990년대 피씨통신과 취향공동체의 형성", 사회와 역사제127 집, 2020.9, 2020
      • 121 안용희, "X세대의 상상력과 ‘리얼리티’의 갱신", 한국문학연구61집, 2019
      • 122 방민호, "그를 믿어야 할 것인가―장정일 소설론", 창작과비평, 년 여름호, 1995
      • 123 수잔, "스나이더 랜서, 시점의 시학, 김형민 역", 좋은날, 1998
      • 124 김병익, "컴퓨터는 문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동서문학, 년 여름호, 1994
      • 125 김주연, "현대 한국여성비평문학의 성장과 그 성격", 아시아여성연구, 제44집 2호, 2005
      • 126 박해남, "1990년대, 전환의 시대, 그리고 확장의 시대", 사회와 역사 123권, 2019.9, 2019
      • 127 정환은, "고은 시인의 ‘신세대’ 비판에 대한 답신", 노동해방문학, 년 12월호, 1989
      • 128 정과리, "문학의 크메르루지즘―컴퓨터문학의 현황", 문학동네, 년 봄호, 1995
      • 129 이성욱, "키보드 문학세대에 관한 스케치 또는 단상", 문학동네, 년 가을호, 1995
      • 130 허윤,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 역락, 2018, 2018
      • 131 신승엽, "배수아 소설의 몇 가지 낯설고 불안한 매력", 문학동네, 년 겨울호, 1997
      • 132 최가은, "여성-민중, 선언―또 하나의 문화와 고정희", 한국시학연 구66, 2021
      • 133 유진숙,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담론 -1992", 동북아역사 논총58집, 2017, 1988
      • 134 이지용, "듀나론―모르는 사람 많은 유명인의 이야기", 오늘의 SF2호, 2020
      • 135 오드리, "로드, 시스터 아웃사이더, 주해연 박미선 역", 후마니타스, 2018
      • 136 이미림, "1990년대 여행소설의 탈근대적 사유와 타자성", 세계한국어문 학1, 2009.4, 2009
      • 137 이용욱, "사이버문학의 도전: 문학의 위기와 패러다임", 토마토, 1996
      • 138 손유경, "현장과 육체―창작과비평의 민중지향적 분석", 현대문학의 연구56호, 2015
      • 139 김경민, "겨울 허수아비도 사는 일에는 연습이 필요하다", 성림, 1993
      • 140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47 호, 2016.6, 2016
      • 141 나종석, "90년대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수용사 연구", 철학연구 120, 2011
      • 142 제프리, "디스티 크로익스 외, 계급 소외 차별, 차승일 역", 책갈피, 2017
      • 143 서영채, "1990년대, 시민의 문학: 문학동네100호에 즈음하여", 문학 동네, 2019년 가을호, 2019
      • 144 성민엽, "열린 공간을 향한 전환―80년대의 문학사적 의미", 문학과사 회, 년 겨울호, 1989
      • 145 김진석, "‘탈’의 놀이―니체와 데리다의 해체 작업의 예", 문학과사회, 년 여름호, 1990
      • 146 조연정, "문학동네의 ‘90년대’와 ‘386세대’의 한국문학", 한국문화81 집, 2018
      • 147 김미지, "월북문인 해금의 이면—‘불화’의 소멸 그 이후", 구보학보20 집, 2018
      • 148 김예리, "녹색평론의 인간중심주의 생태담론과 정치적 상상", 상허학 보53집, 2018
      • 149 오혜진,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한국문학의 정상성을 묻다", 오월의봄, 2019
      • 150 이종호, "1987년 민주화 이후, 문학사를 둘러싼 모색과 재구성", 현대문학 의 연구70, 2020.4, 2020
      • 151 손유경, "여류의 교류―식민지 조선에서 전위가 된다는 것(2)", 한국현대 문학연구51, 2017
      • 152 허민, "민주화 이행기 한국소설의 서사구조 재편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22
      • 153 조연정, "여성 시학, 1980∼1990―‘여성’을 다시 읽고 쓰는 일", 문학과지성사, 2021, 2021
      • 154 신승엽, "잃어버린 시간과 자아를 찾아서―90년대의 성장소설", 문학동 네, 년 봄호, 2000
      • 155 임태훈, "글쓰기 기계들의 문학사, 보철 장치와 정동의 재구성", 현대문학 이론연구제84집, 2021
      • 156 김정한, "비혁명의 시대―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빨간소금, 2020, 2020
      • 157 신수정, "환멸의 사막을 건너는 여성적 글쓰기의 세 가지 유형", 문학동 네, 년 가을호, 1995
      • 158 황정아,, "근대성의 환타지아―1990년대 한국문학의 근대성 담론", 개념과 소통제25호, 2020.6, 2020
      • 159 김양선, "남성작가들이 쓴 여성문제 소설의 대중성과 반여성성", 창작과 비평, 년 봄호, 1994
      • 160 이영희, "‘과학기술혁명’과 화이트칼라 노동자―비판적 검토", 창작과비 평, 년 여름호, 1990
      • 161 이화진, "‘90년대’를 돌아보기―세대의 기억 상품과 자기 서사", 대중서사 연구20권 3호, 2014
      • 162 최병구,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제도와 이념에의 결박과 성찰", 민족문 학사연구56, 2014
      • 163 조정환, "민주주의 민족문학의 현단계와 문학적 현실주의의 전망", 창작 과비평통권61호, 년 가을호, 1988
      • 164 박명진, "청소년과 새로운 미디어 문화: 포스트 모던 문화의 관점", 계간 사상, 년 가을호, 1991
      • 165 조연정, "‘문학주의’의 자기동일성―년대 문학동네의 비평 담론", 상허학보53집, 2018.6, 1990
      • 166 스튜어트 홀, "문화연구1983 ―이론의 역사에 관한 8개의 강의, 김용규 역", 현실문화연구, 2021, 2021
      • 167 백종륜, "한국, 퀴어 문학, 역사: ‘한국 퀴어 문학사’를 상상하기", 여/성이 론41, 2019
      • 168 강동호, "반시대적 고찰―년대 ‘문학과지성’과 우리 세대의 문학", 상허학보52호, 2018.4, 1980
      • 169 김영찬, "‘90년대’는 없다―하나의 시론, ‘1990년대’를 읽는 코드", 한국학 논집59, 2015.6, 2015
      • 170 나준성, "이성욱 비평의 문화(운동)론과 ‘현실’이라는 조건의 의미", 춘원 연구학보제20호, 2021
      • 171 김춘규, "장정일 문학에서 장르 전환의 의미―시와 소설의 갈등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63, 2021
      • 172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반교어문연구46호, 2017
      • 173 이경호, "변동사회의 주체적인 소설양식: 풍속소설의 가능성에 대하여", 작가세계, 년 여름호, 1991
      • 174 김은하, "1980년대,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性)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 상허학보51, 2017.10, 2017
      • 175 이상경, "시대의 부채의식과 여성적 자의식에서 출발한 년대 여성소 설", 실천문학, 1999년 여름호, 1990
      • 176 김요섭, "이행기 정의와 서사―민주화 이후 문예지 복간과 재현의 정치", 상허학보64호, 2022
      • 177 문예지, "1990년대 전경린 배수아 소설에 나타난 ‘여성-되기’의 정치학", 서 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20, 2020
      • 178 프리드리히 키틀러, "광학적 미디어: 1999년 베를린 강의 예술, 기술, 전쟁, 윤원화 역", 현실문화, 2011, 2011
      • 179 오창은, "1930년대 후반 ‘후일담 소설’의 서사적 시간 재구성 양상 고찰", 현대소설연구79집, 2020, 2020
      • 180 김성기, "상황의 도전과 문화의 응전―최근 잡지의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문학과사회, 년 가을호, 1993
      • 181 서욱희,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도전―년대 송경아 소설의 신화 다시 쓰 기", 한국현대문학연구, 66호, 2022.4, 1990
      • 182 이철호, "해금 이후 90년대 학술장의 변동―근대성 담론의 전유와 그 궤 적", 구보학보19집, 2018
      • 183 김대성, "제도의 해체와 확산, 그리고 문학의 정치―년대 무크지 운동 재고", 동서인문학제45집,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1980
      • 184 송경빈, "한국현대소설의 메타픽션적 수용―김수경의  유종을 중심으 로", 어문연구, 제25집, 1994
      • 185 김주연, "상업 문화와 혁신 문화의 거리―90년대의 문학과 사회를 전망하 며", 문학과사회, 년 봄호, 1990
      • 186 한지희, "故허수경의 글로벌 블루스 시와 목은 이색의 범세계주의 시가(詩 歌)", 인문언어, 22권 2호, 2020
      • 187 이소영, "민주화 이후 검열과 적대―마광수와 장정일의 필화사건을 중심으 로", 상허학보54, 2018
      • 188 박혜경, "소설이 주체의 위기를 살아내는 방식―90년대의 소설을 위한 밑그 림", 문학과사회, 년 봄호, 1998
      • 189 김형기, "한국사회 노동자계급론의 모색―최근의 ‘노동자계급논쟁’에 부쳐", 창작과비평, 년 봄호, 1990
      • 190 백종륜, "트랜스젠더의 죽음과 반역: 장정일, 심산, 이순원의 소설을 중심으 로", 한국현대문학연구65호, 2021
      • 191 전원근, "1980년대 선데이서울에 나타난 동성애 담론과 남성 동성애자들 의 경험", 젠더와 문화제8권 2호, 2015.12, 2015
      • 192 김은하, "살아남은 자의 죄책과 애도의 글쓰기: 공지영의 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제35호, 2015, 1980
      • 193 조연정, "1990년대 젠더화된 문단에서 페미니즘하기―김정란과 허수경을 읽 으며", 구보학보27호, 2021.4, 2021
      • 194 하상일, "90년대 문화담론을 둘러싼 세 가지 질문―문화잡지에 대한 비판적 점검", 오늘의 문예비평, 년 봄호, 1999
      • 195 최가은, "‘90년대’와 ‘여성문학특집’: 문학동네년 여성문학특집을 중 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75권, 2021.4, 1995
      • 196 장성규,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의 밤’: -90년대 노동자 글쓰기를 중 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63집, 2021, 1980
      • 197 이경수, "1980년대 여성시의 주체와 정동—최승자 김혜순 허수경의 시를 중 심으로", 여성문학연구43, 2017, 2017
      • 198 강미숙, 김양선, "90년대 여성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신경숙과 김인숙의 근작 을 중심으로", 여성과사회, 제5호, 1994
      • 199 위수정, "1990년대 소설과 ‘비성년(非成年)’―장정일, 백민석의 작품을 중심으 로",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2018
      • 200 김은하, "민주화 이후의 여성문학: 억압된 것의 회귀와 성차화된 여성 주체 의 등장", Littor, /9월호, 2018
      • 201 허윤, "1990년대 페미니스트 여성 대중의 등장과 잡지 페미니스트저널 i f의 정치학", 상허학보53, 2018.6, 2018
      • 202 백소연, "살아남은 자들의 기억, 년대 재현의 양상―tvN 응답하라 1994(2013)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20권 3호, 2014.12, 1990
      • 203 김윤식, "체험으로서의 한국 근대문학사론―근대문학의 기원과 문학사의 원 환 구조", 문학동네, 년 겨울호, 1998
      • 204 강동호, "‘언표’로서의 내면―년대 문학사의 비판적 재구성을 위한 예비 적 고찰들", 한국학연구56집, 2020.2, 1990
      • 205 김예리, "80년대 무크 문학의 언어 풍경과 문학의 윤리―시와 경제와 시운동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69호, 2014
      • 206 허선애,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 연구―‘문학-지식’의 형성과 전개 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207 이동연, "의미화실천, 주체화양식, 실험공학의 장: 한국 문화연구의 생산적 논쟁을 위해", 문화과학13호, 1997
      • 208 주은우,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사회와 역사88호, 2010.12, 1990
      • 209 천정환, "창비와 ‘신경숙’이 만났을 때―년대 한국 문학장의 재편과 여성 문학의 발흥", 역사비평, 2015년 가을호(통권 112호), 1990
      • 210 임세진, "문학(성)의 민주화와 민중 언어의 실천―대전지역 무크지 삶의 문학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제59집, 2017
      • 211 송경아, "성교가 두인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학적 고찰중 사례연 구 부분인용", 여성사, 1994
      • 212 백종륜, "1990년대 이남희 소설의 희망론: 생태주의와 퀴어/페미니즘의 교차 점을 모색하기", 한국현대문학연구62, 2020.12, 2020
      • 213 허민, "6월 항쟁과 문학장의 민주화―해금 전후(사)의 역사 인식과 항쟁 이 후의 문학(론)", 기억과전망, 년 겨울호(통권 41호), 2019
      • 214 손유경, "일하는 사람의 ‘아플’ 권리―년대 소설에 나타난 노동자의 질병 과 섹슈얼리티", 상허학보50집, 2017.6, 1980
      • 215 정정호, "컴퓨터 시대의 글쓰기의 명암―기계/타자와 인간/동일자 대화적 상 상력을 위하여", 소설과사상, 년 봄호, 1994
      • 216 허민석, "1990년대 비남성 작가 SF 소설의 젠더 정치적 의미―송경아와 듀 나(DJUNA)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61, 2020.8, 2020
      • 217 배하은, "노동자의 문학 독자 되기―노동자 계층 독자의 문학 규범 내면화와 전유 양상 연구", 상허학보59집, 2020
      • 218 조형래, "인터페이스의 거울―년대 한국소설과 영화에 나타난 컴퓨터, PC, 네트워크 표상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38(1), 2017.2, 1990
      • 219 정주아, "후위(後衛)의 공포와 전위(前衛)의 환상: 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 현대문학의 연구68, 2019.8, 1990
      • 220 유효종, "이와마 아키코 엮음, 마이너리티란 무엇인가―개념과 정책의 비교 사회학, 박은미 역", 도서출판 한울, 2012
      • 221 김영희, "90년대 문학의 밤과 프롤레타리아의 시―일상/투쟁의 서사와 훼손 된 육체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27권 3호, 2019
      • 222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05.4, 1970
      • 223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2)-노동자의 이름으로에 나타난 열사, 진 정성, 그리고 년대", 반교어문연구56호, 2020.12, 1990
      • 224 천정환, "그 많던 ‘외치는 돌멩이’들은 어디로 갔을까―∼90년대 노동자 문학회와 노동자 문학", 역사비평, 2014.2, 1980
      • 225 허윤, "87년 이후 광장의 젠더와 계보―한국여성대회, 장애여성운동, 퀴어문 화축제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49호, 2020
      • 226 조윤정, "프리랜서 선언이라는 말의 함정―90년대 신문과 소설에 나타난 프 리랜서의 존재와 의미", 현대소설연구제81호, 2021
      • 227 김신식, "한국의 비디오 문화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VCR 수용자의 가정 내 영화 소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논 문, 2011
      • 228 이소영, "1990년대 문학과 망각된 정동―1991년 5월 유서대필 조작사건과 김 영현의 소설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74호, 2020.12, 2020
      • 229 여국현, "‘사이버문학’과 사이버시대의 텍스트 짜기―사이버문학의 도전 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문화과학11호, 1997
      • 230 김시연, "2010년대에 ‘학생운동’ 말하기―1990년대와 2010년대의 학생운동 경 험 구술과 ‘우리’의 구성", 대중서사연구제26권 1호, 2020.3, 2020
      • 231 배하은, "만들어진 내면성―김영현과 장정일의 소설을 통해 본 년대 초 문학의 내면성 구성과 전복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50, 2016.12, 1990
      • 232 조연정, "‘문학주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년대 비평이 ‘포스트모더 니즘’과 접속하는 방식", 대중서사연구제24권 4호, 2018.12, 1990
      • 233 장성규, "민중적 민족문학론의 전개와 문화예술 주체의 문제―문학예술운동 과 사상문예운동을 중심으로", 상허학보52집, 2018
      • 234 노지승, "여성 작가는 어떻게 ‘탈(脫)여류’를 했는가: 윤정모 소설에서의 상상 된 부계(父系)와 여성혐오", 여성문학연구제51호, 2020
      • 235 강은교, 김은주, "한국 SF와 페미니즘의 동시대적 조우: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와 듀나의 두 번째 유모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 구49호, 2020
      • 236 임세진, "80년대 지역무크지와 지역문화 운동의 특성과 의의: 마산문화의 지역 정체성 구축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61집, 2019
      • 237 김은정, "1990년대 여성 만화의 SF 페미니즘적 성취: 신일숙의 1999년 생, 나의 이브, 나무 박사를 찾아서를 중심으로", 민족 문학사연구, 77호, 2021.12, 2021
      • 238 윤재민, "무협적 글쓰기 혹은 년대적 남성성의 포스트 냉전문화론―유하 의 무림일기, 김영하의 무협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한국 학연구제51집, 2018.11, 1990
      • 239 윤재민, "1990년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확산과 김영하 초기소설의 관련양상 에 대하여: 폴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에 주목하며", 동악어문 학77, 2019.2, 2019
      • 240 최기숙, "창작과비평(1966-1980): ‘한국/고전/문학’의 경계횡단성과 대화 적 모색―확장적 경계망과 상호 참조: 이념‧문화‧역사", 동방학 지제170집, 2015.6, 2015
      • 241 황호덕, "김윤식의 문학 이유, 가치중립성으로서의 근대론과 젠더 트러블― 1990년대, 김윤식의 비판적 전회와 여성작가론을 실마리로", 구보 학보22호, 2019.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