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보장법과 국민통합; 문제상황과 규범구조 = Social Security and National Integration
저자
전광석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5-386(32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national integration through social security is realized -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law - in the process of diverse formation and proper functioning of the economic order and social security system as well as their functional cooperation. In this holistic complex the individuals form their normal live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and could be universally protected from the social risks. This process circulates functionally among the labor, income and welfare. The social problem of poverty should be finally prevented by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act. However, the old-age poverty in an aging society and the poverty in labor derived from the unstable labor market go beyond the capacity of this act. It newly requires diverse institutions to support and protect the individual risks and situations in their typical shape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insurance and political decision on the choice priority among the risks and situations inevitably result in the blind spot. In addition, the launch of the new policy evokes the consciousness of such problem. In this sense the general institutions should be focused on, because they contribute for the individuals to access to the welfare provisions, which universally protect the risks and situations without the legal entitlement to the benefits framework. The important agenda regards social order should be clarified and discussed in public, in that the people concerned have the chance to put their opinion and interest. In this process they can identify themselves practically and at least normatively. For that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the opportunity to take part in advance and the possibility to be corrected thereafter. The organisation and procedure should be shap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on the one han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ovision of the welfare on the other hand. This would contribute to form the adequate legal relation, which also enhance or supplement the democratic legitimation.
더보기사회보장에 의한 국민통합은 헌법의 구도에서 보면 경제질서와 사회질서가 분화되어 고유의 과제에 충실하고, 동시에 분화된 질서가 서로 기능적으로 협력하는 과정에서 실현된다. 노동과 사회보장의 연계를 통하여(노동을 통한 사회보장, 노동을 매개로 하는 사회보장), 그리고 사회보험을 기저로 하는 구상에서 개인이 자율적인 결정에 의하여 생활을 형성할 수 있고, 유형화된 생활위험을 평등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로써 노동과 소득, 그리고 복지의 선순환이 회복될 수 있다. 인간다운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최후의 안전망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다. 그러나 고령사회에서 노인빈곤,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에서 발생하는 노동빈곤, 그리고 빈곤의 보편화에 비추어 보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도적 능력은 제한적이다. 이에 개별적인 위험과 상황을 유형화하여 구체적으로 지원·보호하는 제도가 다원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사회보험에서 보험의 원리가 적용되고, 개별적인 문제와 상황을 구체적으로 지원·보호하는데 있어서 우선순위가 결정되면서 사회보장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또 새로운 제도의 시행은 새로운 사각지대를 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개별적인 법률관계를 벗어나서 위험과 상황을 보호하는 일반적인 제도를 조성하는 국가작용이 평등을 점진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복지의 공백과 불균형을 메우는 기능을 적극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사회적 과제를 실현하는 중요한 의제가 정치과정에서 투명하게 공론화되고, 당사자의 이익과 의견을 투입하는 기회가 보장되어 구성원이 의사결정과 현실적 혹은 적어도 규범적 동질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적으로 참여의 기회가 보장되고, 사후적으로 정책의 개선 가능성이 개방되어야 한다. 또 노동 및 고용관계, 그리고 복지의 생산과 분배 및 제공관계에서 정책의 특수성에 적합하게 의사결정의 조직과 절차가 형성되어 법률관계를 견인하고, 또 참여에 의한 투명성과 합리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법률관계를 형성하여 민주주의의 정당성을 보충하여야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6-1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저스티스외국어명 : The Justice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356 | 0.6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