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채용절차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차별 문제 ― 미국과 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 = Discrimin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iring Proces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U.S. and Korea —
저자
김예진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5-126(42쪽)
제공처
소장기관
인간의 편견에 대한 불신과 이를 극복할 대안으로 급부상한 인공지능의 빠른 발전에 더하여 전 세계적인 코로나19의 확산과 비대면 면접의 확대는 인공지능의 노동 세계의 침투를 더욱 가속화 하였다. 그러나 아마존의 인공지능 채용툴의 여성 차별적 사례 등을 통해 인공지능에 의한 판단이 오히려 차별을 확산시킬 우려가 확대되었고, 이에 대해 미국은 일리노이주의 “인공지능 영상면접법”이나 뉴욕시의 “자동화된 채용 결정 도구에 관한 법”, 미국 고용평등기회위원회(EEOC)의 장애인 차별 금지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채용 절차상 인공지능에 의한 의사결정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차별적인 문제점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왔다.
한국의 경우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하여 인공지능을 통한 채용 절차에 있어 공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나 현재 제안된 법안은 인공지능 채용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 않으며, 위반 시 제재대상 및 그 정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단순한 관련 법의 제정을 넘어서 인공지능 채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차별의 심도 깊은 연구 및 이를 어떠한 방식으로 규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In addition to increase of distrust of human prejudice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it,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interviews around the world have further accelerated the penet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the labor world. However,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judgments will spread discrimination through female discriminatory cases of Amazon's artificial intelligence recruitment tools, and the United States has actively considered ways to minimize discriminatory problem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ring in hiring procedures through Illinois's “Artificial Intelligence Video Interview Act,” New York City's “Automated Employment Decision Tools Law,” and the U.S. Employment Equality and Opportunity Commission's (EEOC) guidelines to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ase of Korea, the revision of the Fair Hiring Procedure Act, aims to ensure fairness in the recruitment proces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but the proposed bills lack a clear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mployment and sanctions in case of violation. Furthermore, beyond the enactment of law, I propose an in-depth study of discrimination that may arise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employment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how to regulate i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