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 교양 문학 수업의 대면과 비대면 강의 방식의 비교 연구 - 하이쿠(俳句)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s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 : Focusing on the creation of haiku class
저자
김활란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9-409(31쪽)
제공처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에서의 대면과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문학 수업의 사례 연구 및 실태조사를 통해 향후 문학 수업의 다양한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 중에서 주목할 점으로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스스로 창작한 하이쿠를 zoom을 활용한 수업에서 발표하는 데 만족하고있고 수업유형에서도 zoom 수업 쪽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향후 적절한 수업을 전개하는 데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만족도에서 ‘보통’이라는 의견이가장 많았던 원인으로 조사대상자들은 같은 팀에 속한 팀원들의 하이쿠 감상에 대한 학생들의 ‘소극적이고 저조한 참여도’와 사전에 진행방법과 발표방식을 숙지하지 못한 경우에 발생하는 ‘원활하지 못한 진행’을 ‘비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이우선시된다.
따라서 개선방안으로서 교수자는 학기 초반에 수업방식을 충분히 수강생들에게 숙지하게 하고, 먼저 팀을 나누어 팀원들끼리 친해지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리고 팀별로 팀장을 선출하여 팀원들이 적극적으로자기 의견을 발표할 수 있도록 진행을 돕게 한다. 화면을 반드시 켜고수업에 참여하도록 상벌점제도를 마련하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향후 zoom 수업으로 교양 문학 수업을 진행하게 될 경우, 원활한 수업 전개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될 필요가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think about various plans for future literature classes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due to COVID-19.
In particular, am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rvey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presenting their own haikus in classes using Zoom and tended to prefer Zoom classes in class types, but it suggests that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develop appropriate classes in the future.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 was that the survey subjects recognized the students’ “passive and poor participation” in the Haiku appreciation of team members in the same team and the “inefficient progress” that occurs when they do not know how to proceed and present in advance, so the solution to this is prioritized.
Therefore, as an improvement plan, the instructor makes the students fully understand the teaching metho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first divides the team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the team members to become close to each other. Then, each team leader is selected to help the team members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reward and penalty system so that the screen must be turned on and participate in the class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hrough these measures, when liberal arts literature classes are conducted as Zoom classes in the future, various efforts need to be attempted for smooth class develop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