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라면시장 진출 한국기업의 전략 비교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1(25쪽)
제공처
이 논문에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라면시장에 진출한 한국 라면기업 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적합한 중국 진출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 국의 라면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전세계 라면 소비량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현재 중국 라면시장은 캉스 푸, 바이샹, 진타이랑, 통이 그룹의 4강 기업이 독과점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 중 캉스푸는 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하고 있다. 나머지 70개에서 80여개의 중소업체들이 나머지 10%의 시장 점유율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중국 라면시장에 진출한 한국의 라면기업은 삼양, 오뚜기, 그리고 농심 이 대표적이다. 이 중 삼양과 오뚜기는 중국 진출에 사실상 실패하였고, 반면 농 심은 비교적 성공적으로 중국 라면 시장에 진출하였다. 농심은 다른 두 기업보다 비교적 늦은 1995년부터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다. 처음에는 중국 기업과 50:50 의 지분으로 합작하였으나, 1998년에는 중국 합작 파트너의 지분을 인수하여 100% 지분의 경영권을 확보하였다. 농심은 대표적인 제품인 辛라면을 본격적으 로 생산하면서 중국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농심의 중국진출 성공전략을 다른 한국기업인 삼양과 오뚜기의 실패요인과 비 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는 삼양의 실패 요인이 중 국측 합작파트너와의 협력관계 구축 실패였는데, 농심은 합작파트너의 지분을 인 수하여 100% 경영권을 확보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중국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 둘째 오뚜기의 경우 사전 현지 조사가 틀려 사업이 적자가 지속되었고 삼양은 현지 상황변화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지 못하였다. 반면 농심은 철저한 사전 현지조사와 현지의 상황변 화에 맞는 단계별 전략을 수립하였다. 셋째, 농심은 오뚜기와 달리 현지 소비자를 고려한 적절한 입지전략을 선택하였고, 현지 법인 의 자율성을 높여 유연한 전략을 추진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심은 현지 중국인이 좋아하는 마오쩌뚱의 어록을 이용한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여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삼양과 오뚜기의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왜 이러한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요인이 중국에서 활용되지 못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삼양 과 오뚜기는 모두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비교우위가 있었지만 중국 라면시 장과 라면소비자들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중국내 라면시장 경쟁자와의 차별화된 전략 수립이 부족하였다. 이는 다른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에서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paper analysised Korean companies’ success and failure cases and draw a successive entering Chinese market strategies. Chinese Ramen market is growing very fast. Chines market already occupies 50% of world Ramen market so is very important market. Now, Chinese Ramen market is oligopolistic market, and main companies are KANGSHIFU, BAISHANG, JINTAIRANG, TONGYI. Especially, KANGSHIFU has over 40% of market share. Other 70 to 80 small companies are competing to survive in residual 10% of market shares. Korean Ramen companies have been entering in this Chinese Ramen market, and SAMYANG, OTTOGI, NONGSHIM are representative companies. But SAMYANG and OTTOGI failed in entering Chinese market, only NONGSHIM successively entered Chinese market. NONGSHIM entered Chinese Ramen market in 1995, lated other two companies. And NONGSHIM took over control power of companies acquiring share of partner Chinese companies in 1998. And then NONGSHIM has produced SIN Rame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roducts of NONGSHIM. This paper found 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failure of SAMYANG and OTTOGI to the success of NONGSHIM. First, SAMYANG had difficult to making good relationship with Chinese partner company, but NONGSHIM acquired 100% share which made the more offensive business strategy. Second, OTTOGI was wrong pre-investigation of Chinese market so had deficit and SAMYANG had no conditional strategy preparing to changing situations. But NONGSHIM had good pre-investigation and phased strategies. Second NONGSHIM choose good position strategy considering Chinese consumer, and gave autonomy to the Chinese local corporation which enable more flexible strategy. Last, NONGSHIM used the MAO’s quotation which was loved of Chines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