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화재 현장 지휘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자원동원 및 관리를 중심으로 = Improvement Plan for Fire Scene Command System: Focusing on Efficient Resource Mobilization and Manage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치안행정논집(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5-151(17쪽)
제공처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건축물 고층화로 인해 대형 화재 발생 시 대응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화재 현장 지휘체계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화재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있어 왔지만, 이 연구는 초기대응의 중요성과 지휘관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국내에서는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화재예방법)」 및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에 따라 소방 조직이 운영되고 있으며, 표준현장지휘체계(ICS)를 도입하여 긴급구조기관 및 지원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존재하며, 지휘체계의 효과적 운용을 위한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화재 현장 지휘체계의 실태를 분석하고, 효율적 자원동원 및 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질적인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발생 사례를 비교ㆍ분석하여 화재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6∼2022년에 국내에서 발생한 4건의 대형 화재사건 (물류창고 신축공사장 화재, 물류센터 화재, 충격완화 시트지 생산공장 화재, 개인택시정비센터 화재)의 실태를 살펴보고, 공통적인 문제점을 도출한 후, 화재 현장 지휘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화재 현장 지휘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현장지휘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둘째, 표준화된 지휘 절차 및 의사결정 모델을 도입하여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선착대장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지휘권 이양 절차를 체계화해야 한다. 넷째, 자원의 효율적 배치를 위한 자원관리 모델을 구축하고, 신속동료구조팀(RIT) 및 2인 1조 대원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정보통신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현장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화재 현장 지휘체계의 개선은 화재 대응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현장 대원의 안전을 보호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이 실무에 적용될 경우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화재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increasing urbanization and high-rise buildings, the complexity of fire response operations has also grown,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an effective fire scene command system. This study aims to analyz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re scene command systems and derive strategies for efficient resource mobilization and management.
In South Korea, fire organizations operate under the Fire Prevention Act and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NFSC), with the adoption of the Incident Command System(ICS) to enhance cooperation among emergency response and support agencies. However, practical operational challenges remain, necessitating improvements in command system effectiveness. This study examines cases such as the Phoenix Fire Department’s command procedur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incident command system in the United Kingdom to propose improvements for the domestic fire response system.
The study results suggest several key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fire scene command system. First,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must be implemente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cident commanders. Second, standardized command procedures and decision-making models should be introduced to enable rapid and systematic fire response. Third, the role of the first-arriving officer should be clarified, and command transfer protocols must be systematized. Fourth, an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model should be established, including the activation of the Rapid Intervention Team(RIT) and a two-in/two-out personnel management system. Lastly, optimiz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is essential for enhancing overall field response efficiency.
In conclusion, improving the fire scene command system is critical for ensuring faster and more effective fire response operations while safeguarding the safety of on-site personnel. The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structured and efficient fire response system when applied in practic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