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재난관리역량 제고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for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치안행정논집(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3-192(20쪽)
제공처
이 연구는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재난과 위기 상황에 대응하여야 하는 경찰공무원들이, 그 역량을 강화함에 있어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재난 발생 시 초기 대응의 핵심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경찰공무원이 효과적인 재난 대응능력을 보이기 위해서는 소속된 부서의 의사소통이나 팀워크라는 조직적 차원, 그리고 체계적인 교육 훈련이라는 교육적 차원이 담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조직차원 및 교육차원의 변인들을 주요 요인으로 설정하여 경찰공무원의 재난대응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경찰공무원의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간의 회귀모형에서는 팀워크와 의사소통이,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회귀모형에서는 팀워크와 교육훈련체제, 그리고 직무 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의사소통과 팀워크에 대해서는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지만, 교육훈련체계에 대해서는 간접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경찰공무원의 재난대응역량 강화에 있어 두 가지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기본적으로는 재난대응과 관련한 교육훈련체제가 제대로 완비될수록 재난대응역량이 증가하므로 교육적 측면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추가적으로 경찰공무원이 소속된 부서의 팀워크와 의사소통의 정도가 직무만족을 경유하여 재난대응역량을 또한 증대시킬 수 있기에 조직적 측면에서도 접근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조직관리라는 측면이 단순히 운영의 효율성 증대만이 아닌 업무의 효과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재난대응역량을 증진함에 있어 직무훈련만이 아닌 조직관리적 차원도 고려해야 한다는 정책적 제언을 실시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re is a lack of previous studies that verified what factors can be at work in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who must respond to various disasters and crisis situations experienced in modern society.
In order for police officers, who play an important role as key players in the initial response in the event of a disaster, to demonstrate effectiv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rganizational dimensions such as communication and teamwork within the department to which they belong, and educational dimensions such as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secured.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and educational variables on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by setting them as major factors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In addition, it aimed to propose specific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strengthen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amwork and communication were confirm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regression model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ors, and teamwork,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d job satisfaction were confirm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regression model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mediators, and dependent variables. Meanwhile,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i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ommunication and teamwork, but did not show an indirect effect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s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a two-dimensional approach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Basically, the more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related to disaster response is properly completed, the mor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increase, so the educational aspect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the level of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the department to which police officers belong can also increas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through job satisfaction, so it can be approached from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Based on this,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aspect can affect not only the efficiency of operation but also the effectiveness of work, so a policy suggestion was made that not only job training but also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dimens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enhanc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