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近代日本の大アジア主義と大同思想 = ‘Datong’ thought and ‘Pan-Asianism’ in Modern Japan : the Royal Way in Manchuku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Japanese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26(32쪽)
제공처
유교경전의 하나인 예기의 「예운편」에 묘사된 ‘대동’세계는 모든 차별이 해소된 이상적인 평등사회로, 때로는 중국혁명의 궁극적인 도달점으로 여겨져 왔다. 청말에 변법자강운동을 전개했던 강유위는 대동의 개념을 서양의 사회진화론과 묶어 유토피아 사상을 주창하고, 군주전제체제의 혁신을 추구하였다. 그 밖에 손문의 삼민주의와 모택동의 혁명사상에도 대동사상의 영향이 보인다.
한편, 일본에서도 대동사상에 크게 관심을 기울인 시기가 있었다. 1932년에 일본의 괴뢰국가인 만주국이 건설되었는데, 이 때 ‘왕도주의’가 만주국의 통치이념으로 채택되었다. 만주국에서 활동한 일본의 중국연구자들 가운데에는 예기 「예운편」에 기술된 대동세계를 왕도정치의 이념으로 이해하고, 대동의 이념에 기반하여 만주국내에서 농민자치운동을 전개하려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그들은 만주국의 독립에 찬동하고 일본과 만주를 연계시키고자 한 아시아주의자들이었다. 만주국 독립 후 국제연맹에서 탈퇴한 일본에서는, 구미중심의 국제연맹에 대항하기 위하여 일본을 주체로 한 아시아국가 연합체를 형성하려는 기운이 왕성해지며, 소위 ‘대아시아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만주국의 일본인아시아주의자들은 왕도정치의 이상인 대동사상을 일본적인 아시아주의의 문맥으로 바꿔 읽고, 서양문명의 ‘패도주의’ 대신에 동양문명의 ‘왕도주의’에 기반을 둔 세계혁명을 실현한다는 논리로, 왕도주의에 따른 아시아 연합을 호소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일본에서 대아시아주의 사조가 어떻게 대두되었는지를 개관한 후, 전전(戰前)의 만주국에서 왕도주의를 주창한 타치바나 시라키(橘樸)와 노다 란조(野田蘭蔵)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주창한 대동사상을 고찰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만주국에서 주창된 왕도주의론 가운데 일본을 맹주로 한 ‘대아시아주의’와 유교적인 ‘천하위공(天下爲公)’을 지향하는 대동사상이라는 본디 이질적인 아시아의 연대사상이 어떻게 접합되어 있는지를 규명한다. 이를 통해 만주국에서 활동한 일본의 아시아주의자들이 중국의 전통사상인 대동사상에 왜 주목했는지 그 이유를 밝힌다.
‘Datong’(大同) world(One world with great unity), described in ‘Liyun’ of Liji the Book of Rites, has long been considered to be not only the egalitarian utopian society where all discrimination has been dissolved, but at times a final destination for the Chinese revolution. In Japan, the ideology of ‘Wangdao’(the Royal Way) was adopted as the official governing ideology of Manchukuo, the Japanese puppet state created in 1932. Some Japanese sinologists in Manchukuo interpreted ‘Datong’ world as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Royal Way and hoped to lead farmer’s self-rule movements based on the ‘Datong’ thought. They were the ‘Pan-Asianists’ who supported the independence of Manchukuo and made efforts to connect Manchukuo closely with Japan. So called ‘Pan-Asianism’ movements took place in Japan when Japan’s withdrawal from the League of Nations strengthened the mood for forming a block of Asian nations led by the Japanese. The Japanese ‘Pan-Asianists’ in Manchukuo reinterpreted ‘Datong’ philosopy as an ideology of the Royal Way from the context of the Japanese ‘Pan-Asianism’. Claiming that they would realize the world revolu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the Royal Way of the Eastern civilization, which will replace the Way of Might of the Western civilization, the Japanese ‘Pan-Asianists’ appealed for the creation of a block of Asian nations according to the Royal Way.
Following the overview of the historical process how ‘Pan-Asianism’ emerged in modern Japa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atong’ philosophy in Manchukuo focusing on Tachibana Shiraki (橘樸) and Noda Ranzo(野田蘭蔵) who advocated the ideology of the Royal Way in prewar Manchukuo. Especially this paper will clarify how among the ideologies of the Royal Way in Manchukuo, ‘Pan-Asianism’ led by the Japanese was able to join together with the ‘Datong’ thought that aimed to fulfill the Confucius ideal of ‘the whole world as one community(天下爲公)’ and was an originally heterogeneous thought of the solidarity in Asia. In doing so, this paper will show the reason why the Japanese ‘Pan-Asianists’ in Manchukuo paid great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Chinese Thought of ‘Datong’.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