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영화 < 아리랑 >의 컨텍스트 연구 -< 아리랑 >이 받은 영향과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 The Context of Arira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88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198(32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 아리랑 >은 1990년대까지 민족영화의 전범인 동시에 예술적으로 뛰어난 리얼리즘 영화이며, 민족적 저항 정신이 몽타주로 표현된 수작으로 인정받았 다. 이러한 견해는 1990년대 들어서 신파적인 부분과 저항성의 부재라는 측 면에서 문제 제기를 받으면서 조금씩 수정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불충분한 영화사적 해명은 자료 해석의 단순성과 전기적인 작가주의 그리고 텍스트 중심 분석에 집중한 나머지 문화사적 맥락을 놓친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 인다. 이후 최근의 연구들은 < 아리랑 >을 장르영화의 맥락에서 다루고 있다. 즉 문화적 맥락이나 당대의 에피스테메를 어느 정도 밝히려고 시도하는 것 이다. 이 글은, 이러한 연구들을 검토/수렴하는 한편 누락된 부분들을 보충하여 새로운 각도에서 < 아리랑 >의 맥락 즉 받은 영향과 끼친 영향을 서술하였다. 받은 영향의 측면에서는 이광수의 소설 『무정』과 < 폭풍의 고아들 Orphans of the Storm >(D. W. 그리피스, 1921) 등을 검토하였으며, 끼친 영향 의 측면에서는 나운규에 비판적이었던 카프 영화계가 만든 < 유랑 >(김유영, 1928), 나운규보다는 지적이며 카프영화와는 별개로 독자적 영화 세계를 가 진 것으로 평가된 심훈의 < 먼동이 틀 때 >(1927) 등을 그 대상으로 삼았다. 그럼으로써 < 아리랑 >과 문학과의 교류 지점, < 아리랑 >에 참가한 인력들인 배우와 스텝들의 성향, < 아리랑 >이 참고한 영화들과의 비교 분석, 피식민지 영화인들의 영화적 인식 등을 검토한 것이다. 이는 < 아리랑 >을 둘러싼 에피스테메와 문화적 맥락을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더보기Arirang directed by Na Un-kyoo is recognized as a canon of national film at the same time has been expressed as a masterpiece and outstanding realism movie with artistic. Also this film is recognized as a resistance film has the national spirit until the 1990s. This view began to be gradually modified by the other views in the 1990s. These insufficient explanation seems to miss the cultural context and episteme of that days. Since recent studies are dealing with Arirang as the context of the genre films. This article, by supplementing the missing parts while reviewing / convergence of these studies try to describe this film in the affect and the impact of Arirang with a new view point. In terms of affect this study has reviewed the novel heartless(Mujung) written by Lee Kwang - soo and Orphans of the Storm Storm (D.W. Griffith, 1921) and in terms of effect this study has reviewed KAPF film Wandering(Yu rang, Kim Yu-yeong, 1928) and When the Sun Rises(Meondong-i teul ttae, Sim Hun, 1927). So this study try to reveal the relation of Arirang and tendencies of the actors and staffs of this film, Arirang and Korean modern nove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Arirang and other films, and the filmic perception of the filmmakers of in that days. This is also the work to reveal the episteme of filmmakers and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Arirang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12-0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ontemporary Film Research Institute -> Contemporary Cinema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10-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Contemporary Film Studi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9 | 0.72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