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자녀의 성장 수요에 따른 가변형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lexible Residential Space Design Based on the Growing Needs of Children
저자
저성양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공간문화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최경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공간문화 디자인과 전담교수)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9-104(16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중국 가정 구조의 동적 변화와 자녀 성장 과정에서의 거주 공간 요구의 다양화에 따라, 전통적인 정적인주택 디자인은 현대 가정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특히, 중국의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배경에서 가정은 자녀 성장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거주 공간을 확장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본 연구는 자녀 성장 요구를바탕으로 한 주거 공간의 가변적 특성을 탐구하고, 각 성장 단계에서 어린이의 생리적, 심리적, 인지적 요구가 거주 공간의 기능과 배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현대 가정의 요구에 적합한 주거 공간 설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주거 디자인이 정적인 기능 분리에서 동적이고 가변적인 공간 배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가정의 생활 질 향상과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발달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고찰, 사례 연구 및 종합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주거 공간의 가변성, 아동 성장 요구 및 공간 설계와 관련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둘째, 여덟 개의 대표적인 주거 공간 설계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의 기본 정보와 가변 설계 기법을 중심으로 심층분석을 진행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변 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 분석을 통해 자녀 성장 단계의 요구 특성과 사례 연구 결과를 결합하여 주거 공간의 가변 요구와 관련된 요소 및 설계 전략을 정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자녀 성장단계에 따른 주거 공간 수요는 확장성, 전환성 및 다기능성 세 가지 주요 범주로 요약될 수 있다. 확장성 수요는 자녀의 생활 방식과 제한된 공간 간의 불균형을 해결하며, 행동과 기능의 누적적 증가에 적응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환성 수요는 생활 행동의시간적 변화에 대응하여 공간을 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기능성 수요는 하나의 공간에서 여러 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벽체 가변, 이동식 가구, 미닫이 문 등 세 가지 일반적인 주거 공간 가변 설계 방안을도출하였다. 이러한 방식들은 공간 기능 배치를 유연하게 조정하여 다양한 성장 단계의 동적인 수요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일부 사례에서는 수직 공간 활용, 개방형 레이아웃 등 혁신적인 설계 방식이 적용되어 주거 공간 최적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주거 공간 가변성 설계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며, 가변 수요의 핵심 동기 요소와 이를 실현하기위한 경로를 명확히 하였다. 이는 향후 주거 공간 설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프레임워크는 자녀 성장 요구에 맞춘 주거 공간 최적화뿐만 아니라, 유연성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주거 디자인에 대한 중요한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With dynamic changes in China’s family structure and the evolving residential needs during children’s growth, traditional static housing designs no longer suffice. Accelerated urbanization and high housing prices further limit families’ ability to expand living spaces. This study explores the variability of residential spaces based on children’s developmental needs, analyzing how their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changes influence spatial functions and layouts. It proposes adaptive design strategies that transition housing design from static zoning to dynamic, flexible layouts, enhancing family quality of life and promoting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Method) This study adopts a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comprehensive analysis approach.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the theories related to the variability of living spaces, children’s developmental needs, and spatial design, establishing the research framework. Second, eight representative residential design cases are selected for in-depth analysis, focusing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cases and the variable design methods employed. This analysis summarizes common approaches to variable design. Finally,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integrates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with the findings from the case studies, extracting key factors and design strategies related to the variable requirements of living space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idential space needs at different stages of child developmen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types: expandability, convertibility, and multifunctionality. The expandability requirement primarily focuses on addressing the imbalance between children’s lifestyles and limited space, accommodating the cumulative growth of behaviors and functions. The convertibility requirement responds to the dynamic switching of living behaviors over time, while the multifunctionality requirement supports the simultaneous execution of different activities within the same space. Case study analysis identified three commonly used variable design methods in residential spaces, including movable walls, mobile furniture, and sliding doors. These methods allow for flexible adjustments of spatial layouts to meet the dynamic need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dditionally, some cases demonstrated the use of vertical space and open layouts, provid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optimizing residential space design.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 systematic set of design strategies for the variability of residential spaces, clarifying the core driving factors and pathways for implementing variable needs. The framework provides both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references for future residential space design. This research not only contributes to optimizing residential spaces based on children’s growth needs but also offers insights into flexible and sustainable housing desig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