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태권도 품새 동작에 대한 내용분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92.9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31(19쪽)
KCI 피인용횟수
7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태권도에서 근래에 경기종목으로 채택되어 시행되고 있는 품새 경기에 대한 내용분석으로서, 유급자(태극1장∼8장) 및 유단자(고려∼일여) 품새(전체 17개)에 포함된 기본기술 및 세부기술들의 다양한 특징에 따라 체계적 분류를 시도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세계태권도연맹 및 대한태권도협회 그리고 국기원에서 사용하는 태권도 품새 교본,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을 바탕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18.0 Ver Program을 이용하여 분류기준별(신체분절, 기술목적, 기본기술, 동작의 방향)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급자 및 유단자 품새에 포함된 모든 기술동작들의 약 2/3는 태권도의 준비자세인 서기와 기본방어 동작인 막기와 관련된 세부기술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다[유급자 67.9%, 유단자67.3%]. 그리고 전반적으로 모든 상지(손) 및 하지(발)의 세부기술들은 공격을 위한 동작(offensive actions)보다는 방어를 위한 동작(defensive actions)의 비율(32.0% vs. 68.0%)이 월등히 높았으며, 곡선(회전)동작(curve(rotation)movements)보다는 직선적 동작(liner movements)이 훨씬 많았다(47.7% vs. 52.3%). 또한 태권도의 대표적인 상징인 발차기 동작의 비율은 손동작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그리고 태권도의 품새는 급(級) 또는 단(段)이 올라갈수록 동작의 다양성 및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되어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급 또는 단의 고저(高低)를 인식할 수 있는 체계적인 특징을 볼 수가 없었다. 태권도에서 겨루기에 이어 품새가 경기화 되면서 태권도 현장뿐만 아니라 관련분야 연구자들에게도 품새 기술의 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품새의 급은 기술동작의 완성도에 따라 높아지는 승급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위계적 단계는 유단자 품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품새는 급 또는 단의 변화에 따른 동작의 다양성 및 난이도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품새 경기의 변별력을 높이고 심판 판정의 객관성 및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품새의 급 또는 단의 위계적 단계에 따라 기술동작의 다양성 및 난이도가 고려된 체계적 구성이 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Poomsae movement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an attempted to systematically classify Poomsae movements that are included in both Geup (Taegeuk Chapter 1∼8) and Dan Grades (Koryo-Ilyeo) Poomsaes (Total 17). Poomsae text books currently used in Kukkiwon, KTA, WTF,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ferenced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984 movements in both Geups and Dan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pre-specified classification criteria such as Body Segment, Basic Skills, Purpose of Technique, and Direction of Motion. Frequency and contingenc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PASW 18.0 Version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2/3 of all Poomsae movements included in Geups and Dans were related to two basic skills, namely Seogi(stance) and Makgi(block)[68.9% for Geups and 67.3% for Dans]. The proportion of defensive actions were much higher than offensive actions (68.0% vs. 32.0%), and that of linear movements was much higher than curve (rotation) movements (52.3% vs. 47.7%). In addition, unlike the common image of Taekwondo, the frequency of kick (leg) techniqu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and techniques. The level of difficulty and movement diversity of Taekwondo Poomsaes are recognized to be deepened as Geup and Dan become higher;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id not show such systematic characteristics to recognize and differentiate between the Geups and Dans. As Taekwondo Poomsae becomes official competition events, the interest in the configuration of Poomsae techniques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Taekwondo Poomsae research as well as in the field of Taekwondo itself. The techniques and movements in Poomsae Geups as well as Dans were recognized to be determined and composed depending on the completeness of Taekwondo techniques exec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however, most of the Poomsaes movement techniques did not contain suc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kill difficulty and movement diversity as grades of Geups and Dans upgrades. Thus, from the evaluation point of view in Poomsae competition it was suggested that an effort should be made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Poomsae movements and techniques according to the level of grades in Geups and Dans. This efforts would, in trun, result in the fairness of official judgements in Poomsae competitions which often appear to be a controversy in the field of Taekwondo Poomsae competition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 | 1.2 | 1.171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