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개발을 위한 R&D 경영 전략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Recently, the world’s attention to the prevention of global warming and low carbon green growth has been increa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ransport means to connect not only between cities in one country but also between cities in difference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mong those, representative transport system is superspeed magnetic levitation railway.
    Currently, superspeed maglev railways are developed or under development in countries such as Germany, Japan, China, and South Korea. The vehicle developed by Germany is called Transrapid and all tests related to this vehicle such as operation, railway, propulsion, and electric power tests have been completed in Emsland test line in Germany. This technology was used to construct the commercial line that connects between Pudong International Airport in Shanghai and Longyang Road Station.
    Japan has developed MLX(Maglev Experimental) system and this system is under running tests in Yamanashi. The test line was extended to 42.8km in 2013 and will be connected from Tokyo to Nagoya by 2027 for commercial operation. In South Korea, the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of superspeed maglev railway has started as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and finished in March 2015.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arge system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superspeed maglev railway technology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in diverse areas such as propulsion, electric power, vehicles, and operation should be implemented without any error. If an abnormality occurs in a sub system or part, the technology development will fail.
    Since these countries are unwilling to disclose the technologies possessed by them to the outside, there are limitations in finding out detailed information on systems, sub systems, on parts and concrete information on cases of application of system engineering and instrumentation systems. In addition, in the case of vehicles for development that are not commercial vehicles, the size of vehicle should be reduced due to limitations in study periods and development costs. Furthermore, although the desig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are conducted considering commercialized vehicles, there are difficulties in applying all details as they are to vehicles for development.
    In South Korea, a study to develop an superspeed maglev railway system began in December 2011 as a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and terminated in March 2015. To develop the large system as such, patent analyse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the patent analyses by country, by technology, etc.,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ith regard to patent trends by applying countries, it is found that the USA posses the largest number of patents related to superspeed maglev railway systems(185 cases, 30%), followed by Japan(160 cases, 26%), and China (122 cases, 19%). South Korea was identified to have applied for the smallest number of patents with 48 cases (8%). Since the ratios of patent applications of the USA and Japan are the highest, it can be seen that preoccupying the market in these two countries is important. In general, it could be seen that the qualitative level of patents of the USA was the highest and that market competitiveness was led by Germany and Japan.
    Second, with regard to patent trends by technology, the number of patents applied in 1980 was small with 2 cases and that in 2007 was the largest with 58 cases. Since the investigation indicates that patent applications increased drastically in the 1990s and from the middle of the 2000s, the importance of superspeed maglev railway systems seems to have been reflected on patent applications.
    Third, the qualitative level and competitiveness of technologies were analyzed and it was identified that Germany had the most excellent superspeed maglev railway technologies.
    Fourth, to analyze competitiveness levels of countries by technology, patents applied for in the USA were analyzed. The leading group with the highest technical competitiveness consisted of the USA and Germany and countries with higher than average market securing indexes were Germany and Japan. The USA, Japan, and Germany showed higher than average citation rates indicating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markets in these countries had been matured.
    Fifth, it could be seen that since linear synchronous motor design, levitation, and guiding technologies cannot be easily entered because the levels of difficulties of those technologies high, development should focus on enhancing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domestic independent technologies or cost reduction.
    Sixth, the guide way technology used in superspeed maglev railways is changing into steel, hybrid, and concrete types. Therefore, referring to the newest technologies, design, fabrication, and test/evaluation technologies for guide way models unique to South Korea should be developed.
    Meanwhile,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for superspeed maglev railways, the application of system engineering techniques was very helpful in securing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entire system.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ceability of sub system requirements and component requirements for system requirements could be identified to find missing parts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Second, since the entire system was addressed, data and diagrams that would enable the researchers to consistently understand even other areas not under their charge could be presented and wrong understandings of technical matters in other areas could be corrected to minimize technical risks.
    Third, system verification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system requirements in principle. The completeness of system verification could be enhanced by identifying test items and connecting traceability based on the data on system requirements, sub system requirements, and requirements constructed in the system engineering database.
    In addition, to verify integrated performance, the total instrumentation system of superspeed maglev railways was composed of land power, track, vehicle, signal/communication/environment, and total instrumentation systems. Using the total instrumentation system composed as such as separate measuring devices, combined tests and general trial run tests were conducted to obtain the study results as follows.
    First, to verify propulsion system combination tests, the inverter, converter, and energy storage device were combined and tested. It could be seen that the DC link voltage was DC 900V and the DC current was 100A. It was identified that the DC link voltage and current, torque current reference value, and feedback current were working normally.
    Second, through thrust tests of LSM single units, the progresses of theoretical values and measured values of LSM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put current and the position of the levitation electromagnet were reviewed. The thrust was identified as 5.58kN, higher than the required thrust 5.13kN. An error of approximately 5.7% occurred and this is considered attributable to the friction loss between the levitation electromagnet and the LM guide and the applied current measurement error. Since the required thrust was within the maximum thrust based on the foregoing, the design feasibility was verified.
    Third, maximum thrust tests were conducted and 24.88kN could be obtained as the maximum thrust that was higher than the design value 23.7kN. Since the obtained value is similar to the design value 23.7kN, it could be seen that the LSM was designed and fabricated close to the design. Fourth, maximum speed vehicle propulsion tests were conducted and a maximum vehicle speed of 8.45m/s could be obtained which was higher than the design value 8m/s.
    Fifth, whereas the maximum targeted acceleration/deceleration speeds of super -speed maglev railway vehicles using LSM propulsion systems are 1.1m/s2 respectively,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values were shown to be 1.16m/s2,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Sixth, a vehicle magnetic flux position estimator was developed so that the LSM could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As reviewed above, to successfully develop a large system, domestic/foreign patents and technologies should be analyzed first. In addi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esign, fabrication, and tests of the system, sub system, and components should progress without any problem.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large scaled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in scheduled period and costs and more than 100 participants, clear strategies for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have been prepared. Based on such necessity, the R&D management strategy for development of superspeed maglev railway technologies was actually applied to the project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project.
    In future, measures to apply the system engineering computerization support environment and comprehensive instrumentation system construction cases currently develop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low-medium speed magnetic levitation trains and other vehicles should be reviewed. Furthermore, when implementing larg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the R&D management strategy studied here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fit individual projects and actively utilized in the projects.

    더보기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방지와 저탄소 녹색 성장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자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운송수단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운송수단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초고속 자기부상철도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초고속 자기부상철도를 개발하였거나 개발 중인 나라는 독일, 일본, 중국, 한국 등이다. 독일이 개발한 차량을 Transrapid라고 부르는데, 독일 Emsland 시험선에서 이 차량과 운영, 선로, 추진, 전력 등과 관련된 모든 시험을 완료하였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중국 상하이 푸동공항과 롱양역을 연결하는 실용화 노선을 구축하였다.
    일본은 MLX(Maglev Expertimental) 시스템을 개발하여 야마나시에서 열차의 주행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2013년에 42.8km로 연장하였고, 2027년까지 동경에서 나고야까지 연결하여 영업노선에서 운행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2011년 12월부터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핵심기술개발을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시작하여 2015년 3월에 종료하였다.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개발과 같은 대형 시스템 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추진, 전력, 차량, 선로,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수행되어야 한다. 만일, 하나의 서브시스템 또는 부품에서 이상이 발생한다면, 그 기술개발은 실패로 끝나게 될 것이다.
    이들 국가에서는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들에 대한 외부유출을 꺼리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서브시스템, 부품 등에 대한 상세 정보와 시스템 엔지니어링 적용 사례, 계측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알아내는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실용화 차량이 아닌 개발 차량인 경우에는 연구 기간과 개발 비용의 한계로 인해 규모를 축소해서 개발할 수밖에 없다. 또한, 실용화 차량을 고려해서 설계, 제작과 성능평가가 이루어지지만, 모든 사항들을 개발되는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초고속 자기부상철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2011년 12월에 시작되어 2015년 3월에 완료되었다. 이러한 대규모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특허분석을 가장 먼저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국가별, 기술별 등에 따른 특허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출원국별 특허동향은 미국 185건(30%), 일본 160건(26%), 중국 122건(1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48건(8%)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미국과 일본 특허청 비중이 높아, 두 나라에서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함을 볼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특허의 질적 수준은 미국이 가장 높고, 시장경쟁력은 독일과 일본이 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술별 특허동향은 1980년에는 2건으로 작았으나, 2007년 58건으로 가장 많이 특허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어 초고속열차에 대한 중요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셋째, 기술의 질적 수준, 경쟁력을 분석하여 독일이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이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넷째, 기술별 국가간 경쟁력 분석을 위해 미국에서 출원된 특허를 분석하였다. 기술경쟁력이 강한 리딩그룹은 미국과 독일이며, 시장확보지수가 평균 이상인 국가는 독일과 일본임을 알 수 있었다. 미국, 독일, 일본은 인용비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나 연구개발시장이 성숙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선형동기전동기 설계, 부상 및 안내 기술은 기술의 난이도가 높아 기술진입이 쉽지 않기 때문에, 국내 독자 기술 또는 비용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것에 중점을 둔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에 이용되는 가이드웨이 기술은 철제,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형식으로 변천하고 있다. 따라서 최신 기술을 참조하여 국내 고유한 가이드웨이 모델에 대한 설계, 제작, 시험평가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핵심기술개발을 진행하면서,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법을 적용하여 전체 시스템 신뢰성과 안정성 확보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는데,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요구사항에 대한 서브시스템 요구사항 및 구성품 요구사항의 추적성을 확인하여 상호 누락된 부분을 식별하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시스템 전반을 모두 다루고 있기 때문에, 연구원들이 자신이 담당하지 않는 다른 영역에 대해서도 일관된 이해를 할 수 있는 데이터와 다이어그램을 제시하고, 타 분야 기술사항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바로 잡아 기술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셋째, 시스템의 검증은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 원칙이다. 시스템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시스템 요구사항과 서브시스템 요구사항, 구성품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시험항목을 식별하고, 추적성을 연결함으로써 시스템 검증의 완전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통합성능 검증을 위해 초고속 자기부상철도의 종합계측시스템을 지상전력, 궤도, 차량, 신호/통신/환경 및 종합계측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합계측시스템과 별도의 계측장치들을 이용하여 조합시험 및 종합시운전 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추진시스템 조합시험 검증을 위해 인버터와 컨버터, 에너지저장장치를 조합하여 시험하였다. DC 링크 전압 DC 900V와 DC 링크 전류가 100A임을 알 수 있었다. DC 링크 전압과 전류, 토크전류 지령치와 피드백 전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LSM 단품에 대한 추력시험을 통해, 입력전류 및 부상전자석 위치가 변함에 따라 LSM 이론값과 측정값을 살펴보았다. 추력이 5.58kN으로 요구추력 5.13kN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약 5.7%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부상전자석과 LM가이드 마찰 손실, 인가된 전류의 측정 오차 등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요구 추력이 최대 추력을 만족하므로 설계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셋째, 최대 추력시험을 수행하여 설계값인 23.7kN 이상인 24.88kN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값은 설계값인 23.7kN과 유사한 값으로 LSM이 설계값과 가깝게 설계 및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차량 최고속도 추진시험을 실시하여 설계값인 8m/s 이상인 차량 최대 속도가 8.45m/s를 얻을 수 있었다.
    다섯째, LSM 추진시스템에 의한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차량의 최대 가감속 목표속도는 각각 1.1m/s2인데, 가속도와 감속도 값이 기준값 이상인 1.16m/s2로 나타났다. 여섯째, 차량자속위치 위치 추정기를 개발하여 LSM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대형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특허 및 기술분석이 선행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연구 기간 중에는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품 등의 설계, 제작, 시험이 착오 없이 진행되어야 한다. 정해진 기간과 비용, 백 명 이상이 참여하는 대규모 연구개발을 성공적으로 끝내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을 위한 분명한 전략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개발을 위한 R&D 경영전략을 프로젝트에 실제로 적용하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향후에는 현재 개발되어있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산지원환경, 종합계측시스템 구축 사례를 중저속 자기부상열차, 다른 차량 기술개발 등에 확장하여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대형 국가연구개발 진행시, 여기서 연구된 R&D 경영전략을 각 사업에 맞도록 수정하고 보완된 후에 그 사업에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1
    • 제2절 국내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3
    • 1. 독일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연구개발 3
    • 2. 일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연구개발 5
    • 3. 중국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연구개발 7
    • 4. 기타 국가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연구개발 7
    • 5. 국내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연구개발 8
    • 제3절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 9
    • 1. 추진 및 전력시스템 9
    • 2. 선로시스템 15
    • 3. 차량시스템 17
    • 제4절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R&D 경영전략 21
    • 제2장 연구동향 24
    • 제1절 특허분석 연구동향 24
    • 제2절 시스템 엔지니어링 연구동향 26
    • 1.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반의 연구사례 26
    • 2.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28
    • 3. 기능분석 30
    • 제3절 통합 검증 사례 연구동향 33
    • 제3장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특허 분석 36
    • 제1절 개요 36
    • 제2절 국가별 및 기술별 특허동향 38
    • 1. 출원국별 특허동향 38
    • 2. 기술별 특허동향 41
    • 제3절 출원인별 특허동향 47
    • 제4절 기술별 국가간 경쟁력 분석 50
    • 1. 피인용도-시장확보지수를 통한 분석 50
    • 2. 피인용도-인용비를 통한 분석 51
    • 제5절 특허 키워드맵 분석 53
    • 제6절 종합검토내용 55
    • 제4장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위한 전산환경 구축 56
    • 제1절 스키마 정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56
    • 1.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및 스키마 정의 56
    • 2.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57
    • 제2절 개발 프로세스별 수행 내용 59
    • 1. 프로세스 및 업무 구성 59
    • 2. 정의 프로세스 59
    • 3. 설계 및 구현 프로세스 63
    • 4. 검증 프로세스 67
    • 5. 기술관리 프로세스 70
    • 제3절 종합검토내용 72
    • 제5장 종합계측시스템 개발 및 통합 검증 사례 73
    • 제1절 종합계측시스템 하드웨어 개발 73
    • 1. 종합계측시스템 개요 73
    • 2. 전력 및 궤도 계측시스템 75
    • 3. 차량 및 신호/통신/환경 계측시스템 78
    • 제2절 종합계측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79
    • 제3절 관제시스템 82
    • 1. 시스템 구성 82
    • 2. 관제 프로그램 85
    • 제4절 Lab 시험 및 조합시험 검증 사례 87
    • 1. Lab 시험 사례 87
    • 2. 조합시험 검증 사례 89
    • 제5절 종합시운전 검증 사례 94
    • 1. LSM 추진시스템 94
    • 2. LSM 추력시험 95
    • 3. 최고속도 시험 97
    • 4. 최고 가(감)속도 시험 98
    • 5. 차량의 추진제어 측정 99
    • 제6절 종합검토내용 101
    • 제6장 결 론 103
    • 참고문헌 107
    더보기
    • 1 권용수, "신 시스템엔지니어링 입문", 아이워크북, 2007
    • 2 김종찬, 장동식, 이준혁, 박상성, "특허분석을 통한 기술전략수립", 한국지능시스템학 회논문지, 26(2), 141-146, 2016
    • 3 김정원, 하상도, "식품과학분야의 기술예측 및 기술전략",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 회논문집, 26-34, 2000
    • 4 이주현, 이철웅, "특허 분석을 활용한 ITS 녹색 기술 예측", 韓國컴퓨터情報學會,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2), 233-241, 2014
    • 5 류상현, 홍준희, "HEMU-400X 종합계측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한국철도학회논문 집, 14(6), 484-488, 2011
    • 6 한영재, 김상수, 구훈모, 김영국, 김석원, "틸팅차량 종합계측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 구", 한국철도학회, 한국철도학회논문집, 5(6), 671-676, 2006
    • 7 노승민(Seungmin Rho), 최용수(YongSoo Choi), "특허분석을 통한 빅 데이터의 시각화 기술 분석", 대한전자공학회, 전자공학회논문지, 51(7), 149-154, 2014
    • 8 이태형, "차세대 고속열차 시험평가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시스템 엔지니어링학술지, 7(2), 2011
    • 9 한영재, 조정민, 이창영, 이진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개발 동향조사 및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6), 2631-2638, 2013
    • 10 이태형, "시운전시험을 통한 차세대고속열차 성능검증체계", 시스템 엔지니어링학회 춘계학술대회, 2013
    • 11 한영재, 백광선, 박찬경, 김진환, 김영국, 김석원, "고속철도 시운전시험 계측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한국철도학회논문집, 5(3), 87-95, 2002
    • 12 김성배,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연구개발과제와 기술경영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76), 87-96, 1995
    • 13 박영원, 유일상, "차세대 고속전철 시스템 엔지니어링 체계 모델 개발",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4(4), 147∼154, 2002
    • 14 한영재, 이형우, 이영훈, 권혁빈, 강부병, 이창영, "일본의 초전도 자기부상 열차 기술 개발 및 실용화 현황", 한국철도학회, 한국철도학회지, 11(3), 2008
    • 15 정인진, "제조기업의 경영전략에서 생산기술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16(6), 85-101, 2003
    • 16 주대원, 황규오, 주희엽, "컨버전스 시대를 위한 IP(Intellectual Property) 기반 경영 전략", 한국정보기술학회, 한국정보기술학회지, 11(2), 57-63, 2013
    • 17 은인웅, 지현수, 이지원, "특허분석을 통한 공작기계 이송계의 기술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정밀공학회, 한국정밀공학회지, 510-515, 2012
    • 18 이영훈,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개발을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계획서",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시스템엔지니 어링학회 학술지, 5(1), 2009
    • 19 김영준, 박용태, 김지은, "특허데이터와 미래 데이터의 통합 : 추세영향분석을 중심으 로", 대한산업공학회, 대한산업공학회 공동학술대회논문집, 1975-1978, 2015
    • 20 한영재, 하창완, 김이현, 조정민, 이창영, 이진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시운전시험 을 위한 종합계측시스템 개발", 대한전기학회, 전기학회논문지, 65(5), 2016
    • 21 한영재, 김이현, 조정민, 이진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시운전시험을 통한 성능검증 에 관한 연구", 시스템 엔지니어링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
    • 22 이진호(Jin Ho Lee), 이철웅(Chul-Ung Lee), 김동현(Dong-Hyun Kim), 조정민(Jung-Min Jo), 한영재(Youngjae Han),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법의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한국철도학회논문집, 18(4), 317-324, 2015
    • 23 송기욱, 이덕주, "국내 정보통신업체의 경영전략과 기술전략의 연계성에 관한 실증분 석", 대한설비관리학회,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359-364, 2006
    • 24 김윤정, 이용훈, 우명언, 신명현, "연구개발(R&D)인력 세분화에 기반한 휴대전화제조 산업에서의 경영전략",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16, 2005
    • 25 김창봉, "글로벌 경영전략에 있어서 정보기술을 활용한 SCM 도입사례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36), 361-377, 2003
    • 26 김동성, 한형석, 조한욱, 성호경, 방제성, 김병현, "한국형 차세대 자기부상 열차 개발 을 위한 선진기술분석 및 국내연구현황", 대한전기학회, 전기학회논문지, 57(10), 1767-1776, 2008
    • 27 조연옥, 최요철, "철도안전프로젝트에 적용한 시스템엔지니어링관리계획서 작성에 관 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한국철도학회논문지, 9(4), 482-486, 2006
    • 28 임상혁, "정보기술(IT)과 경쟁전략에 관한 연구 – 지속적 경쟁우위와의 관련을 중심 으로", 통상정보연구, 8(1), 15-31, 2016
    • 29 고남욱, 윤장혁, 박영진, "보유특허 기반의 기술기회탐색을 위한 특허추천방법 : 3D 프린팅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지식재산연구, 10(3), 169-200, 2015
    • 30 신승천,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반의 함정전투체계 통합성능 검증을 위한 분석체계 연 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3
    • 31 박영원, 유일상, "차세대 고속전철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체계 구축 (요구사항 관리체계와 PBS 관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지, 25(4), 22-31,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