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 글쓰기 진단평가의 실제와 수업 적용 사례 - 비대면/대면 수업의 피드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niversity Writing Diagnostic Assessment Practice and Lesson Application Cases - Focusing on Non-Face-to-Face/Face-to-Face Lesson Feedbac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81(4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diagnostic assessment can lead to effective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actual cases that ran non-face-to-face/face-to-face writing curricula using th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developed by K University. K University has diagnosed and assessed basic writing abilities of freshmen through a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targeting freshmen since the first semester of 2020. According to th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f 2020, “spacing” got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llowed by “spelling,” “sentence,” “summary, thesis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It was found that students lacked an understanding of basic writing concepts, such as “summary, thesis 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compared to language norms, and failed to apply these to writing.
One-time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has no educational effect. Therefore, K University systematized writing lessons, based writing basic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results to motivate students.They then provided feedback about each item(spacing, spelling, sentence, summary, thesisstatement, paragraph, and vocabulary) for students to improve writing skills on their own. Lastly, they managed divers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an item pool, apost-diagnostic assessment, and a writing clinic so students could improve basic abilities by on their own and become confident about writing.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에서 개발한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비대면/대면 글쓰기 교과목을 운영한 사례를 통해 진단평가가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K대학교에서는 2020학년도 1학기부터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신입생들의 글쓰기 기초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였다. 2020학년도 1, 2학기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 ‘띄어쓰기 > 맞춤법 > 문장 > 개요, 주제문, 문단 > 어휘’ 순서로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어문규범에 비해 ‘개요, 주제문, 문단, 어휘’와 같은 글쓰기 기초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글쓰기에 적용하지 못한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일회성으로 시행하는 것은 교육적 효과가 없다. 따라서 K대학교에서는 먼저, 글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글쓰기 수업을체계화하여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각 항목별(띄어쓰기, 맞춤법, 문장, 개요, 주제문, 문단, 어휘) 피드백을 진행하여 학생들 스스로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제 은행, 사후 진단평가, 글쓰기 클리닉 등 다양한 교과/비교과 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 스스로 기초 능력을 향상시키고 글쓰기에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 KCI등재 |
2018-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 KCI등재 |
2018-01-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1-02-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 | 1.3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3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