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모델 크기별 데이터 증강 비율 탐구를 통한 YOLO 기반 의류 이미지 다중 카테고리 분류 연구 = Exploring Data Augmentation Ratios for YOLO-Based Multi-Category Clothing Image Classification by Model Size
최근 여러 의류 쇼핑 플랫폼 및 의류 관련 산업에서 AI를 도입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구매력을 높이는 체계를 도입함에 따라, 의류의 카테고리와 색상을 정확히 분류하는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매자 리뷰 이미지를 사용하여 한 이미지 내 여러 카테고리의 다양한 의류와 해당 색상을 분류하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구매자 리뷰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크롤링하여 데이터 증강 등 다양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YOLOv10 모델을 이용하여 의류의 객체를 탐지하고 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다. 이후, 이미지의 색상을 더 잘 추출하기 위해 고려한 크롭 방법을 통해 의류 영역을 자르고, 색상 차트와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가장 유사한 색상명을 추출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실험 결과, 본 연구의 접근 방식이 효과적임을 보여주며, 모델 크기 및 증강 배율이 높을수록 성능이 향상함을 확인하였다. 사용한 모델은 의류 카테고리 및 색상 추출에서 모두 안정적인 성능을 기록하였으며, 그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 리뷰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의류 카테고리와 색상 분류를 통해 고객 만족도 및 구매력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패션 분석에 대한 추가 연구의 기초를 마련한다. 또한, 패션 트렌드 분석, 재고 관리, 마케팅 전략 수립 등 관련 산업의 여러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는 확장성을 지닌다.
더보기With the recent adoption of AI by various clothing shopping platforms and related industries to meet consumer needs and enhance purchasing power, the necessity for accurate classification of clothing categories and colors has surged.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is issue by developing a deep learning model that classifies various clothing items and their colors within a single image using buyer review images. After directly crawling buyer review image data and performing various preprocessing steps such as data augmentation, we utilized the YOLOv10 model to detect clothing objects and classify them into categories. Subsequently, to improve color extraction, we implemented a cropping method to isolate clothing regions in the images and calculated the similarity with a color chart to extract the most similar color name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is effective, with performance increasing with model size and augmentation scale. The employed model showed stable performance in both clothing category and color extraction, proving its reliability. The proposed system not only enhances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power by accurately classifying clothing categories and colors based on user review images but also lays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in automated fashion analysis. Moreover, it possesses the scalability to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of the related industry, such as fashion trend analysis, inventory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y development.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