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하이네와 니체: “독일 언어의 기예가들” = Heine und Nietzsche: “Artisten der deutschen Sprache”
저자
발행기관
한국독일언어문학회(Koreanische Gesellschaft fu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3-108(2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하이네와 니체의 친족성은 이미 수많은 연구자들의 호기심 어린 시선을 끌어 모으고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크게 주목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은 괴테 이후 가장 탁월한 문장가들에 속하는 하이네와 니체의 글쓰기의 특성이 교차하는 지점들을 살펴본다. 니체는 시인 하이네의 음악성, ‘신적인 악의’, 출중한 독일어 운용 능력에 매료되었다. 고정된 틀을 깨뜨리는 자유분방함, 자기 연출을 통한 당대의 위선적 가치체계의전복, 산문에 배어든 시적 특성, 전투적 제스처의 선호 양상은 하이네와 니체의 글쓰기에서 관찰되는 특성들이다. 때로는 의식적으로 이해가능성을 차단하기도 하는 하이네와니체의 글쓰기는 그들이 각각 염두에 두었던 독자의 모습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하이네는 글쓰기의 예술적 측면에서는 항상 드높은 척도를 요구했지만 앎에 굶주린 민중을 위해서라면 이해의 횡목을 낮춰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자 했다. 그에 반해 니체는먼 미래의 극소수의 고고한 정신적 귀족들만을 염두에 둔 글을 썼다. 하이네와 니체의글이 갖는 상이한 영향력은 그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했던 지향점의 차이에서 비롯한다. 니체는 하이네를 편협하고 조야한 독일인의 정신과 감각에 대비되는 프랑스적인 섬세한 문화와 정선된 취향을 체현하고 있는 인물로 칭송했지만 “인류의 해방전쟁에서 싸운 용감한 병사”, 민주주의, 사회주의의 대변자로서의 하이네의 모습은 외면했다.
모든 종류의 “위대한 것”을 추구했던 니체의 “위대한 문체”는 격정적 명령형의 지배를 받는다. 비교급과 최상급의 향연이라 할 그의 문장들은 범인(凡人)들이 무리지어 있는 낮은 곳이 아니라 예외적인 존재들이 머무는 드높은 영역으로 솟구치고자 하는 그의 열망을 담아내고 되비추는 거울과도 같다.
Scharfe Kritik am deutschen Nationalismus, herbe Religionskritik, tiefgründige Analyse der psychologischen Mechanismen, radikales Infragestellen des vorhandenen Wertesysems, prophetische Verkündung von einem ‘gesunden’ neuen Zeitalter - die Bereiche, wo sich die kritischen Gedanken von Heine und Nietzsche kreuzen, sind breit gefächert. Nicht zu übersehen sind aber auch die verwandten Züge, die bei der Betrachtung ihres eigentümlichen Schreibens festzustellen sind. Die vorliegende Studie versucht, die Konturen der stilistischen Affinitäten beider Autoren skizzenhaft zwar, aber möglichst klar zu zeichnen.
Als “Artisten der deutschen Sprache” konnten Heine und Nietzsche ihre Gedanken auch höchst wirkungsvoll ins Wort fassen. Beim Schreiben haben die beiden Wortmächtigen Ernst und Spiel, Pathos und Ironie ineinanderfließen und unter der unbefangenen, zu improvisieren scheinenden Oberfläche ihre zielsichere Absicht spielerisch durchscheinen lassen. Durch eine raffinierte Selbstinszenierung konnten sie ihre Zeit desto treffender kritisieren. Die musikalisch-poetischen Züge ihrer Prosa, die von den klangvollen Tönen und dem ‘tanzenden’ Rhythmus des Satzflusses herrühren, die betont polemisch-kämpferische Rhetorik, die anspruchsvollkünstlerische Haltung gegenüber dem Schreiben selbst - dies alles sind die Beweise, die darauf hinweisen, wie stark Heines Schreiben auf Nietzsche gewirkt hat. Trotz aller Affinitäten ist jedoch der Unterschied nicht zu übersehen, dass sie beim Schreiben jeweils andere Leser und Ziele vor Augen hatten. Nietzsche wollte Heine nur als ‘Europär’ liebhaben und als Vorbild geltend machen, der französiche, feine Kultur und hoch kultivierten Geschmack in sich verkörpert hat, d. h. ‘eine nuance’ wie er selber war. Den entschlossenen Vertreter der Demokratie und des Sozialismus wollte er nie wahrhaben. In Nietzsches Sätzen, die ständig von Superlativ und Imperativ geleitet werden, spiegelt sich sein Bestreben, über die niedrige Sphäre hinaus, wo ‘die Kleinen’ heerdenweise hausen, in die Höhe zu steigen, wo nur die allerwenigsten Aristokraten des Geistes die hohe Luft atme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10-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독일언어문학연구회 -> 한국독일언어문학회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1 | 0.505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