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 경험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44(24쪽)
제공처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에게 과연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 그들의 생생한 경험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쳇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교육부의 정책,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교의 운영계획이라는 맥락 속에서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해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6명의 연구참여자 모두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을 교육결손 해소를 위한 교과보충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이를 수용했지만, 수용 정도는 달랐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매뉴얼이나 지도 방법에 대한 안내 없이 시작하는 것에 대한 답답함과 성과를 내야 할 것 같은 부담감을 안고 시작했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긍정적 표현, 교육청 및 학교의 후한 지원을 통해 교사의 내적 동기를 강화하며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지도하였다. 하지만 학생의 학습 의지의 단절, 학부모의 거부 반응, 시·공간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지원 대상 학생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을 느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지도 결과뿐만 아니라 지도 과정에서 학생의 정의적 성장을 발견하여 교사들은 학생들을 잘 가르치려면 학습장애가 있거나 느린 학습자를 잘 이해하고 각 학생의 특성에 맞는 지도 방법을 투입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나아가 교사의 전문적 연구 노력과 함께 대상 학생 지도에 필요한 시·공간의 확보 및 학급별 학생수 감축 등 환경적 지원, 기초학력진단검사 시기를 학년말로 조정하여 새학기부터 바로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느꼈다. 끝으로 ‘학습역량도움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학생의 의지와 학부모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in what context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mpetence Help Program’, what they experience while operating the ‘Learning Competence Help Program’, and what meaning they give to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to ensure basic academic ability was made in the contex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chool’s operation plan. The deepening of educational deficits due to COVID-19 affected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ies,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1st Comprehensive Plan for Guaranteeing Basic Academic Abil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operation plan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was operated.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re all accepting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a curriculum supplement program to resolve educational deficits, but the degree of acceptance was different. In order to resolve educational deficits, they sympathized with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and recognized that guiding students subject to learning support was a teacher's job, so they took an active attitude of acceptance. It was recognized and accepted.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d with the frustration of starting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without guidance or guidance on how to teach, and the burden of having to produce results because they are teaching while receiving a guidance allowance. However, sh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guided teachers by discovering students' willingness to study, expressing gratitude from parents, and strengthening teachers' internal motivation through generous support from the education office and schools. However, she felt difficulties in guiding students who were subject to learning support due to the students' willingness to be disconnected, the parents' rejection reaction, and the difficulty of securing time and space. Despite these difficulties, teachers have come to recognize their calling so that they can focus on the students' self-esteem, the defining domain, rather than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ird,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students experienced growth not only in terms of results but also in terms of definition. Therefore, teachers felt the need for teachers' efforts to understand students such as learning disabilities and slow learners in order to teach students well and to put in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securing time and space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It was felt that institutional support was needed to enable immediate support from the new semester by adjusting the period of environmental support such as reduction and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to the end of the school year. In addition, they agreed that the will of students and the cooperation of parent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guidance of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