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창작 판소리의 사설 연구 - 박동진의 예수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ark Dongjin’s Pansori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저자
이정원 (경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7-236(30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In this thesis, I examined a newly Pansori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made by Park Dongjin, in three parts of narrative structure, theme, and discourse. In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there are some long narrated scene. But those parts are not contrary to whole structure and subject to surface theme. Therefore in this Pansori text, it is not guaranteed that cubic understanding about human being and society through the contradiction between surface theme and inside theme. Instead, at some unreceptionable scenes, personal emotion is not narrated long. Consequently, in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a worldly and personal doubt would be blocked.
The narration of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is like a drama, because the narrator do not narrate something that a character see or think. This is different to the discourse way of established Pansori. In the established Pansori, various way of narration guarantee the various reception through various esthetic distances. But in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the audience could hardly experience the multi esthetic distance and they could have a little experience of immersion, deviation, and dramatic illusion.
Therefore the audience of newly Pansori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are needed the constant tension of reception. And according to this, the implied audience of this Pansori text is a believer who might be good at the obligation of tensional reception.
이 논문은 창작 판소리 <예수전>의 사설을 서사 구조, 주제, 담화 세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예수전>의 서사 구조는 일부 장면화의 양상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것이 전체 서사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표면적 주제에 복속됨으로써 성서의 가르침을 강화하는 특징을 지녔다. 이로써 전통 판소리에서 고정체계면과 비고정체계면에서 추상되는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의 대립, 그리고 그를 통한 인간과 사회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는 보장되지 않는다. 오히려 <예수전>은 인간적 입장에서 납득할 수 없는 몇몇 상황에서조차 그 상황에 걸맞는 정서를 장면화하지 않음으로써, 성서의 가르침에 대한 세속적이고 인간적인 의심을 차단하고 있다.
한편 <예수전>의 사설은 공적 내부 시점을 제한적으로 쓰는 특징을 보였다. 즉 창자가 인물의 입장에서 자신의 생각과 시선을 진술하는 양상이 현저하게 적게 나타는 것이다. 이것은 이 작품의 담화 방식이 희곡적 경향을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전통 판소리에서 다양한 담화 양상을 통해 청중에게 몰입과 일탈을 보장했던 것과 차이가 있다. 전통 판소리에서 청중들은 때론 이야기세계를 관조하거나 아예 등장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극적 환상을 체험하고 또는 완전히 이야기세계로부터 일탈하는 등 다양한 심미적 거리를 체험하면서 작품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해 진지하고도 주체적인 수용을 보장받았다. 그러나 <예수전>에서 심미적 거리는 다양하지 않고, 청중은 일정한 수용의 긴장을 요구받는다. 그만큼 <예수전>의 사설은 청중의 자율적인 수용을 보장하지 않는 폐쇄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예수전>에 내포된 청중은 그러한 수용의 의무를 감내할 수 있는 신앙의 집단일 가능성이 높다. 작품이 전하는 메세지에 대해 해석적 혼란과 방황을 겪지 않아도 되는 집단이 상정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수용의 평면성은 이 작품에서 텍스트와 청중의 소통이 양방향적이기보단 단방향적임을 시사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3-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536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