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한·중·일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 비교분석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paradigm of forest management is shifting from economic function oriented (wood production) to a more integrated management concept which emphasizes on environmental and societal function simultaneously, encompass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resting area provision and more. The notably increased interests towards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nowadays has subsequently led to the increase in expectations and demands of public functions of forests. Among those, demands of forest recreation, to enjoy the leisure time in forests, is expanding explosively.
    The northeast asian regions faced a rapid forest degradation due to illegal logging coupled with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World War II.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have successfully achieved economic growth and reforestation through government-led reforestation initiatives. The demands of utilizing forest as a place for recreation and leisure is steadily increasing in all of the three countries based on higher income level and longer recreation time, thanks to their relatively faster economic growth in comparison to other asian countries.
    Comprehending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process of each country not only enables a reality check of the current forest recreation status,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ponder deeply on future policy direc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is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Korea, China, and Japan, considering that their cooperation in forestry sector will only going to become more active in time. Afterall, imprudent policy implementa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each country’s conditions would result in policy failures.
    In order to understand a country’s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has performed an integrated analysis on external factor (structural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institutional context, stakeholder)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institutionalism, so as to reveal effects of each factor on the changes of policie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was selected as a proper theory for this study as it enables case analysis of individual countries through historical approach, explains how a same policy results in different outcomes in countries with similar conditions and how a policy is continued in a country. In addition, this study has segmented developmental phases depending on each country’s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level and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while also attempting to explain the varied results of policies among the countries by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moved on to providing useful suggestions for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the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each country’s forest recreational policy takes place by an external factor (structural environment) providing internal factors (institutional context, stakeholder) opportunities to change or not. Factors such as rise of income stemming from economic development, expansion of leisure∙recreation support policies due to changes in perception of leisure and awareness raising of environment conservation, altogether influence the direction of the forest law and national forest plan, resulting in gradual policy changes such as formation, displacement, and layering of forest recreation policy.
    Second,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three countries has revealed that Japan, with its relatively earlier economic growth in comparison to Korea and China, has witnessed changes in perception of leisure and increased income level, followed by the expansion in forest recreation policies. This provides that economic growth leads to rise of income level,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 of leisure strengthens national leisure policy, and also that environmental awareness promotion sets the direction of forest law and related policy along with the central forestry agency’s basic plan, eventually resulting into a more detailed forest recreation policy. Such propensity was apparent in a highly similar fash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ith certain amount of time gaps in between. With differentiated economic growth levels, the chronological order was Japan, Korea and then China.
    Since the three countries’ forest recreation policies project rather similar developmental processes albeit minute differences in external∙internal factors, it is possible to forecast the late-starter’s policy development conditions based on the forerunner’s case. In fact, by observing the recreation policy of Japan and Korea switching into quality improvement and welfare-viewpoint as the polarization of recreational spendings takes place due to economic recessions, one could predict that the direction of Chinese forest recreation policy would be headed towards a similar path.
    Nowadays with the cooperation in forest recreation sector between the three countries becoming increasingly active, it would be necessary for Korea to learn from the case of Japan and to propel policies strategically by predicting China’s policy direction. Korea has immense implications to take away from Japan’s focusing on quality improvement of the existing forest recreational facilities, active promotion of mountain village policy due to decrease and aging population of mountain village, and active progression of tourism resources for boosting domestic demand, as these are all similar future scenarios rapidly approaching Korea as well. Moreover, Korea-China cooperation has seen increased level of proactiveness starting from the ‘Bilateral MOU on Forest Welfare Between China and Korea’ in March of 2015. With China hoping for the transfer of Korea’s advanced forest recreation∙welfare policy know-how, Korea is in a dire need of more strategic mindset as this could be an opportunity to create jobs through dispatching forest welfare expert and to create socio-economic profits through transfer of know-hows on facility construction and program operation. Such cases would also provide an epitome to those that seek economic growth through forest recreation based on forest resto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olds an academic significance not only in its attempt towards a theoretical expansion of forest recreation policy studies through focused analysis of application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ramework on forest recreation policy development processes of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first time, but also in providing policy-related implications such as realistic mutual cooperation measures among the three countries.

    더보기

    산림관리의 패러다임이 목재생산의 경제적 기능 중심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휴양공간의 제공 등 환경 및 사회적 기능을 동시에 강조하는 통합관리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산림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기대와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산림에서 여가시간을 즐기고자 하는 산림휴양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무분별한 벌채와 경제개발로 산림황폐화가 급속히 진행되었으나, 한국∙중국∙일본(이하 한∙중∙일)은 국가주도의 녹화사업을 통해 경제성장과 산림복원을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다. 특히 한∙중∙일 3국은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빠른 경제발전을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수준과 여가시간이 주어짐에 따라 산림을 휴양 및 여가의 장소로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3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산림휴양정책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국가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향후 전개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국가별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현 시점의 산림휴양실태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간 상호비교를 통해 향후 정책전개방향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향후 3국간 협력이 더욱 활성화될 것을 고려하였을 때, 개별국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국가적 여건이 고려되지 않은 무분별한 정책도입이나 모방은 정책실패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국가의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 따라 외생적 요인(구조적 환경)과 내생적 요인(제도적 맥락, 행위자)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각 요인들이 정책변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역사적 제도주의는 역사적 접근을 통해 국가 개별사례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유사한 국가 간의 정책 차이와 국가 내에서 정책이 지속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있어 본 연구에 적합한 이론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각 국가의 산림휴양정책 발전정도에 따라 발전단계를 구분하여 단계별 특징을 살펴보고, 국가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왜 정책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간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국가의 산림휴양정책은 외생적 요인(구조적 환경)의 변화가 내생적 요인(제도적 맥락, 행위자)에 변화기회 혹은 변화제약의 계기를 제공하여 정책변동을 일으킨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 여가에 대한 가치관 변화에 따른 여가∙휴양 지원정책의 확대,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증가 등은 산림법과 산림기본계획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산림휴양정책의 형성과 대체, 층화 등 점진적 정책변동을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국의 산림휴양정책 발달과정을 상호비교 분석한 결과, 경제가 가장 먼저 성장한 일본에서 소득증가와 함께 여가관의 변화가 처음 시작되었고 이에 산림휴양정책도 함께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경제성장은 소득증가를 견인하고, 국민들의 여가관 변화는 국가의 여가정책을 강화시키며,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증진은 산림법 및 관련제도와 산림중앙부처의 기본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여, 최종적으로 구체적인 산림휴양정책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은 한중일 3국에서 일정한 시차를 두고 매우 흡사하게 나타나는데, 일본, 한국, 중국 순으로 경제발전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3국의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이 매우 유사하지만 국가의 외생적∙내생적 요인에 따라 차이점을 배태하며 흘러가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선발국가의 사례를 통해 후발국가의 정책발전 양상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일본과 한국이 경기침체에 따라 휴양소비의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이에 질적향상으로의 전환과 복지관점으로 휴양정책을 발전시켜나가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경제성장 속도가 완화되고 있는 후발국가인 중국의 산림휴양정책방향도 유사하게 흘러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3국간 산림휴양분야 협력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은 일본의 사례를 통해 교훈을 취하고 중국의 전개방향을 예측하여 보다 전략적 차원에서 정책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이 기존 산림휴양시설의 질적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 산촌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해 산촌진흥정책을 활발하게 전개해 나가고 있는 점, 내수진작 등을 위해 적극적인 관광자원화를 추진하고 있는 점 등은 비슷한 상황이 도래하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한중 양국협력의 경우 2015년 3월 체결된 산림휴양∙복지분야 MOU를 시작으로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띄는데, 중국이 한국의 선진 산림휴양∙복지 정책 노하우 전수를 희망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 더욱 전략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국내 산림복지전문가 파견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설 건립 및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 전수 등을 통해 사회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적자원 교류를 통해 국내 산림휴양복지 전문가들의 역량강화 계기 마련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와 같은 점은 향후 산림복원을 바탕으로 산림휴양을 통해 경제성장을 도모하고자 하는 기타 아시아 국가에도 귀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던 한∙중∙일 3국의 산림휴양정책 발전과정을 역사적 제도주의라는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집중 분석함으로써 산림휴양정책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있어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국가간 상호비교를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향후 상호 협력에 있어 실질적인 방안도출 등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있어 정책적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 1 김성일, "공원휴양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2 정정길, 정준금, 정광호, 이시원, 최종원, "「정책학원론」", 청주: 대명 출판사, 2012
    • 3 조아라, "일본 관광시장 분석",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5
    • 4 여운상, 오동하, "산림 휴양 활성화 방안", 부산: 부산연구원, 2012
    • 5 하연섭,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서울: 다산출판사, 2011
    • 6 류광수, 송영근, 백을선, 배재수, 박경석,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001
    • 7 이호철, "사회, 국가, 그리고 제도", 한국과 국제정치, 9(2), 235-256, 1993
    • 8 오시영, 황성원, 최우용, 채원호, 중촌호창, 정현숙, 임승빈, "일 본의 행정과 공공정책", 파주: 法文社, 2008
    • 9 李秀峰, 이재호, 박재욱, 김윤권, 고영근, 駱奇, 范红, "중국의 행정 과 공공정책", 서울: 법문사, 2008
    • 10 신상범, "경제적 세계화와 환경정책", 한국정치학회보, 39(2), 399-421, 2005
    • 11 이승란, "日本人의 餘暇에 대한 硏究.", 동아대학교, 부산 (국내석사 학위논문), 2001
    • 12 남궁근, "정책학: 이론과 경험적 연구", : 법문사, 2012
    • 13 최광, "일본의 경제정책과 재정정책", In: KIPF, 2002
    • 14 김주진, "한국과 일본의 기후변화정책", 환경사회학연구 ECO, 11(1), 7-42, 2007
    • 15 김종호, 최형태, 이승우, 윤호중, 박찬열, 김래현, 김기동, "산림 의 공익기능 계량화 연구", : 국립산림과학원, 2010
    • 16 유리화, 장윤선, 이정희, "연령별 산림여가활동 실태분석",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018
    • 17 박영도, 이종영, "산림법령 체계정비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법 제연구원, 2003
    • 18 장지호, "역사적 제도주의의 한국적 적용",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533-553, 2008
    • 19 인태정, "한국 근대 국민관광의 형성과정", 한국민족문화(28), 355-374, 2006
    • 20 구자춘, 윤여창, "산지 산림 관리의 패러다임 연구", 서울: 한국법 제연구원, 2010
    • 21 구현우, "역사적 제도주의와 비교정책연구", 韓國政策學會報, 18(2), 37-73, 2009
    • 22 박세인,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 기술혁신학회지, 14(3), 516-551, 2011
    • 23 곽두안, 권순덕, "일본 산림의 역할평가와 적정배치", 서울: 국립 산림과학원, 2018
    • 24 오승은, "일본의 산림행정 체제와 녹색성장", 한국행정학회 학술발 표논문집, 2009(10), 1-25, 2009
    • 25 홍경완, "한국 관광정책의 변화과정과 방향", 관광연구저널, 21(4), 397-406, 2007
    • 26 이종건, "주요 국 산림행정체계의 비교 연구", 국방대학원, 서울 (국 내석사학위논문), 2002
    • 27 김통일, 최가영, "중국 산림복지 정책동향 및 시사점", 서울: 국립 산림과학원, 2016
    • 28 김소라, 이정훈, "중국인의 여가관광양식 변화와 전망", 경기: 경 기개발연구원, 2011
    • 29 김성일, 주린원, 유병일, 유리화, 김통일, 김재준, "우리나라 산림 휴양실태 및 수요전망",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003
    • 30 박경, "일본의 지역정책 전환의 의의와 시사점", 지역사회연구, 16(3), 71-92, 2008
    • 31 민경택, "일본의 산림 임업과 정책동향. 세계농업", 4 월호, 2019
    • 32 염재호, "신제도주의 이론 국가정책과 신제도주의", 사회비평(11), 10- 33, 1994
    • 33 한승희, "한국 경제개발 5 개년 계획의 의미와 평가",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선진화포럼 10 주년 기념세미나, 2017
    • 34 신지연, 이신영, "유아 산림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幼 兒 敎育學論集, 21(1), 581-607, 2017
    • 35 문태훈, "우리나라 자연환경보전정책의 변화와 과제", 환경정책, 23(2), 57-95, 2015
    • 36 추장민, "중국 환경정책의 동향과 한중협력 발전방향", 국토정책 Brief, 2011.9, 23-29, 2011
    • 37 임반석, "중국의 경제정책 동향과 한중 경제협력 방안", Paper presented at the 제 10 회 세계한민족포럼 논문집, 서울, 2009
    • 38 남효육, 송유명, "한국과 중국의 산림관리시스템에 대한 비교연 구", 산림경제연구, 21(1), 1-12, 2014
    • 39 하연섭, "기획논문 :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진화와 정책연구", 行政論 叢, 44(2), 217-246, 2006
    • 40 김성학, 김종호, 김예지, "일본의 산촌활성화 및 녹색 생태관광 정책과 사례",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016
    • 41 김유선, "주 40 시간 근무제가 노동자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산업 노동연구, 17(1), 37-71, 2011
    • 42 손학기, 진정수, "산지관리기본계획의 내용과 국토관리정책의 의 의", 국토정책 Brief, -(436), 1-8, 2013
    • 43 김현주, "관광부문 연계를 통한 자연휴양림 운영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 44 이종열, "산림행정 패러다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평가", 한국 정책연구, 13(3), 261-279, 2013
    • 45 오오현, 이미나, "숲테라피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학술지를 중심 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9), 585-593, 2016
    • 46 김은미, "한국 주택정책 변화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 박사학위논문), 2012
    • 47 노명순, "대학입학 정책변화요인의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敎 育行政學硏究, 24(3), 241-264, 2006
    • 48 장제원, "산림정책의 정책변동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용인", (국 내박사학위논문), 2016
    • 49 이민창, "정책변동의 제도론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 내박사학위논문), 2001
    • 50 하영진, "한국 청소년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익산", (국 내박사학위논문), 2015
    • 51 김윤권,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韓國政策學會報, 14(1), 299-327, 2005
    • 52 류광훈, 정광민, "휴가/휴일 여건 개선을 통한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 53 이석환, 주효진, 조주연, "산림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산림행정조 직 발전방안 모색", 한국공공관리학보, 23(1), 65-87, 2009
    • 54 김재원, 하시연, 전준헌, 유리화, 김재준, "제 5 차 산림기본계획상 의 산림휴양 정책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 회 자료집, -(-), 49-53, 2007
    • 55 주성돈, "원자력정책의 변동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부 천", (국내박사학위논문), 2011
    • 56 김태원, "한국 산림에 관한 법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2009
    • 57 최정석, "중국경제발전방식 전환과 주민소득증대에 관한 정책요인 분석", 중소연구, 38(2), 55-77, 2014
    • 58 吴斌, 전근우, 임영협, 윤호중, 박기형, 萬勤琴, 张艺潇, "중국의 퇴경환림 사업(退耕還林事業) 및 보상제도에 대한 고찰", Journal of Forest Science, 27(2), 101-111, 2011
    • 59 곽정난, 주형선, 조경준, 전정일, 이재영, 박효인, 류미, "유치원과 초ㆍ중등학교 교과서 내 산림 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環境 敎育, 23(1), 13-26, 2010
    • 60 김진곤, "중국관광발전 단계별 관광정책 변동요인 고찰. 경기대학 교, 수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3
    • 61 민경택, 석현덕, 박소희, "외국의 지역기반 산림 관리 사례 : 일 본, 부탄, 네팔, 필리핀, 스웨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1-149, 2014
    • 62 류강현, "자연휴양림 발전단계의 구분과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 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2013
    • 63 박세인, "한국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2010
    • 64 용태석, "원자력 발전정책의 변동요인에 관한 QCA 분석.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2017
    • 65 김명희, "공공부조정책변화의 역사 제도주의적 분석.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2008
    • 66 전은경, "내생적 제도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경영 행정대학원, 충주", (국내석사학위논문), 2013
    • 67 박경석, 박소영, "중국 퇴경환림(退耕還林) 정책을 통해 본 북한 산림복구사업의 방향성 연구", 중소연구, 41(3), 149-180, 2017
    • 68 윤광진, "복권정책의 한국ㆍ캘리포니아주 사례 비교연구 - 신제도 주의 접근을 중심으로", 규제연구, 16(2), 103-136, 2007
    • 69 장희정,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95-119, 2012
    • 70 신현지, 장재영, 우종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기준 및 지표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적용성 연구", Journal of Forest Science, 21(-), 1-15, 2005
    • 71 김추린, "디지털화에 의한 주민등록의 제도변화 관계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2018
    • 72 김명화, "中國休閑産業的發展趨勢及其特征之硏究. 한국외국어대학 교 국제지역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2005
    • 73 김현, "일본 여가공간정책 변화 특성 -생활권 여가공간으로의 전환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5), 106-122, 2010
    • 74 김용하, "山林資源管理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利害關係者의 態度 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국내박사학위논문), 2008
    • 75 박상원, "중소기업지원 정책변동 패턴 분석: 김대중, 노무현 및 이 명박 정부 간 비교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6(3), 27-58, 2012
    • 76 허용창, "부양의무자 기준 변천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점진 적 제도변화 이론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정책, 44(4), 132-159, 2017
    • 77 김경희, "의료관광정책의 제도적 변화 분석: 점진적 제도변화 모형 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