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규원사화』의 행간에 드러난 선도사상(仙道思想)과 철학의 근본과제로서의 신⋅자유⋅불멸 = The Seon-do thought(仙道思想) and God⋅freedom⋅immortality as the fundamental tasks of Philosophy in Gyuwon-Sahw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57(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우리가 예사로 여기는 고사서(古史書)인 『규원사화』에서 한국의 상고사뿐만 아니라, 초기의 농경문화, 유교와 불교에 앞서는 시원적인 선도사상을 엿볼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홍익인간 재세이화”의 구체적 실현을 비롯해 도가(道家)사상과도 유사한 무위자연(無爲自然)과 무위이치(無爲而治) 및 덕치, 능동적인 문명창조, 기철학, 음양학, 신시(神市)와 같은 이상국가의 실현문제 등에 관한 정신적 유산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측면을 고려할 때 규원사화가 우리 학계에서 평가절하 되어온 것임을 직시할 수 있다. 본 소고(小考)는 우선 『규원사화』의 행간에 들어있는 선도사상에 관해 성찰하고, 이어서 규원사화에 언급된 신‧자유‧불멸의 문제를 “형이상학의 근본과제”로 삼은 철학사를 통해 이 주제가 철학의 긴요하고 근본적인 문제임을 성찰한다. 물론 필자는 규원사화의 신‧자유‧불멸의 테마를 칸트의 것과 비교하려는 것이 아니라(규모면에서 또한 체계의 측면에서 북애가 다룬 상고의 시대에 이런 철학은 빈약할 따름이다), 이 테마가 “형이상학의 근본과제”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근본과제임을 드러내고자 할 따름이다.
더보기In Gyuwon Sahwa, an ancient history book that we consider to be ordinary, we can get a glimpse of not only Korea’s prehistoric history, but also early agricultural culture, the original Seon-do thought(仙道思想) preceding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the spiritual heritage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ideal state such as the concrete realization of Hongik human and Je-se-eh-wha(在世理化) re-enactment, the mu-wei of nature(無爲自然), mu-wei-eh-chi(無爲而治) and virtue, active creation of civilization, philosophy, Yin-Yang, and Shinshi, which are similar to Taoist thought. Considering these various aspects, it can be seen that Gyuwonsahwa has been underestimated in our academic worl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Seon-do thought(仙道思想) contained in the lines of Kyuwon Sahwa, and then emphasizes that this theme is a critical and fundamental problem of philosophy through Kant’s philosophy, which takes the theme of God, freedom, and immortality mentioned in Kyuwon Sahwa as the fundamental task of metaphysics and approaches it ex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f course, I do not want to compare the theme of God, freedom, and immortality in Gyuwon Sahwa with Kant’s, but I want to reveal that this theme is not only the fundamental task of metaphysics but also the fundamental task of human being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