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의 신뢰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저자

      오성애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경기대학교 대학원 : 외식조리관리학과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Trust of Multi-distribution Channel for Food Products and the Purpose of Purchase Using Planning Behavior Theory

    • 형태사항

      x, 15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나정기
      참고문헌 : p. 129-148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3622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applies the theory of planning behavior, which effectively describes consumer behavior, as a study of the behavior of restaurant consumers who buy out food or services using multichannel.

    As the Internet and the universalization of mobile devices are rapidly evolving the paradigm of distribution channels from single-channel to multi-channel, consumers are becoming more natural in shopping patterns that cross the line between online and offline. This divers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has greatly affected which channels consumers choose, so the decision on channel choice has been made as important as the product's decision.
    With multi-distribution channels of food products, such as food delivery apps, growing in the O2O platform service market, consumers have also been smart at choosing typical dining out products for repetitive and low-relatent product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attitudes of eating out on multichannel, subjective norms, resource constraints of time and money, and the intention of purchasing via multichannel according to past experience. They also want to analyze how the trust in the platform and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platform affects the purchase intent and what parameters it serves as in relation to the impact between the purchase intent.
    Through this study,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psychological factors for the behavior of consumers buying through a multi-distribution channel and the reliability of restaurant contents provided through platforms and platforms affect the purpose of purchase.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se psychological behaviors, companies that operate multi-distribution channels are provided with the platform of multi-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importance of contents trust, and the establishment of multi-distribution channels based on trust.

    For the verification analysis of this study,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conducted on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consuming or using dining out goods or services through multi-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trust of consumers in the multi-distribution channels of food product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past experience, subjective norms, resource constraints, and attitudes emerged. It is believed that the company recognizes that trust in platforms through past experience of eating out and subjective rules that are formed by people around it is an important facto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sub-factor of the multi-distribution channel of dining out products, past experiences,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among the sub-factor of trus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ntent trust. The restaurant consumers are thought to have confidence in the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platform in which trust is formed, based on the terms of resource constraints of time and money and past experienc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trust that consumers recognize in the platforms and contents of the multi-distribution channels of food produc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of buying. In order to enhance consumers . intention to purchase food products and multi-distribution channels, the company's trust in the platforms and contents that provide food products, dining out services, and related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Third, the impact of past experiences, subjective norms, resource constraints, and attitudes, which are psychological subcomponents of the consumers who are aware of the multi-distribution channels of food products, are reflected in terms. This affects the intention of buying the most from the restaurant consumers in the past, and the subjective norms that are formed from the people around them affect the intention of buying rather than spending them alone.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rust in the effect of consumers ' perceive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multi-distribution channel and their intent to purchase met the conditions of the medium. In these result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restaurant consumers recognized for the multi-distribution channel are established to provide the restaurant products or the restaurant service in order to positively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the research model applying the theory of planning behavior is suitabl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behavior of buying out of the country's food products using multiple channels. In addition, the measurement variable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study have been proven to be adequate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validity verification.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study models used in this study may be used for future studies on the intent to purchase multiple channels of food products.
    Second, the study of purchase intent according to service quality of the multi-distribution channels of food products such as delivery apps in prior studies has continued to develop, but the analysis on purchase intent has applied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consumers using multichannel. Therefore, this research is a consumer psychology study that aims to purchase out of the country using multichannel, and differentiates it from existing research.
    Third, in the theory of planning behavior of prior studies, the results of the introduction of additional variables increased the explanatory power. In this study, the resource constraints of time and money and the variables of the past purchase experience were added.

    더보기

    본 연구는 멀티채널을 이용하여 외식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외식소비자의 행동에 관한 연구로 소비자 행동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였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보편화로 유통채널의 패러다임이 싱글채널에서 멀티채널로 빠르게 변화하며 진화하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쇼핑패턴이 자연스러워지고 있다. 이러한 유통환경의 다변화는 소비자가 어떠한 채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더 나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채널선택의 의사결정이 상품 선택만큼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O2O 플랫폼 서비스 시장에서 음식배달앱 등의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이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반복적이고 저관여 상품의 대표적인 외식상품의 선택에 있어 외식 소비자 또한 똑똑한 채널선택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외식소비자가 멀티채널에 대해 인지된 소비자 심리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 시간과 돈의 자원제약, 과거경험에 따라 멀티채널을 통한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플랫폼과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신뢰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신뢰가 어떠한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외식소비자가 멀티유통채널을 통해 구매하는 행동에 대한 심리적 요인들의 이론적 정립 및 플랫폼과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외식콘텐츠의 신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이론적 정립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심리적 행동 파악을 통해 멀티유통채널을 운영하는 기업들에게 멀티유통채널의 플랫폼과 콘텐츠 신뢰의 중요성을 제공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한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 구축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구의 모집단은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을 통해 외식상품이나 외식서비스를 소비 또는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에 대해 인지된 소비자의 심리적인 요인과 신뢰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요인인 과거경험, 주관적 규범, 자원제약, 태도 순으로 신뢰의 하위요인 중 플랫폼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소비자 본인의 과거 이용 경험과 주변인으로부터 형성되는 주관적 규범을 통해 얻는 플랫폼의 신뢰가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의 심리적 하위요인인 자원제약, 과거경험, 태도, 주관적 규범 순으로 신뢰의 하위요인 중 콘텐츠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소비자는 신뢰가 형성된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시간과 돈의 자원제약의 조건과 과거 이용 경험을 바탕으로 외식콘텐츠의 신뢰가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의 플랫폼과 콘텐츠에 대해 외식소비자가 인지하고 있는 신뢰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에 대한 외식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외식상품이나 외식서비스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과 콘텐츠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고 제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외식소비자의 심리적 하위요인인 과거경험, 주관적 규범, 자원제약, 태도 순으로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소비자의 과거 구매 경험이 가장 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주변인으로부터 형성되는 주관적 규범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식상품이 혼자 소비하기보다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가까운 주변인들의 의견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에 대해 인지된 소비자의 심리적인 요인과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신뢰는 매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에 대해 인지된 외식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외식상품이나 외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된 플랫폼과 이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신뢰가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통한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연구모형이 외식소비자의 멀티채널을 이용한 외식상품 구매행동을 측정하고 분석함에 있어 활용 적합한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측정 변수들이 신뢰성 검증과 타당성 검증에서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변수 및 연구모형이 외식상품 멀티채널에 대한 구매의도에 대한 향후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음이 시사된다.
    둘째, 선행연구들에서 배달앱 등과 같은 외식상품 멀티유통채널의 서비스품질에 따른 구매의도 연구는 지속적 발전을 해왔으나, 멀티채널을 이용하는 외식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을 적용한 행동 이해와 플랫폼과 콘텐츠와의 구매의도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멀티채널을 이용하여 외식상품을 구매하고자 의도를 갖는 소비자 심리 연구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둔다.
    셋째, 선행연구들의 계획행동이론에 있어 추가적 변수 도입으로 설명력을 높여주는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시간과 돈의 자원제약과 멀티채널을 이용한 과거 구매 경험의 변수를 추가 적용, 설명력을 입증하여 계획행동이론의 확장 및 심화에 기여하였다.

    더보기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5
    • 제 3 절 연구방법 7
    • 제 4 절 연구의 구성 8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1
    • 제 1 절 멀티유통채널에 관한 이론적 고찰 11
    • 제 1 항 유통의 개념 11
    • 제 2 항 멀티유통채널에 관한 이론 15
    • 제 3 항 멀티유통채널에 관한 선행연구 18
    • 제 2 절 계획행동이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 23
    • 제 1 항 합리적 행동이론의 개념 23
    • 제 2 항 계획행동이론의 개념 26
    • 제 3 항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행동이론에 관한 선행연구 34
    • 제 3 절 신뢰에 관한 이론적 고찰 41
    • 제 1 항 신뢰의 개념 41
    • 제 2 항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43
    • 제 3 항 플랫폼의 개념 45
    • 제 4 항 플랫폼에 관한 선행연구 47
    • 제 5 항 콘텐츠의 개념 49
    • 제 6 항 콘텐츠에 관한 선행연구 51
    • 제 4 절 구매의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 54
    • 제 1 항 구매의도의 개념 54
    • 제 2 항 구매의도에 관한 선행연구 56
    • 제 3 장 조사 설계 및 연구방법 59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59
    • 제 1 항 연구모형 59
    • 제 2 항 연구배경 및 연구가설 설정 60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75
    • 제 1 항 변수의 조작적 정의 75
    • 제 2 항 측정도구 77
    • 제 3 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79
    • 제 1 항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79
    • 제 2 항 자료의 분석방법 80
    • 제 4 장 실증분석 82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2
    • 제 2 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84
    • 제 1 항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85
    • 제 2 항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89
    • 제 3 절 측정도구의 상관관계 검증 92
    • 제 4 절 기술통계 분석 93
    • 제 1 항 성별에 요인별 차이분석 93
    • 제 2 항 연령에 따른 요인별 차이분석 94
    • 제 5 절 가설검증 96
    • 제 1 항 외식상품 멀티유통 채널과 신뢰간의 영향관계 검증 96
    • 제 2 항 신뢰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 검증 99
    • 제 3 항 외식상품 멀티유통 채널과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 검증 101
    • 제 4 항 신뢰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102
    • 제 5 항 가설 검증 결과 111
    • 제 6 항 선행연구와 비교 113
    • 제 5 장 결 론 117
    • 제 1 절 연구의 결과 117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125
    • 제 3 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128
    • 참고문헌 129
    • 부 록 149
    • Abstract 154
    더보기
    • 1 김웅진, 옥선종, "『유통론』", 형설, 형설출판사, 1997
    • 2 박세범, "소비자 행동", 북넷, 북넷, 2009
    • 3 윤명숙, "『유통관리론』", 대경출판사, 2004
    • 4 임동이, "유통경제와 과제", 일본생산성본부, 1965
    • 5 정회경, "미디어 경영 경제",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6 김문태, "『소비자행동론』", McGraw-Hill, 한국맥그로힐(주), 2012
    • 7 권창규, "문화에서 콘텐츠로", 대중서사연구 20(3), 2014
    • 8 나정기, "『외식산업의 이해』", 백산, 백산, 2013
    • 9 김창욱, 최병삼, 조원영, "플랫폼, 경영을 바꾸다", 삼성경제연구소, 2014
    • 10 노규성, "『플랫폼이란 무엇이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11 채서일, "사회과학조사 방법론(3판)", 비앤엠북스, 2005
    • 12 윤상진,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한빛비즈, 한빛비즈, 2012
    • 13 김기찬, 임일, 송창석, "플랫폼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성안북스, 2015
    • 14 나정기, "국내 외식산업의 특성에 관한 고찰", 식공간연구, 6(2), 2011
    • 15 우형진, 김동규, 이화행, 박성복, 이정기,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수용자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16 여성환, "소셜플랫폼의 소비자행동에 관한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3
    • 17 이진명, "전자제품 소비자의 멀티유통채널 선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18 노기영, "지상파 콘텐츠 재전송시장과 대가산정", 한국방송학회, 방송통신연구, 68, 2009
    • 19 김휘택(Hui-Teak KIM), 이태현(Tae-Hyun LEE), 이창영(Chang-Young LE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창업",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 츠연구, 19, 2015
    • 20 이명현, "『고전서사와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경진, 경진, 2017
    • 21 박지우, "선택과부하 상황의 소비자 휴리스틱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2015
    • 22 김나영, "Coevolution of Bounded rationality and Social preference",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서강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23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청람, 2014
    • 24 박윤주, 윤성준, "온라인 쇼핑에 있어 SNS 속성이 사용자 만족", SNS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 e-비즈니스연구, 17(6), 2016
    • 25 조원섭, "확장된 계획이론을 활용한 커피전문점 연구", 관광연구 28(6), 2014
    • 26 임채운, "유통채널의 변화추세와 유통산업의 혁신전망", 서강대학교 경영연구소, 서강경영논총, 21(1), 2010
    • 27 차동필, "폭음행위의 이해: 계획행동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보, 49(3), 2005
    • 28 이정희, 하광옥, "소비자 구매 특성에 따른 쇼핑채널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 학회 하계, 2015
    • 29 정호균, "관광객의 비계획 외식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0
    • 30 장성용, 구승환, "소셜쇼핑의 고객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 영과학회, 2012
    • 31 김규찬,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정책의 시기별 특성과 성과.”",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2
    • 32 김현석, 윤주현, "온라인 쇼핑몰에서 SNS지인 기반 상품추천 방식의 선호", 기초조정학 연구, 2011
    • 33 이두희,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과 뉴 마케팅 패러다임 전략 전술", 한국마케팅연구원, 한국마케 팅연구원, 10(405), 2002
    • 34 문영주, 이종호, 손증군, "소셜커머스 속성이 신뢰,몰입과 충성도에 미 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2012
    • 35 이민권, "온라인 채널과 오프라인 채널간의 기능통합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36 김지응, 강진희, "확장된 계획이론을 이용한 커피전문점 메뉴선택행동 연구", 식공간연구, 12(1), 2017
    • 37 염민선, "“합리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소비자 쇼루밍 행동의 이해”", 한국유통학회, 유통연구, 2015
    • 38 이지은, "구매자의 유통채널 인식 동질화와 채널충성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39 윤지은, "디지털콘텐츠 특성의 이용자 지각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40 김수연, 황진숙, "패션명품 멀티채 소비자의 쇼핑채 선택과정과 유형별 특성", 한국디자인포럼, 43, 2014
    • 41 안신희, 고재윤, "외식기업의 SNS 특성이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e-비즈니스학회, e-비즈니스연구, 18(1), 2017
    • 42 임해진, "친환경농산물의 구매영향요인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43 임희랑, 김학선,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한 친환경농산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학회, 19(1), 2016
    • 44 고영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만족,신뢰,몰입,구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경 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45 유선실, 이재영, "미디어산업의 수직결합과 기업전략: 다채널방송을 중심으 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6
    • 46 김경자, 남유진, "멀티채널환경에서의 정보채널과 정보내용에 관한 소비자 혼 란",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22(3), 2013
    • 47 정영미, "외래 관광객의 한국문화 친숙도가 한식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 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48 신민경, 정순희, 이정선, "“멀티채널 소비자의 정보탐색 및 구매 채널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소비문화연구, 15(3), 2012
    • 49 오동록(Oh, Dong-Rok), 나운환(Na, Woon-Hwan),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생산품의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직업재활연구, 26(1), 2016
    • 50 남자숙(Nam, Ja-Sook), 김태희(Kim, Tae-Hee), 이인옥(Lee, In-Ok), "가정간편식(HMR)의 긍정적 구전정보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구, 26(6), 2017
    • 51 차성훈, "경제교과서 친구만들기 (16) 정부 생산=공공재?. 생글생글 199 호", 한국경제신문. 2009. 6. 15, 2009
    • 52 김정권, "인터넷쇼핑몰에서의 영향요인, 만족 및 고객충성도의 구조 적관계", 한국지역발전학회, 지역발전연구, 11(2), 2012
    • 53 김은희, 노시평, 박희서, "환경친화적 행동의 영향요인 분석: 합리적 행동이론(TRA)의 관점에서",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단체학회보. 19(2), 2007
    • 54 김승인, 이가하, "편의점 생활 플랫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한국융합학회, 8(8), 2017
    • 55 나종연, 이진명, "멀티채널 환경에서 소비자의 채널선택과 채널 포지 셔닝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문제연구, (41), 2012
    • 56 최규환, "패밀리 레스토랑에 있어서 쿠폰, 태도, 구매의도 간 구조적 관계 연구", 한국관광학회. (7), 2004
    • 57 오성애(Seong-Ae Oh), 강진희(Jin-Hee Kang), "수제맥주 전문점 선택속성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 31(12), 2017
    • 58 송몽몽, "<브랜드 SNS 참여동기, 신뢰 및 구매의도의 관계: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59 진동수, "결합형 방법론 관점에서의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공과 실 패에 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통상정보연구, 15(2), 2013
    • 60 오성애, 강진희, "레스토랑 특정변인 연구: 실패경험이 있는 경영자돠 종업원 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32(2), 2018
    • 61 오성애, 김도훈, 김경태, "외식종사원의 직무안정성이 조직시민행동과 고객지 향성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연구, 12(2), 2017
    • 62 송학준, 이충기,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갬블링열정과 행동의도간 구조관계 분석",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34(3), 2010
    • 63 최성락, "골프관람객의 계획된 행동이 몰입경험을 통해 행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64 안대희, 한기장, "외식기업의 SNS 품질이 브랜드명성과 품질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 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4(4), 2011
    • 65 이병관, 손영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 모델의 유용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6(6), 2012
    • 66 고미애, 최아령, 김기영, "패밀리 레스토랑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저널, 26(3), 2012
    • 67 윤영일, 하동현, "외식기업의 SNS 정보품질이 지속사용결정요인에 미치는 영 향호텔경영학연구", 25(3), 2016
    • 68 이행순, "외식기업 Below The Line활동이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와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69 고기동, "『모바일 관광정보 탐색과 구매의도: 계획행동과 기술수용의 통합 모형 제안』",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70 남유진, "멀티채널환경에서의 소비자정보탐색유형과 소비자혼란, 가톨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71 권성준, 김교헌, "인터넷 게임 행동을 예측하는 모형의 검증 - 계획된 행동 이론의 대안모형 탐색", 학생생활연구. 30, 2004
    • 72 이학식, "정서적 반응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소비경험과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 경영학연구, 21(1), 1991
    • 73 강진희, 김기영, "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과 휴리스틱 이론을 적용한 커피전 문점 선택행동 연구", 관광연구저널, 30(1), 2016
    • 74 박영아, 현용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수용을 통한 오프라인 행동 예측요 인 검증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20(4), 2013
    • 75 제민지, "“외식 블로그에 대한 신뢰도, 지각위험, 지각혜택 그리고 구매의 도와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76 조은영,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콘텐츠 소비모델 연구: 드라마와 예능 콘텐 츠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77 나정기, 황수연, "인터넷 쇼핑몰 전통장류제품의 구매속성이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공간학회, 식공간연구, 10(1), 2015
    • 78 손증군, "O2O 특성이 매력도, 신뢰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 중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79 차성수, "‟온,오프라인 멀티채널과 싱글채널 고객의 특성과 구매행동에 관 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80 서보원, "구매경험에 따른 소비자의 식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유기농식 품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유통학회, 식품유통연구, 27(1), 2010
    • 81 박진경, "여가행동을 예측하는 모형 탐색: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학연구, 26(4), 2011
    • 82 김문홍 ( Moon Hong Kim ), 김성수 ( Seong Su Kim ),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 신뢰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유통경영학회지, 14(4), 2011
    • 83 이림, "한 중 소비자의 제품별 멀티채널 선택행동 비교연구 -정보탐색과 구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84 최은정, "한국거주 서구인의 개고기 식용에 관한 식행동 분석: 확징된 계획 이론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85 고봉호, 신형철, 김도훈, "외식업체 배달앱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재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식공간연구, 11(1), 2016
    • 86 박상규, 함홍식, 원구현, "인터넷 쇼핑몰의 인지된 이용편리성과 유용성이 신 뢰, 만족,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학, 22(1), 2005
    • 87 김동진, 김용중, "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소비자의 친환경 레스토랑 선택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 한국외식산업학회지, 8(2), 2012
    • 88 최자영, "“소비자 정보탐색 및 구매 단계에서 멀티채널 (multichannel) 선택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소비자학연구, 15(4), 2004
    • 89 한미정, 박시한,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온라인 콘텐츠 이용행동의 이해: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홍보학연구, 11(2), 2007
    • 90 구아름, "멀티 채널 유통 패션 브랜드의 점포 속성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 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91 한진욱, "확장된 계획이론을 통한 관람스포츠 소비자의 소비행동 예측: 프로 야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92 최서연,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 한 영향요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93 김재휘, 한미영, 김현주, "인터넷 서점 이용자의 웹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브랜 드 신뢰 및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3(1), 2002
    • 94 임희랑,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한 외식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과 건강메뉴 구 매의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95 이학권, "성인들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측하기 위한 심리적 변 인들의 통합적 접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96 조미혜, "관광지 인터넷 사이트 정보탐색에서 사전지식의 역할과 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6(4), 2011
    • 97 최규웅, "국내 유통산업의 멀티 채널 물류운영모델 선택에 대한 실증적 연 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98 정다애, "레스토랑 소비자들의 Facebook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합 리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99 김예영, 진양호, 안상훈,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 소비자의 구매 행동 분석: 친환경 농산물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저널, 30(1), 2016
    • 100 박강희, "문화마케팅의 구성차원이 러브마크와 브랜드애호도,전환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01 김찬호, 전달영, "인터넷 종합쇼핑몰과 전문쇼핑몰의 쇼핑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 는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마케팅과학회, 마케팅과학연구, 13, 2004
    • 102 김화, "인터넷쿠폰을 이용한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모델에 관한 실증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103 이유림,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와 이성적 인지양식이 소비자혼란의 감소에 미 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04 김문식, 김남조, "국내진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실패분석-상보성이론 및 총체적 상호일치관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총, 25(3), 2013
    • 105 민경현, 이재록, 안길상,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 애호도 의 구조적관계 : 금융브랜드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5
    • 106 최은주, "외식업체 연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전평가와 관여 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07 이홍규, 이양희, 원철식, 송성진,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커피전문 점의 재방문의도 예측: 디저트 메뉴 만족을 중심으로", 한국호텔리조트학회, 호텔리조트연구 13(2), 2014
    • 108 박채리, 조현재, "“온라인 쇼핑몰의 on-Offline 유통채널 컨버전스시 Brand Identity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 한국디자인지식학회,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 109 고봉호,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적용한 특급호텔종사자의 창업의도 및 행 동: 경력지향성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110 강혜숙, "여행사 직원이 경험한 국내항공사 e-티켓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 재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3(2), 2008
    • 111 박광용, "패밀리 레스토랑 가격공종성과 브랜드 자산요소가 지각가치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12 김진규,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산업 진흥방안 연구: 게임 음 악 방송(드라마)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13 김호석, "친환경식품 선택동기가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14 제현진, "환경친화적 광고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115 문일봉, "미디어 이용 및 채택 행동에 적용된 계획행동이론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116 간형식, 김종필, "소비자의 사전지식이 광고 메시지 유형과 제품 유형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상품학연구, 25(3), 2007
    • 117 송종길(Jong-Gil Song), 김복준(Bog-Joon Kim), 김영환(Yeong-Hwan Kim), "TV홈쇼핑 판매채널이 스마트미디어의 서비스품질요인이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 학회, 2017
    • 118 신민호, "주관적 지식과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명성과 태도적 충성도에 미치 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19 염민선, "멀티채널 환경에서 정보탐색채널과 구매채널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 쇼루밍 현상을 중심으로", 유통과학저널, 13(9), 2015
    • 120 임정우, 전현모, "배달앱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위험이 이용만족과 행동의도 에 미치는 영향:쿠폰의식의 조절효과", 외식경영학회, 20(5), 2017
    • 121 김한신, 김성대, 하용규, "호텔 레스토랑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품질의 매개효과", 관광경영학회, 관광경영연구, 2016
    • 122 고대영,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소비자의 건강메뉴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123 홍병숙, 조미애, 이은진,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상품 구매후 기가 소비자의 신뢰, 만족, 몰입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33(11), 2009
    • 124 김낭희, "약물사용자의 치료서비스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 건강서 비스이용행동모형과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125 이은아, 황진숙, "옴니채널 쇼핑혜택 추구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구매자와 오프라인구매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1), 2018
    • 126 오성애, "고등학교 커피교육의 학생만족도와 애호도 연구: 서울지역 고등학 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27 권기헌, 임다희, 서인석, "국가보훈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2011
    • 128 김사업, "외식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소비자 동일시, 기업이미지, 신뢰,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6
    • 129 김문식, "패밀리레스토랑 이용자의 휴리스틱 선택행동 연구: 합리적 행동이론 적용과 계획적 행동이론의 비 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30 임윤정,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래관광객의 한류 문화콘텐츠 행동 예측모형: 한국 드라마와 음반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8
    • 131 오종철(Oh Jong-Chul),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디지털 콘텐츠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 감각추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 2007
    • 132 유동숙,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농촌관광의 행동의도 연구: 계획행 동이론에 즐거움, 각성차원을 매개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6
    • 133 유우준, "소비자 정체성과 브랜드커피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확장된 계획이론 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첨의 조절효과",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7
    • 134 Richard, P., "Bagozzi, Zeynep, G. C., & Joseph, R. P., 소비자 행동의 심리 학, The Social Psychology of Consumer Behaviour(김완서 이성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주), 2004
    • 135 한지은, "미디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남성 화장품 소비와 구매의도에 미 치는 영향: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 136 원종윤, "사용자의 행동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설득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 계획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137 이진영(Jin-Young Lee), 이채은( Chae Eun Lee), ""소셜플랫폼을 활용한 호텔 고객의 소비가치, 소셜커머스 특성, 호텔 신뢰, 고객충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외식경영학회, 18(3), 2015
    • 138 김주희, 이진화, "“패션소매유통 멀티채널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구-마케팅 특성과 소비자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 2011
    • 139 남효석, 조용현, "온라인 여행사 웹 사이트 품질이 구매의사결정 및 구매행동 에 미치는 영향: 보안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36(8), 2012
    • 140 박상희, 추윤경,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서비스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7(6), 2013
    • 141 이혜성 ( Hye Sung Lee ), 남궁영( Young Nam Kung), ""외식업체의 스마트폰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품질이 이용자 만족, 이용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 구, 23(1), 2014
    • 142 부숙진, 이충기, 송학준,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자연기반 축제의 방문 행동 이해: 환경친화적 관광 소비행동의 추가적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 저널, 25(4), 2011
    • 143 백지희, "<유통채널 유형별 체험요소가 매장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미국 모바일 폰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 144 허윤주, "확장된 계획이론을 적용한 문화자본이 문화예술관광 행동의도에 미 치는 영향 연구: 내국인 해외관광객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5
    • 145 한상백, "“친환경농산물의 인증마크가 소비자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금오공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46 박영아, 손정기, "스마트폰 앱 서비스품질과 사용후기가 이용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맛집 앱 이용자를 중심으 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마케팅논 집, 21(3), 2013
    • 147 김상현, "멀티채널 환경에서 크로스채널 프리라이딩 의도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Push-Pull-Mooring 모델의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148 김재중, "외식소비가치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쉐린 가이드 서울 선정 레스토랑 이용 소비자 중심으로", 세종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149 윤설민,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통한 모험적 여가활동 추구 관광객의 행동 지속성에 관한 연구: 플로우, 애착도, 과거행동의 역할 탐색을 중심으 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50 주신옥, "항공권 구매플랫폼의 시스템품질이 편의지각, 고객만족 및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대형포털플랫폼과 관광전문플랫폼의 비교를 중심 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151 박성복, 최믿음, 이정기, "대학생들의 종합일간지 유료 온라인 뉴스 콘텐츠 이 용의도에 관한 연구-뉴스 콘텐츠 저작권 및 유료화 인식, 뉴스가치평 가, 확장된 계뢱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6(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