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Best Practice에서 나타난 사례관리자의 핵심과업과 성찰:질적 내용분석 = Core Tasks and Reflections of Case Managers in Best Practic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e tasks and reflections accomplished by case manages who were identified to have employed the highest quality of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66 cases selected by Institution K from 2014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asks performed by the case managers were identified as ‘formation of trustworthy and dependable relationships’, “assessment of clients’ current background, possessions, environment, and potential”, ‘case management planning with respect for clients’ participation and choice’, ‘sharing, responsiveness, and accompaniment’, and ‘evaluation of the seemingly imperceptible change in relationships and capabilities’. Case managers reflected on the importance of “support for clients’ rights and for their future courses of life” and ‘changes in the way of practice’.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case management was reconfirmed through the selected examples and positive changes were experienced by not only clients, but also case managers and the local community. It can be noted that high-quality practice is not solely based on the capabilities of the case manager, and that it necessitates client and community involvement.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environment and effort required to induce high-quality practice among case managers were proposed.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Best Practice에서 나타난 사례관리자의 핵심과업과 성찰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K 기관에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선정한 우수사례 66편에 대하여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례관리자들이 수행한 과업은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관계 형성’, ‘클라이언트의 현재 배경과 가지고 있는 것, 환경, 가능성에 대한 탐색’,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선택을 존중하는 사례관리계획 구상’, ‘공유와 반응, 동행하는 사례관리 이행’, ‘눈에 보이지 않는 관계와 역량의 변화에 대한 평가’ 로 도출되었다. 사례관리자들은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앞으로의 삶에 대해 지지’,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성찰하였다. 또한 사례관리의 의의를 재확인하고, 클라이언트 뿐 아니라 사례관리자와 지역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우수사례는 사례관리자 역량만으로 가능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의 참여가 포함된 실천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례관리 Best Practice 확산을 위하여 요구되는 환경과 노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더보기
    • 1 소주선, "희망이라는 이름으로.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2 이승훈, "흐림없는 눈으로 바라보기.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 윤송희, "홀몸 치매어르신의 안전한 생활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 사례관리"똑!똑!어르신 계세요?"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 정지숙, "행복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 함께 하는 여정.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5 최주영, "해체위기에 놓인 가정에 대한, 지역사회 이웃과 민관협력을 통한 사례관리 개입.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6 하경희, "한국에서의 ACT(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적용에 대한 사례관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07-133, 2010
    • 7 정순둘 ; 이선희, "한국 노인복지분야 사례관리실천의 현재-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0) : 7-26, 2010
    • 8 윤철수, "학교현장에서의 사례관리실천과 개선 방안 모색"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1 : 59-81, 2015
    • 9 이미래,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었습니다.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 김희주, "하늘아래 엄마라는 이름으로.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1 김옥경, "하나하나 천천히! 당신 옆에서 응원할께요.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2 김수정, "폭력의 그늘에서 벗어나 행복해지고 싶어요.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3 허순희, "폭력으로 고통받던 가정의 평범한 일상생활찾기.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4 허은정, "편견이라는 색안경을 벗고, 가해자지만 내 대상자인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들어보기.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5 강미선, "특별한 우리집 마당, 크리스마스트리.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6 정진영, "특별한 미소씨네 가족의 평범한 세상나들이.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7 최지선, "통합사례관리사의 직무수행과 사례관리역량 :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77) : 033-059, 2021
    • 18 이정희, "통제되지 않은 소녀, 8층의 비극은 안돼! 2014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9 이현,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사례관리 경험 및 인식 탐색" 인문사회 21 12 (12): 3173-3186, 2021
    • 20 이희연, "초등학교 학교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실천경험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309-341, 2014
    • 21 강은경, "지적장애 아들 동거가구 개입-강한 거부 속 숨겨진 메시지-.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22 최성현, "지적장애 성매매 피해여성 개입사례-희망의 울타리 속에 다시 피어나는 꽃!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23 이주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지역밀착형 사례관리 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137-174, 2015
    • 24 최말옥 ; 박은주,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에 대한 지역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경험" 인문과학연구소 40 : 29-61, 2016
    • 25 우국희 ; 김영숙 ; 임효원,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0) : 287-310, 2007
    • 26 황세인 ; 박정란,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실천과정 수행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충북연구원 30 (30): 93-131, 2019
    • 27 김동기 ; 서동명 ; 이상우 ; 이상진, "지역사회 장애인 사례관리 협력모형 구축 방안 및 장애인복지관의 역할변화" 생활과학연구소 24 (24): 125-140, 2020
    • 28 송인주 ; 박수선, "지역사회 민간사례관리자의 실천 성공 경험의 내용과 의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55-463, 2017
    • 29 홍서영 ; 서태열, "지리교육 연구의 대안적 연구 방법으로서 QCA(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의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103-120, 2014
    • 30 신은주, "정신질환자의 이웃과 더불어 살기.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1 이영분, "정신질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 모녀의 희망일기.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2 이민화 ; 서미경, "정신장애인에 대한 공공영역 사례관리자의 공감능력과 실천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1 (41): 110-129, 2021
    • 33 권미사, "정신장애를 동반한 지적장애인의 역량강화와 자립생활 이야기.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4 전춘희,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장의 자립역량강화를 위한 사례관리-‘아이들과 함께 걸어가는 희망의 발걸음’. 2014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5 김미경, "잿더미에서 찾아 올린 희망!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6 신금식, "재혼가정의 완전체를 꿈꾸며, 저도 이제 일하고 싶어요.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7 최지선,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33 : 229-264, 2012
    • 38 신혜선, "작은 일상의 변화가 모여 경험한 기적, ‘우리 가족 성장기’.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39 김정희, "작은 방의 비밀.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0 오승희, "이젠 행복해지고 싶어요.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1 양임순, "이제 조금씩 제가 해볼께요. 선생님! 2014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2 남지영, "이제 우리 스스로 힘으로!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3 최지선 ; 민소영 ; 엄태영,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 강화에 따른 사회복지 공무원의 직무수행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7 : 1-29, 2019
    • 44 신윤선, "은둔형 남매에게 방문너머 세상의 빛을!.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5 양지혜, "예지와 함께 희망을 향해 쏘다!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6 이미영, "열여섯, 제2의 백종원을 꿈꾸다.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7 정태권, "여성가장의 한국에서의 새로운 출발.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8 김윤겸, "알콜의존증 여성. 가장의 희망도전기 ‘엄마의 일기’.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49 권대호, "아빠, 혼자 힘들어하지 마세요. 이제부터 가족 모두가 함께 노력해서 행복한 내일을 꿈꿔요.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50 강경인,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나에게 사람이 오기 시작했다.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51 박향경 ; 권자영, "실천관계에 대한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의 인식 연구: 지역사회 정신보건 실천현장을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4 (44): 154-183, 2016
    • 52 강직엽, "신짜오! 베트남에서 온 새댁 이제는 웃을 수 있습니다.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53 최효진, "소아우울증 아동가구개입사례-한걸음의 변화가 바꾼 세상! 2014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54 육혜련 ; 남미애, "성매매방지기관 실무자의 사례관리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7 (47): 233-259, 2016
    • 55 김선희, "사회적 고립위기가구 ‘세상과 친해지기’.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56 이정희 ; 김창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통합 사례관리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43-176, 2018
    • 57 유영준,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337-362, 2009
    • 58 한국사례관리학회, "사회복지사례관리표준실천지침"
    • 59 민소영,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 영유아 빈곤가정을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275-304, 2012
    • 60 배효승 ; 이정희, "사회복지기관 사례관리자의 지식공동체 참여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2 (22): 1-39, 2020
    • 61 정선욱 ; 장연진, "사회복지관 채용면접에 관한 질적 연구- 지원자 지각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4) : 227-244, 2007
    • 62 김영례,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주기주도학습 역량이 사례관리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소 13 (13): 109-144, 2016
    • 63 유성은 ; 하지선 ; 최미희 ; 정원희,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들의 학습조직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9 (9): 71-109, 2018
    • 64 김영례, "사례관리팀 편제 이후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343-374, 2015
    • 65 최효선, "사례관리자의 직무외상 경험이 사례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외상후 스트레스및 외상후 성장의 매개효과와 기관 대응조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2018
    • 66 유성은 ; 정원희 ; 강보미, "사례관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20 (20): 139-149, 2020
    • 67 김영숙 ; 임효연 ; 신소라, "사례관리자들의 실천경험 연구 - 질적사례연구 접근 방법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89-122, 2009
    • 68 한국사례관리학회, "사례관리론-개념, 기술, 실천역량이해" 학지사 2020
    • 69 김희수 ; 최선희, "사례관리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어려움과 대처" 사회복지연구소 61 : 5-43, 2019
    • 70 최지선 ; 김연수, "사례관리 Best Practice의 개념과 구성요소:사례관리자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례관리학회 10 : 1-30, 2019
    • 71 김신효, "사랑의 울타리가 되어!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72 이숙희, "사랑으로 밀고 가는 두 대의 휠체어.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73 양혜미, "빛을 들고 세상으로. 2014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74 장성자, "보금자리 변화로 행복한 삶을 꿈꾸는 가족의 힘찬 도전.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75 강순화, "법의 굴레 속에서 유령처럼 지내던 아이들을 세상 밖으로!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76 원혜연 ; 임윤령, "미국 뉴욕의 아동학대예방체계 사례관리 고찰: 한국 아동학대예방체계 사례관리 개선에 갖는 함의" 한국아동권리학회 24 (24): 489-514, 2020
    • 77 조성옥, "매일 읍사무 소에 들려서 커피 한잔 하세요-알코올중독자 자립사례-.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78 김태호, "막다른 길에서 희망을 두두(Do Do)리다.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79 양선정, "따뜻한 가정으로 거듭나는 중국요리 희망배달.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80 최희선 ; 조인주,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1913-1928, 2021
    • 81 김희정 ; 오희영 ; 이현주, "독립주거 정신장애인에게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경험" 대한스트레스학회 28 (28): 221-229, 2020
    • 82 최지선 ; 엄태영 ; 민소영, "데이컴을 활용한 읍면동 맞춤형복지팀 구성원의 직무분석" 사회과학연구원 25 (25): 119-142, 2018
    • 83 김동영, "다재다능한 공황장애인의 노력.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84 황지현, "다시, 가족의 이름으로 꽃을 피우다.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85 박윤경, "다문화한부모(자살유가족)가정의 행복찾아 가는 길.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86 김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5-34, 2015
    • 87 강기정 ; 이무영 ; 정은미, "다문화가족 사례관리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149-171, 2013
    • 88 김영애, "노숙자 부부의 희망일기-괜찮아 지금부터 시작이야.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89 김혜원, "내게도 세상은 살맛나는 곳이었습니다. 2014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0 김종남, "내 안의 숨은 에너지의 발견.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1 안혜정, "나의 작은 소망‘행복한 가정 꿈꿔도 될까요? 꿈꿔도 됩니다!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2 김종기, "나도 할 수 있어! 2020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3 김미경, "나도 이젠 당당한 워킹맘!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4 이정희, "나도 엄마야(지적장애가 있어도 우리가족 잘 살 수 있어요).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5 강현진, "나도 사람답게 살고 싶어. 2014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6 조영숙, "나는 이제 혼자가 아니에요.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7 김은애, "꺼져가던 생명의 불씨, 불꽃으로 피어나다.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8 이혜정, "김예쁜의 ‘나를 찾아가는 이야기’. 2015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99 강숙희, "기약없는 노숙에서 자립까지. 2017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0 이한나, "그녀의 목소리, 세상에 담다. 2018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1 유서구 ; 김현수 ; 김연수 ; 김경희, "귀환 위기입양인을 위한 사례관리 실천방안의 탐색"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67 (67): 101-135, 2020
    • 102 양영자, "교사 저서에 나타난 교사론의 질적 내용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31-60, 2020
    • 103 최지선, "공공사례관리자 직무역량도출연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14
    • 104 박미옥, "강아지 16마리와 뒤섞인 가족들, 누가 위험한가?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5 조향선, "가족으로부터 버림받은 길거리 청소년형제의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사회적응기.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6 최문희, "가정폭력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가정. 2016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7 이경화, "가정폭력을 벗어나 뜨개질 선생님으로 자아찾기.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8 이승훈, "가정 내 배제에서 마을의 포용으로-‘지역사회 키 퍼슨(key person)자원활용중심’. 2019년 사례관리실천우수사례집"
    • 109 Patil, T., "‘Doing diversity’in a social work context : reflecting on the use of critical reflection in social work education in an Australian University" 39 (39): 893-906, 2020
    • 110 Hsieh, H. F.,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5 (15): 1277-1288, 2005
    • 111 Elo, 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62 (62): 107-115, 2008
    • 112 Holt, B. J., "The practice of generalist case management" Allyn and Bacon 2000
    • 113 Burns, T., "The future of case management" 12 (12): 212-218, 2000
    • 114 Murer, C. G., "The case management sourcebook: a guide to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entralized case management system" Richard d Irwin 1997
    • 115 Sheafor, B. W., "Techniques and guidelinesfor social work practice" Allyn & Bacon 2000
    • 116 Sheafor, B. W., "Techniques and guidelines for social work practice" Pearson Higher Ed 2010
    • 117 Holosko, M. J., "Social work case management: Case studies from the frontlines" SAGE Publications 2017
    • 118 Ellem, K., "Social work and human services best practice" Federation Press 2017
    • 119 Carrier, S., "Service coordination for frail elderly individuals : an analysis of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Québec" 55 (55): 392-408, 2012
    • 120 Schreier, M,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practice" Sage publications 2012
    • 121 Graneheim, U. 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24 (24): 105-112, 2004
    • 122 Elo, 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A focus on trustworthiness" 4 (4): 2158244014522633-, 2014
    • 123 Mayring, P.,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 (1): 159-176, 2004
    • 124 Ferguson, H., "Outline of a critical best practice perspective on social work and social care" 33 (33): 1005-1024, 2003
    • 125 Polit, D. F., "Nursing research : Principles and methods"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12
    • 126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 127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 Standard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 128 Steinberg, D. M., "Mutual aid : A contribution to best-practice social work" 33 (33): 53-68, 2010
    • 129 Bradley, J., "Methodological issues and practices in qualitative research" 63 (63): 431-449, 1993
    • 130 Issakidis, C., "Intensive case management in Australia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99 (99): 360-367, 1999
    • 131 Intagliata, J.,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 the role of case management" 8 (8): 655-, 1982
    • 132 Block, S. R., "Improving human service effectivenes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case management: A case study on the emergence of a team-based model of service coordination" 38 (38): 16-28, 2014
    • 133 Reichert, E., "Human rights in social work : an essential basis" 27 (27): 207-220, 2011
    • 134 Patterson, J., "Good practice in multi-agency linkages: Report on coordinated service responses for homeless people with complex needs" 2000
    • 135 Miley, K. K.,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Allyn and 1998
    • 136 Woodside, M. R., "Generalist case management: A method of human service delivery" Cengage Learning 2016
    • 137 Rothman, J., "From the Front Lines: Student Cases in Social Work Ethics" Allyn and Bacon 1998
    • 138 Schreier, M., "Ethical guidelines for the conduct in argumentative discussions : An exploratory study" 49 (49): 123-132, 1996
    • 139 Koch, T., "Establishing rigour in qualitative research : The decision trail" 19 : 976-986, 1994
    • 140 Hepworth, R., "Direct Social Work Practice : Theory and Skill, Pacific Grove" Brooks 1997
    • 141 O'Hare, 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measuring social work practice skill" 7 : 228-239, 1997
    • 142 Lauri, S., "Developing nursing theories" Werner Söderström 2005
    • 143 Nufer, Y., "Consumer and case manager perceptions of important case manager characteristics" 64 (64): 40-46, 1998
    • 144 Ross, S., "Case management: What it is and how it can best be implemented" King's Fund 2011
    • 145 Gursansky, D., "Case management: Policy, practice and professional business" Routledge 2003
    • 146 Rothman, J., "Case management: Integrating individual and community practice" Allyn and Bacon 1998
    • 147 Frankel, A. J., "Case management: An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skill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 148 Weil, M., "Case management in human service practice: A systematic approach to mobilizing resources for clients" Jossey-Bass 1985
    • 149 Cleak, H., "Case management in action : An examination of two cases in the area of alcohol related brain damage" 51 (51): 33-38, 1998
    • 150 Libassi, M. F., "Case management and social work practice" 77-90, 1992
    • 151 Kisthardt, W. E., "Case management and social work practice" 1992
    • 152 Galvin, L. C., "Case management : a team approach" 29 (29): 28-31, 1998
    • 153 Jones, K., "Best practice in social work: Critical perspectives"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07
    • 154 Wildemuth, B. M., "Applications of social research methods to questions in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Libraries Unlimited 2009
    • 155 Rothman, J., "A model of case management : Toward empirically based practice" 36 (36): 520-528,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