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 시대 야학 및 학술강습회에서 실시된 일본어 강습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5-287(2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일제 시대 조선인을 대상으로 일본어 교육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1943년 말에 이르러서도 일본어를 해득하는 조선인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22%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와 같이 부진한 일본어 교육과 관련하여 야학이나 학술강습회에서 실시된 일본어 강습에 관한 실태를 시기별로 밝히는 데에 있다. 한일 합방에서 3ㆍ1운동에 이르는 시기(1910년~1919년)에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을 일본의 충량(忠良)한 신민(臣民)으로 만들기 위해서 일본어 보급을 시작했다. 이 때문에 야학이나 학술강습회에서 일본어 강습이 실시되었다. 일본어 강습회에 참가한 조선인들은 일본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서 그들에게는 일본어 공부에 대한 동기나 의욕이 있는 편이었다. 그러나 일본어 강습회에 참가한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3?z1운동에서 중일 전쟁에 이르는 시기(1919년~1937년)에 조선총독부는 일본어 보급에 대하여 뚜렷한 정책을 내세우지 않았다. 게다가 조선총독부는 1930년대에 들어 조선인을 대상으로 조선어 강습을 실시하는 등 일본어 보급 정책에 일관성이 없었다. 1910년대와 달리 일본어는 야학이나 학술강습회에서 가르쳐진 여러 과목 중 한 과목에 불과했다. 일본어만 가르치는 야학이나 학술강습회는 드물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야학이나 학술강습회에서 일본어 수업을 받아 일본어를 해득하게 된 조선인은 많지 않았다. 그리고 중일 전쟁에서 광복에 이르는 시기(1937년~1945년)에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을 황국(皇國) 신민으로 만들기 위하여 일본어 보급 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했다. 이 시기에는 1910년대보다 훨씬 많은 조선인들이 일본어 강습회에 참가했다. 그들 중에서는 일본어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 일본어 공부에 대한 동기나 의욕이 없는 이들이 있었다. 또한 야학이나 학술강습회에서 실시된 일본어 강습의 기간이 짧았다. 이것들 때문에 일본어 강습회에 참가한 조선인들이 일본어를 해득하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The actual state of courses in Japanese at night schools and private learning courses(henceforth night schools) in Korea under Japanese occupation from 1910 to 1945 has been little studied. This study illustrates how Koreans studied Japanese at night schools in Korea from 1910 to 1945.
The aims of courses in Japanese at night schools differed by period. In the first period, from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1910) to the March First Movement(1919), night schools were established to teach Japanese to Korean people. This was connected with the policy of spreading Japanese language throughout Korea follow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hereafter GGK). Although Koreans feeling that they need the language at workplaces attended night schools to study it, such Koreans were not many. For instance, out of 16.3 million Korean people only 22,000 studied Japanese at night schools in 1916.
In the second period, from the March First Movement to the Sino-Japanese War(1937), GGK had not pursued a new policy in terms of spreading Japanese language throughout Korea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is situation, night schools were established by public elementary schools, youth clubs, various individuals, and so forth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lementary-school education for Korean children and adults who had been alienated from schooling. Korean people had less hours to study Japanese at night schools in the second period than in the first one because Japanese was one of the subjects taught at them in the second period. In the early 1930s GGK started courses in Korean at night schools for Korean adults who could neither read nor write it because they had never attended schools. This was opposed to the policy of spreading Japanese language throughout Korea mentioned above.
And in the final period, from the Sino-Japanese War to the end of the Pacific War(1945), night schools were again used to teach Japanese to Korean people with the aim of GGK"s creating Imperial Subjects among Koreans. More Korean people studied Japanese at more night schools in the final period than in the first one. In 1938 more than 210,000 Korean people took courses in Japanese at night schools. Japanese was taught to Korean people only for a few months at night schools. This was not enough for them to learn Japanese. Korean people were likely to be forced, by government offices and the Federation to mobilize all of the power of the nation, to attend night schools to study Japanese. In other words, they had less motivation to learn Japanese at night schools because they felt no need of studying it.
In the end, these courses in Japanese at night schools failed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Koreans who can understand Japanese. Only 22% of Korean people, most of whom had studied Japanese at elementary schools, could understand Japanese as of the end of 1943.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