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영화 아카이빙(Film Archiving)의 역사, 기능, 그리고 잠재적 가능성 : FIAF(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Archives)와 Original Big Four를 중심으로 = History, Function, and Potentiality of the Film Archiving -Case Study of the FIAF(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Archives) and the Original Big Fou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5-328(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인류사의 역사적 증거이자 인류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영회유산'의 의미와 그 보존과 활용을 위한 복합적 행위인 '영화 아카이빙'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영화사 초기부터 시작된 '영화 아카이벙'의 발전과정을 짚어봄으로써 '영화유산'과 '영화 아카이빙'이 지니고 있는 잠재적 기능성을 가늠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작품 및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가장 온전한 상태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영화 아카이빙'은 수집, 보존, 보호, 복사, 복원, 공개, 분류/목록/색인이라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영화사에서 '영화 아카이빙'은 영화사 초기의 원형적 시도에서 출발해 1930년대의 초기 시네마테크 운동의 시기를 거쳐 1938년 국제필름아카이브연맹의 결성으로 이어지면서 발전한다. 특히, '영화 아카이빙' 분야에서 국제적 협력과 연대의 구심점이 되어온 국제필름아카이브연맹은 '오리지널 빅 포'라고 불리는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의 주도로 창립되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영회유산'과 '영화 아카이빙'의 인식론적 개념과 특정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해당 분야의 선구적 국가인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의 '영화 아카이빙'의 현황과 특성을 개괄한 후 현재 전 세계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주요 쟁점들을 통해 '영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이 지니는 잠재적 가능성과 급변하는 미디어 융합시대에 '영화 아카이빙'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ilm archiving' which is a series of complex works for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as historical evidence of human history &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or this purpos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would be essential. We also illustrate the history & evolution of 'film archiving' which began since the very beginning of the film history so that we can discover its potential. 'Film archiving' is the process for preservation and use in the most perfect state of a variety of resources related to film and film work. And it consists of a series of steps : acquisition, preservation, conservation, duplication, restoration, access, inventory/cataloging/indexing. In the film history, 'film archiving' began with some archetypal attempts, passed through the period of early cinematheque movement in the 1930s, and developed by the FIAF(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Archives) founded in 1938. In particular the FIAF was founded by France,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so-called the 'Original Big Four'. Since then, the FIAF has been the focal point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olidarity. In brief, we investigate the situation and the specificity of 'film archiving' system in France,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about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as well as 'film archiving'. Today, the 'film archiv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of the international level. In particular, the 'digitization' of film archiving requires in-depth discussion and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media convergence. 'Film archiving' is a potential sector that generates cultural, artistic, scientific and industrial values. And this potential of the 'film archiving' subjects to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and the investments for the film archiving system in the long term. We need a new paradigm of the 'film archiving' which is applicable to the rapidly changing era of media convergence.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a sort of starting point for future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subject of 'film archiving'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