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지역극장의 현황 및 지역 문화공간으로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 운동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130(32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한국에 최초의 체인 멀티플렉스가 등장한 1998년 이후 지역 주민들의 문화생활의 중심이었던 지역극장들은 점점 사라져 갔다. 다양성 영화를 상영하는 예술영화전용관의 경우는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아트플러스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 운영된다. 이런 아트플러스 네트워크 역시 서울과 대도시에 위치하며 체인 멀티플렉스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와 같이 대부분 영화극장이 서울과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중소도시를 포함한 지역의 문화향유권이 심각하게 제한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2013년부터 극장이 없는 지방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작은 영화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지역주민의 문화향유권 보호와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해 지역극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극장이 가진 한계와 문제점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오래전부터 지역을 기반으로 민간 주도형 예술영화상영관 네트워크가 활성화된 일본의 사례를 커뮤니티 시네마 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한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고찰해보았다.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는 민간 주도의 소규모 지역극장들로 주로 비영리법인 또는 생활협동조합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예술ㆍ독립 영화 등의 상영과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주민의 문화 공간인 동시에 교육 및 커뮤니티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의 민간 주도형 설립 형태와 지역 밀착형 운영 방식을 소개하고 아직 시행 초기에 머물러 있는 국내 작은 영화관 사업을 포함한 지역극장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지역극장이 지역 주민의 문화생활의 기반인 동시에 새로운 지역 문화공간의 창조와 발견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말하고자 하였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franchise multiplex cinemas in 1998, local theaters in Korea which were the cultural center of local community gradually disappeared. Art Theaters which screen diversity film are run by the name of ‘Artplus Network’ and they receive government support. These Artplus Network theaters locate in Seoul area and in a few major cities and franchise multiplex cinemas play important role in operating them as well. Since Art Theaters are concentrated within particular location, the types of films and the diversity of culture that local people can enjoy are quite limit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local people to enjoy more culture, the government launched ‘Small theatre Project’in 2013 for local communities lacking movie theaters.
This study examines limitations and problems of local theatres which are being noted for both the appreciation and the invigoration of culture and art in regions and the paper also proposes ways fo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overviews the art theater networks in Japan where private sector-led art theater networks are well developed, focusing on the case of ‘Community Cinema Activity.’ The case study shows that small and medium-sized private local theaters are run in the form of NPO(Non Profit Organization) or Co-op(Co-operative) and that the nonprofit theaters are utilized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communal cultural space through screening art films and independent films and through running cultural programmes tailored to the region. This paper examines the private sectorled type of establishment and community-led operating system of Japanese Community Cinema.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ways in which the local theater projects including incipient ‘Small Theater Project’ can be improved. Also, I tried to address that local theaters can create a new cultural space for the region as they serve as a basis for cultural activities in the reg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9-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4-0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영화연구외국어명 : Film Studies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5 | 1.055 | 0.2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