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아동ㆍ청소년의 발달과정 추적을 위한 종단연구Ⅱ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4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2(10쪽)
제공처
한국사회가 다민족, 다인종, 다문화 사회화 되어감에 따라 문화적 인종적 배경이 다양한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건전하게 성장 및 발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한국사회의 주류집단으로 편입하는 것은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는 이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하여 발달적 측면에서 지체되고 뭔가 부족하며 결핍된 존재라고 하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형성하게 되었다. 다양한 상황변인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비(非)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단순비교하거나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행동상의 문제를 본질적인 문제로 간주한 많은 선행연구들의 영향 때문이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아동ㆍ청소년의 발달 과정에 대한 종단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비(非)다문화가족 아동ㆍ청소년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다문화가족 아동ㆍ청소년이 발달 및 성장과정에서 일반가정 청소년과 보이는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문화가족아동ㆍ청소년의 특성에 부합하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전국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중 초등학교 4학년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를 포함한 총 1,60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발달특성은 어머니의 출신국, 어머니의 교육수준 및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배경적 심리적 특성이 다문화가족 아동ㆍ청소년의 심리행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약계층과 다문화가족의 청소년들을 비교했을 때 다문화가족 아동ㆍ청소년들이 다양한 발달 측면에서 취약계층 청소년들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다문화가정’이라는 동일한 다문화 집단에 속한 학생일지라도 개인이 속한 다양한 배경변인에 따라 발달의 양태가 매우 상이할 수 있으며,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다문화’라는 한 가지 차원의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동일한 특성을 가진 집단으로 규정하고 동일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향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s Korean society is becoming more multi-national,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more people have diverse backgroun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grow up as healthy individuals to naturally adapt and integrate into Korean mainstream society. Nevertheless, our society has developed negative stereotypes and prejudices toward the adolescents from multi- 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child development such as delay development or inadequate development to function in the society. This is due to many research in the past that have not thoroughly consider the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mply compare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non multi-cultural families. Thus, we start this research from the limitations of past studi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1)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versus non multi-cultural families, 2)to examine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behaviors in both groups, and 3)to draw up proper policy measures to support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purpose, we have collected data from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N=1,600 pair).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mother’s home country,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 family’s income. Second,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parent’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dition. Third, children and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more positive in several developmental factors than children and adolescent from low income families.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may be different by their background factors. Therefore, it is vital to seriously consider the background factors such as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social class when providing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stead of labeling or grouping them into one catego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